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 방법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31-37)

실험은 예비 조사 및 본실험을 거쳐서 진행하였다. 예비 조사는 학습자가 의문 문에 대한 총괄적 인식, 의문문 간접화행의 인식 및 요구 조사를 하고 의문문의

8) 본실험은 2012년 5월, 2012년 9월 두 차례에 거쳐서 진행하였다. 5월 실험에 참여한 학 습자는 6학기 학습자였고 9월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는 7학기 학습자이며 총 참여자는 177명이었다. 학습자는 개인차가 있으므로 학기 수만으로는 학습자의 등급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성적이나 자아 평가 성적에 근거하여 통계한 결과 이중에서 중급에 해당하는 학생은 44명이고 고급에 해당하는 학습자는 133명이었

사용 양상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적절한 과제 유형 및 문항 내용을 시험적 으로 설계하였다. 본실험은 예비 조사 내용과 결과를 근거로 하여 과제 유형을 선 정하고 문항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각각 한국어 모어 화자 및 중국인 중·고급 학 습자에게 실시하였다. 한국어 학습자 집단과 모어 집단 간 의문문 간접화행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여 학습자 집단이 상황맥락에 따른 의문문 간접화행의 전략적 사용은 모국어 집단과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어떻게 다른지를 질적 및 양 적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예비 조사

예비 조사는 2012년 1월과 2012년 5월 두 체례로 진행하였고 각각 학습자와 모어 화자에게 실시하였다. 조사는 먼저 2012년 1월에 중국인 학습자에게 실시하 였다. 중국인 학습자에게 실시한 예비 조사는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설문Ⅰ은 의 문문의 사용 양상을 시험적으로 조사한 것이고 설문Ⅱ는 의문문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설문이다. 학습자에게 예비 조사를 실시한 후 2012년 5월에 과제 유형 선정 및 설문 문항 개발을 준비하는 단계로 모어 화자에게 의문문 간접화행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담화 완성 테스트 설문지(Discourse Completion Tests, DCT)를 실시하였다. 먼저 중국인 학습자에게 실시한 예비 조사 설문은 다음과 같 다.

구성 조사 내용 자료 도출 유형

설 문

1 의문문 종결형의 사용 빈도 및 난이도 5점 자아 평가, 사고 구술 2 수사 의문문에서의 의문사 사용 양상 문법성 판단(10문항)

3 의문문의 사용 양상 DCT(6문항)

4 의문문의 사용 양상 DCT(10문항), 이중 응답

5 수사 의문문의 사용 양상 DCT(8문항) 설문Ⅱ 의문문 의미 기능에 대한 이해 및 요구조사

<표 Ⅰ-3> 예비조사 구성

Part1은 의문문 사용을 조사하는 기초 작업으로 먼저 의문문 종결 표현의 사용 빈도 및 학습자가 느껴지는 난이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계하였다.

의문사는 수사 의문문을 실현하는 중요한 문법적 요소이고 수사의문문에서 양태

의미를 갖게 되고 그 본래의 의미나 사용과 상당히 다른 모습으로 보인다. 이러한 의문사의 중요한 역할을 감안하여 Part2는 수사 의문문에서의 의문사 사용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하였다. 상황을 제시하고 주어진 의문사를 선택하게 하는 문법 성 판단 유형이다.

Part 3, 4, 5는 개방형 담화 완성 테스트(DCT) 유형으로 설계하였다.

담화 완성 테스트(DCT)는 중간언어 사용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사 회적 배경, 청화자의 신분, 나이, 성별 등을 제공하는 상황을 짧게 묘사한 서술형 문항을 제시하면 학습자들이 빈 공간을 채워 넣는 것이다(카스퍼와 달 Kasper &

Dahl, 1991). DCT는 원하는 화행에 대한 자료를 짧은 시간에 수집할 수 있고, 발 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요소들을 관찰할 수 있으며, 화자의 마음속에 있는 사회 규범적 가치 기준을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비베와 커밍스 Beebe & Cummings, 1985). 구체적으로 폐쇄형(객관식)과 개방형(주관식)이 있 는데 폐쇄형(객관식) 담화 완성 테스트는 정답이 포함된 몇 개의 선택지를 주고 학생에게 선택하게 하는 것으로 이미 정답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발화할 때 정확히 구사하지 못하더라도 연구자의 의도를 알아차리거나 선택지 내용에서 암시 를 받아 정확하게 선택하는 확률이 높아진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수 있다. 주관식(개방형) 담화텍스트는 학습 자의 실제적인 사용 양상을 보다 진실하게 추적할 수 있지만 구어에서의 발화 내 용을 지면상에 적는 방법이므로 역시 진정한 발화 양상과 다를 가능성이 존재한 다. 그런 단점을 최대한 극복하기 위해 상황을 정교하게 설명하고 상황 설명 중에 서 중요한 안내 내용에 힌트를 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Part3, 4는 연구자가 의문문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설정하고 학습자들 이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표현하는가를 조사하고자 설계하였다. Part3의 상황에 서 학습자는 의문문을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Part4에서는 비슷한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표현과 기타 사용 가능한 표현을 각 하나씩 작성하도 록 하여 이중 응답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조사 결과를 보면 이중 응답을 요구하는 Part4부분은 무응답이 많아지고 오류율이 높아졌으므로 본실험에서 이중 응답 유형 을 요구하는 대신에 의문문 간접화행 상황을 더 정교하게 제시하여 단답형 과제 유 형만을 설정하였다. Part5는 수사 의문문의 사용 양상을 조사한 것이다. 앞 Part3,

4과의 차이점은 Part5에서는 반드시 의문문으로 담화 완성하기를 요구하였다.

