3. 의문문의 간접화행
3.3. 의문문의 간접화행의 언어적 실현 양상
3.3.1. 의문문의 요청·명령 기능
의문문의 요청·명령 기능에 관련하여 지금까지 지시화행의 틀에서 많이 논의되 었다. 요청이나 명령은 명령문이나 청유문으로 실현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일상 생활에서 직접적으로 명령문이나 청유문보다 의문문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은 지 금까지 지시 화행의 공손성과 간접성 연구와 같이 많이 논의되었다. 기존의 지시 화행36) 관련 연구는 크게 전략 및 유형에 대한 연구, 해당 화행에 나타나는 표현 에 관한 연구, 즉 화행 유형과 언어 표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두 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먼저 지시화행의 하위 유형을 살펴보겠다.
김미령(2006)에서는 화자의 발화 의도 및 청자의 응답에 의해 화행을 유형화하 고 이중에서 청자에게 행동 수행을 요구하는 부분을 지시화행이라 하고 다음과 같 이 유형화하였다.
행위
[+친교]
[-친교]/[+부담]
[-부담]/[-강제성]-
[+부담]/[-강제성] --[+선택]:권유 [-강제성]/[+선택]: 요청
[+강제성]/[-선택]-- [+선택]:제안 [-선택]:허가
[-위협]:명령 [+위협]:경고
<그림 Ⅱ-5> 김미령(2006) 지시 화행의 유형
36) 지시화행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아직까지 일정한 결론이 없었다. 바흐-하니쉬 (Bach-Harnish)의 지시화행(directives)에는 ‘금지 행위, 요구 행위, 요청 행위, 자문 행 위, 질문 행위, 허기 행위’가 포함시켰다(이준희, 2000: 34에서 재인용). 한편으로 츄이 (Tsui, 1994: 173)는 지시적 화행을 요청 행위 및 지시 행위 두 가지로 나눈 뒤 다시 요 청 화행에 부탁, 초대, 제공, 제의로, 지시 화행에 명령과 권고(제안)로 세분하였다. 그런 데 이들 연구는 주로 영어에 초점에 맞춘 것이고 한국어에 초점을 맞춰서 지시적 화행 전 체를 묶어 세부 유형들을 변별시키는 시도는 그리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으로 강현화(2007)에서는 지시화행을 [±강제성], [±상하관계], [±화자 도 움]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유형화하였다.
+강제성 +상하관계 +화자도움 ☞ 명령
+청자도움 ☞ 권고
±상하관계 +화자도움 +화자권리 ☞ 요구
-강제성 ±상하관계
+화자도움 ☞ 부탁
+화자도움 함께 행동 ☞ 제안
+청자도움 ☞ 제의
<표 Ⅱ-11> 강현화(2007) 지시 화행 분류
지금까지 논의된 지시 화행의 하위 유형은 요청, 부탁, 권유, 제의, 제안, 허락 받기, 요구, 권고, 충고, 경고, 금지, 명령 등이 있다.37) 하지만 각 하위분류의 구 분은 강현화(2007:11)에 의하면 단어의 뜻풀이만이 아니라 서로 간에 변별되는 담화 상황을 구분해야 보다 명확해진다고 하였다. 이는 교육 시 학습자에게 각 단 어의 뜻풀이를 변별시키는 것이 아니라 담화 상황을 인식시키고 담화 상황과의 상 관성을 고려하여 해당 표현을 교육시켜야 한다고 시사한다.
지시 화행을 실현하는 언어 표현에 관련하여 먼저 장경희(2005:197)에서는 다 양한 사회적 지시 행위를 언어학 관점으로 분류시키는 데에 변별적인 언어 지표 형식을 지니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지시 화자의 의도 결정 절차와 관련하여 지시 행위를 A. 화자 관점 표명의 지시, B. 청자 관점 확인의 지시, C.
관점 중립의 지시로 유형화하였다38). 이중에서 의문문으로 실현되는 것은 유형 B.
37) 국립국어원(2011)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에서 제시된 요청·명 령 관련 유형은 ‘권유하기, 금지하기, 명령하기, 부탁하기, 요구하기, 요청하기, 제안하기, 지시하기, 초대하기, 충고하기, 허락 구하기’가 있다.
38) 장경희(2005) 지시 화행 분류 중에 A. 화자 관점 표명의 지시, C. 관점 중립의 지시유 형은 다음과 같다.
<유형 A: 화자 관점 표명의 지시>
(ㄱ) 화자의 지시 의도 표명 방법:-라,- 어, -어요, -세요, -십시오 등 (ㄴ) 화자의 소망 표현 방법: -기를 바란다.
(ㄷ) 화자의 욕구 표명의 방법: -면 한다, -면 싶다.
(ㄹ) 화자의 태도 진술 방법: -는 게 좋겠다, -면 좋겠다, -면 고맙겠다.
요청
전략 내용 요청 표현
직 접 적
명령문에 의한 요청 -아(어/여) 주십시오/주세요/줘/주라.
