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36) 단서조항을 두어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배기 가스정화장치를 설치하여 황산화물 배출제한 기준량37) 이하로 황산화 물 배출량을 감축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두고 있다.38)
저속운항해역에서는 저속운항선박에 대해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등 의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저속운항 속도는 12노트 이하로 규 정하고 있다.39)
대기배출부과금의 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은 황산화물, 먼지, 질소산 화물, 암모니아, 황화수소, 이황화탄소, 불소화물, 염화수소, 시안화수 소 등 9개이다. 이 중 에너지 사용으로 발생되는 배출량이 많은 오염 물질은 황산화물, 먼지, 질소산화물 등이다(제2장 <표 2-1> 참조). 대 기배출부과금의 대상이 되는 사업장은 기본부과금의 경우 1∼3종 대 기배출사업장이며, 초과부과금의 경우 1∼5종 대기배출사업장이다. 대 기오염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4종 및 5종 사업장은 기본부과금이 면제된다.
종별 오염물질발생량 구분
1종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80톤 이상인 사업장
2종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0톤 이상 80톤 미만인 사업장 3종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 4종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이상 10톤 미만인 사업장 5종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미만인 사업장
<표 3-8> 「대기환경보전법」 제13조 관련 사업장 분류기준
주: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이란 방지시설을 통과하기 전의 발생량임.
자료: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1의3
배출부과금은 기본부과금과 초과부과금으로 구분된다. 황산화물, 먼 지, 질소산화물은 기본부과금과 초과부과금이 모두 적용되며, 나머지 대기오염물질은 초과부과금만 적용된다. 기본부과금은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에 따라 부과되고, 초과부과금 은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배출하는 경우 초과배출량에 대해 부과된
다(「대기환경보전법」 제35조 제2항). 배출허용기준은 「대기환경보전법
」 제16조 제1항에 의해 정해지며 오염물질의 농도를 기준으로 한다.
대기배출부과금의 산정방법은 <표 3-9>에 제시되어 있다.
구분 초과배출부과금('83년∼) 기본배출부과금('97년∼) 부과 대상 배출허용기준 초과사업장(1∼5종) 대기배출사업장(1∼3종)
부과 항목 (단가)
① 황산화물(500원/kg) ② 먼지(770원/kg) ③ 질소산화물(2,130원/kg) ④ 암모니아(1,400원/kg) ⑤ 황화수소(6,000원/kg) ⑥ 이황화탄소(1,600원/kg) ⑦ 불소화물(2,300원/kg) ⑧ 염화수소(7,400원/kg) ⑨ 시안화수소(7,300원/kg)
① 황산화물(500원/kg)
② 먼지(770원/kg)
③ 질소산화물(2,130원/kg)
산정 방법
[자체 개선 시]
① 초과 배출량×② 부과 단가×
③ 지역별 부과계수×④ 연도별 산정지수 [지도․점검에 의해 확인 시]
① 초과 배출량×② 부과 단가×
③ 배출기준 대비 초과율별 부과계수×
④ 지역별 부과계수×⑤ 연도별 산정지수×
⑥ 위반횟수별 부과계수
① 기준이내 배출량×
② 부과 단가×
③ 연도별 산정지수×
④ 지역별 부과계수×
⑤ 농도별 부과계수
부과 기간 초과시부터 개선완료까지 매 반기별(연 2회)
<표 3-9> 대기배출부과금 제도 개요
자료: 환경부 보도자료(2018.12.24), ‘사업장 배출 질소산화물 획기적으로 줄인다’, p.7 및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4
기본부과금 부과대상 오염물질에 대한 농도별 부과계수는 「대기환경 보전법」 제39조에 따른 측정 결과가 있는 시설과 없는 시설로 구분하 여 부과한다. 측정 결과가 있는 시설의 농도별 부과계수는 <표 3-10>
에 제시되어 있다. 측정 결과가 없는 시설 중 황산화물의 농도별 부과 계수는 <표 3-11>에 제시되어 있고, 먼지 및 질소산화물에 대한 농도 별 부과계수는 0.15를 적용한다. 한편, 초과부담금 적용시 배출허용기 준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율별 부과계수는 <표 3-12>에 제시되어 있다.