Part 2-5는 본실험의 실험 도구 선정 및 문항 개발을 위한 실험 단계이다. 회수 된 결과에 근거하여 의문문을 사용하는 데에 어려워하는 점과 자주 범하는 오류를 찾아내고 상황 설명에 적절하지 않거나 엄밀하지 않은 부분을 수정·보완하여 정교 화 하는 작업을 하였다.

설문Ⅱ는 학습자가 의문문 의미 기능에 대한 이해 및 학습 요구를 조사하기 위 한 설문으로 설문Ⅰ을 진행한 뒤에 실시하였다.

(2) 본실험

본실험은 2012년 5월, 9월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실험은 의문문의 간접 화행에 초점을 맞추었고, 실험 도구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Grammatical Judgments Test, GJT), 담화 완성 테스트(Discourse Completion Tests, DCT), 사후 인터뷰(Follow-Up Interview)이다.

문법성 판단(GJT) 및 담화완성테스트(DCT) 문항은 의문문 간접화행이 출현할 수 있는 상황 및 화용적 요인을 고려하여 예비 조사를 토대로 검증·보완하여 각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실험 내용 은 같으나 중국인 학습자에게 실시한 것은 이해하기 쉽도록 상황 설명을 중국어로 제시하였다. GJT 및 DCT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설문지 구성 조사 내용 및 문항 수 과제 유형 실험 대상 설문Ⅰ 수사 의문문에서의 의문사 사용(10문항) JGT CK 설문Ⅱ9) 의문문의 간접화행 사용 양상(21문항) DCT CK, KN

<표 Ⅰ-4> 본실험 설문지 구성

DCT 문항은 요청·명령 기능이 10문항이고 소극적·적극적 진술 기능이 11문항으 로 구성하였다. 우선 요청 기능에 있어서 화자의 발화 의도가 부탁인지 권유인지 또는 제안인지, 담화 장면이 공적인지 사적인지, 대화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 중 힘 의 우위, 친소 관계, 부담 정도 등 변인을 고려하고, 발화자의 전제가 가정 중립인 지 아니면 가정 부정인지를 덧붙여 간접 요청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였 9) 모어 화자에게는 Ⅱ유형만 실시하였다.

문항 상황 설명 담화 장면

대화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

화자 가정 힘 친소 부담

1 다시 전화하기를 부탁하기 공 소 크지 않다 긍정/중립

2 책 반납하기를 부탁하기 사 화<청 소 크다 긍정/중립

3 커피 마시자고 제안하기 사 화=청 친 크지 않다 긍정/중립

4 영화 보자고 제안하기 사 화=청 소 크다 부정

5 손님한테 커피 대접하기 공 화<청 소 크지 않다 긍정/중립 6 술 한잔하자고 제안하기 공 화<청 친 크지 않다 긍정/중립

7 추가 요금 인하를 부탁하기 공 소 크다 부정

8 책 빌려보기 사 화<청 친 크지 않다 긍정/중립

9 말을 들으라고 명령하기 사 화>청 친 중립

10 빨리 일어나라고 명령하기 사 화>청 친 중립

<표 Ⅰ-5> 의문문 요청·명령 기능 설문 문항 구성

항 상황 설명 발화 의도 적/소극적 질술

11 축제 계획안 상의하기 의심을 표시하기 소극적 진술

12 과일 이름 이야기하기 기억을 환기시키기 소극적 진술

13 마케팅 방안 검토하기 확신이 없는 의견을 표시하기 소극적 진술 14 교수님과의 대화 공손하게 의견을 표시하기 소극적 진술

15 동창과의 대화 놀라운 감정을 표시하기 적극적 진술

16 할아버지와의 대화 핀잔주기 적극적 진술

17 반장과의 대화 이의제기 적극적 진술

18 친구와의 대화 놀라움을 표시하기 적극적 진술

19 친구와의 대화 선행 발화에 대한 부정/반대 적극적 진술 20 친구와의 대화 선행 발화에 대한 부정/반대 적극적 진술 21 친구와의 대화 선행 발화에 대한 부정/반대 적극적 진술

<표 Ⅰ-6> 의문문 진술 기능 설문 문항 구성

다. 명령 기능에 있어서 의문문으로 실현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사적인 장면에 서, 엄마와 자식 간의 대화 상황을 설정하였다.

요청·명령 기능의 설문 문항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소극적·적극적 진술 기능에는 발화자의 발화 의도와 심적 태도를 고려하여 상황 을 설정하였다. 문항11-18번은 주어진 상황적 맥락과 언어적 맥락에 따라 자유롭 게 담화를 완성시키는 것이고 문항19-21번은 반드시 의문문으로 담화를 완성하 기를 요구하였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3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