수행동사로 요청하기 부탁해/부탁합니다/부탁드립니다/부탁할게.
간 접 적
청자의 허락 구하기
-아(어/여)도 돼(요)/-나요/-ㄹ까요/-겠습니까?
-아(어/여)도 괜찮을까요/괜찮겠습니까?
-(으)면 안 돼/될까/될까요/되나요?
청자의 수행 가능성 묻기
-(으)ㄹ 수 있을까(요)/있으세요/있으신가요?
-(으)ㄹ 수 있어(요)/있나요/있겠습니까?
-아(어/여) 줄 수 있어(요)/있니/있겠니?
-아(어/여) 주실 수 있으세요/있나요/있을까요?
-아(어/여) 주실 수 있습니까/있으십니까?
-가능하신가요/가능할까요?
화자의 희망 소망 표형하기
-고 싶어(요)/싶습니다/싶은데요.
-기 바랍니다.
-(으)면 좋겠어요/좋겠습니다.
‘청자 관점 확인의 지시’에 해당한다. 구체적인 언어 표현은 다음과 같다.
(ㄱ) 수행 의도를 확인하는 방법: ‘-ㄹ래?’, ‘-지 않을래?’, ‘-겠니?’, ‘-지 않 겠니?’ 등
(ㄴ) 수행 여건을 확인하는 방법: ‘-ㄹ 수 없니?’
(ㄷ) 적부 판정 확인 방법: ‘-면 안 되니?’, ‘-면 안 될까?’
(ㄹ) 응대화자의 태도를 확인하는 방법: ‘-ㄴ 게 어떠니?’
지시 행위 중 대표적인 분류로 요청화행의 실현 방법은 이명희(2010:41)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한 바가 있다. 요청에는 직접적인 요청과 간접적인 요청이 있는데 의문문으로 실현된 것은 주로 간접적 요청에 관련된다(의문문 관련 표현은 회색 부분이다).
(ㄱ) 규정 공고 방법: -면 된다, -어도 된다.
(ㄴ) 책임 환기 방법: -어야 한다.
(ㄷ) 결정 내용 공지 방법: -ㄹ 것, -다, -ㅁ, 명사 (ㄹ) 단서 제공 방법: -다
39) 주로 예비요청 기능을 하는 내용. 예를 들어 상대방에게 뭔가를 요청하거나 부탁할 때 먼저 ‘저녁 시간이 있으세요?’, ‘바빠요?’처럼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으)면 합니다/싶습니다.
청자의 의도 묻기
-아(어/여) 주겠니/주시겠어요/주시겠습니까?
-아(어/여) 줄래/줄래요/주실래요?
-(으)ㄹ래요?
제안하기 -자
-는 게 어때요?/어떨까요?
화자의 목적·의도 표 명하기
-(으)러 왔습니다.
-(으)려고 합니다/려고요.
-고자 합니다.
주저하기 좀···, 잠깐···, 내 것도···
암시하기 ···가 필요합니다. 등
이유 제시하기 -아(어/여)서요
-아(어/여)서 왔습니다. 등
약속하기 -(으)ㄹ게(요)
정보 요청 질문하기 의문 어미 형39) 기타
<표 Ⅱ-12> 이명희(2010) 직·간접성에 따른 요청 화행을 구현하는 방법
행위 친교 부담 강제성 선택권 위협
명령 + - + + - -
경고 + - + + - +
<표 Ⅱ-13> 김미령(2006: 25) 명령 및 경고 화행의 변별적인 조건
지시화행의 다른 한 부류로 명령 화행은 보통 청자에게 지시 행위를 시키는데 그 강제성이 부각되어 일컬어지는 용어이다. 발화자는 보통 친교의 목적 없이 청 자에게 부담을 주면서 강제성을 가지고, 청자가 선택의 여지없이 받아들이도록 하 여 선택권이 없는 경우이다. 김미령(2006:25)에서는 이런 강제성을 갖는 행위를 위협을 가지는가에 따라 명령이나 경고로 나누었다.
한편으로 명령 행위는 박종갑(1997:101)에 의하면 상대방에 대한 책망이나 힐 난, 위협이나 경고 등 모습으로 실현되는데 그것은 결국 상대방에게 현재 수행되 고 있는 행동을 금지하라는 것이거나, 어떤 새로운 행동을 하라는 것이다. 즉 명령 행위는 구체적으로 1)현재 수행 행동에 대한 금지, 2)새로운 행동 수행에 대한 촉 구,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명령 화행을 실현하는 언어 형식에 있어서는 먼저, 앞에 논의한 요청 표현이 모 두 가능하다. 왜냐하면 명령 행위는 보통 강한 체면 손상 및 부담을 따르기 때문 에 실제적 담화 상황에서 이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명령을 요청처럼 부드럽게 발화하기 때문이다. 다만 명령의 발화 수반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강하게 발화하면 서 화자의 분노, 못마땅함 등 심적 태도를 표출할 때도 있다. 다음 예문을 보자.
31) 정: 오빠 아무리 이래도 할머니 오시기 전까진 출국 금지야.
환: (짜증은 나지만 할머니 보고는 가야지) 아는 소리 계속할래?
32) 영재: (기가 막히며)...야, 한지은 나와 봐. 빨리, 빨리 안 나와?
지은: (문 열고)왜요?
33) 영인: 전 나이도 있는데 좀 봐주시지 않겠어요?
삼월: 그게 나이하고 무슨 상관이 있겠어요?
34) 할머니: 지금 뭐 잘했다고 울어? 울긴? 그만 못 그쳐?
지은: 저도 안 울려고 하는데, 그런데 자꾸 눈물이 나와서....죄송합니다...
35) 만기: (톤 높여서) 얼른 가서 제대로 하고 오지 못하냐?
주정: (입 삐죽이며) 오빤, 왜 역정은 내고 그러신대요.
31)는 ‘-ㄹ래’어미로 협박을 통해 해당 행동을 못마땅하다고 금지하는 것이며, 32,33)은 ‘안’, ‘-지 않’40), 34,35)은 ‘못’,‘-지 못해?’ 부정 의문문을 통해 화자가 기대하는 행동을 빨리 수행하라고 촉구하는 것이다. 이처럼 명령의 발화 수반력을 강화시키고자 할 때 ‘협박’의미의 ‘-ㄹ래?’, ‘안, 못’ 부정 의문문으로 실현하는 경 우가 있다.
강현화(2007:34)에서는 지시화행 표현을 코퍼스 분석을 토대로 67가지를 정리하였다. 이 중에서 의문문 관련 부분은 다음과 같다.
40) 말뭉치에서 조사한 결과 ‘-지 않-’ 장형 의문문은 보통 부탁에 가까운 부드러운 지시를 하는 데에 쓰고 강한 명령을 수행하는 데의 예문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표현 문형 유형 1 -아/어 주지 않겠나/ 않겠어(요)/않겠습니까? 부탁, 명령 2 -아/어 줄 수 없니/없어(요)/없으세요/없습니까? 부탁, 명령, 요구
3 -지 않겠어(요)/ 않으시겠어요? 제안, 제의
4 -지 않을래(요)? 제안, 제의, 권고
5 -(으)ㄹ 생각 없어(요)/없으세요? 제안, 제의
6 -(으)ㄹ 수 있니/있어(요)/있으십니까? 부탁, 명령, 요구 7 -(으)ㄹ 수 있겠니/있겠어(요)/있으시겠어요? 부탁, 명령, 요구
8 -(으)ㄹ 수 있을까(요)? 부탁, 명령, 요구
9 -(으)ㄹ 수 있지/있겠지/ 있(으시)겠지요? 부탁, 명령, 요구
10 -ㄹ까(요)? 제안
11 -ㄹ래(요)? 제안
12 -(으)면 안 될까(요)/ 되겠어(요)/되겠습니까? 부탁, 요구, 명령 13 -(으)면 좋겠는데 어때(요)/어떤가? 제안, 부탁, 명령,
요구, 제의, 권고
14 -겠니/겠어(요)/겠습니까? 부탁, 명령, 요구
15 -는 것/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제의, 권고 16 -는 게/것이 괜찮지 않아(요)/않을까(요)/않겠습니가? 제의, 권고 17 -는 게/것이 낫지 않아(요)/않을까(요)/않겠습니까? 제의, 권고 18 -는 게/것이 더 좋지 않아(요)/않을까(요)/않겠습니까? 제의, 권고 19 -는 게/것이 어때(요)/ 어떻습니까/어떠니/어떨까(요)? 제의, 권고
20 -아/어 볼까(요)? 제안
21 -아/어 볼래(요)? 제의, 제안
22 -아/어 주시면 안 될까요/되겠어(요)/안 되겠습니까? 부탁, 명령
23 -아/어 주지 않겠나/않으시겠어요? 부탁, 명령
24 -아/어 줄 수 있니/있어(요)/있으세요/있습니까? 부탁, 명령 25 -아/어 줄래/주실래요/주겠니/주겠나/주시겠어(요)/주시겠
습니까? 부탁, 명령, 요구
26 -아/어되 되니/돼(요)/될까(요)/되겠습니까? 부탁
27 -지 그래? 명령, 제의, 권고
28 -지 않겠지요? 부탁
29 -지 않아요? 명령
30 -지 않을래(요)? 제안, 명령
<표 Ⅱ-14> 강현화(2007) 지시화행의 하위 유형 및 표현 문형의 상관성
위 표를 통해서 의문문의 의미 기능은 담화 맥락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것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의 표현은 다양한 기능을 하고 동시에 하나의 기능은 다양한 표현으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문문의 의미 기능은 요청인지 부탁인지, 제의인지 제안인지, 부탁인지 명령인지는 언어 표현만 갖고 판단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