30%
미만
30% 이상 40% 미만
40% 이상 50% 미만
50% 이상 60% 미만
60% 이상 70% 미만
70% 이상 80% 미만
80% 이상 90% 미만
90% 이상 100% 미만
0 0.15 0.25 0.35 0.5 0.65 0.8 0.95
<표 3-10>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측정 결과 있는 시설)
주: 질소산화물의 부과계수는 2022년 1월 1일 이후 적용되는 계수임.
자료: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8
연료의 황함유량(%)
0.5% 이하 1.0% 이하 1.0% 초과
0.2 0.4 1.0
<표 3-11>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측정 결과 없는 시설)
자료: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8
20%
미만
20% 이상 40% 미만
40% 이상 80% 미만
80% 이상 100% 미만
100% 이상 200% 미만
200% 이상 300% 미만
300% 이상 400% 미만
400%
이상
1.2 1.56 1.92 2.28 3.0 4.2 4.8 5.4
<표 3-12> 배출허용기준 초과율별 부과계수
자료: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4
배출부과금 면제 조건은 「대기환경보전법」에 명시되어 있는데, LNG 나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배출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자에 대하여는 먼 지와 황산화물 배출에 대한 기본부과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대기환경보 전법 시행령」 제32조 제2항). 또 발전소는 황함유량이 0.3% 이하인 액 체연료 및 고체연료, 발전시설 외의 배출시설(설비용량이 100MW 미만 인 열병합발전시설을 포함)의 경우에는 황함유량이 0.5% 이하인 액체연 료 또는 황함유량이 0.45% 미만인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배출시설로서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해서는 기본부과금을 부과하
지 않는다(「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32조 제1항 제1호). 그리고 대통 령령으로 정하는 최적의 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는 배출부과금이 면제 된다(「대기환경보전법」 제35조의2 제1항 제2호).
질소산화물에 대한 대기배출부과금은 2020년부터 시행되었다. 환경 부 보도자료41)에 의하면 제도 도입의 실효성을 위해 부과금 단가
(2,130원/kg)를 오염물질 처리비용(1,921원/kg)보다 약 10% 높게 설정
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42) 이에 반해 먼지와 황산화물 부과금 단가 는 1991년 「대기환경보전법」 제정 시 정한 단가에 물가상승률을 고려 한 ‘연도별 산정지수’43)를 반영하여 결정되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현행 방지기술 수준 등을 고려하여 현실 화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44)
2019년 12월말을 기준으로 대기배출부과금 부과대상 사업장은 60,726 개로 나타났다(<표 3-13> 참조). 종별로 살펴보면, 기본부과금을 면제받 는 4종 및 5종 사업장의 비율이 전체의 90.9%로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구분 총계 1종 2종 3종 4종 5종
사업장수(개) 60,726 1,847 1,647 2,044 19,993 35,195 비율(%) 100.0 2.2 2.3 3.2 33.0 59.2
<표 3-13>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현황(2019.12말 기준)
자료: 환경부(2020), 환경백서, p.370를 이용하여 저자가 비율을 계산하여 작성
41) 환경부(2018.12.24) 보도자료, ‘사업장 배출 질소산화물 획기적으로 줄인다’, p.11 42) 환경부(2018.12.24)에서 질소산화물의 사회적 한계비용은 45,971원/kg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부과단가를 사회적 한계비용보다 크게 낮게 설계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43) 2010년 기본부과금의 부과금산정지수는 1.7425이다(환경부고시 제2020-8호).
44) 환경부 보도자료(2018.12.24), ‘사업장 배출 질소산화물 획기적으로 줄인다’, p.11
시도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서울특별시 1 0 0 0 0 0 0
인천광역시 158 241 340 120 72 35 부산광역시 22.054 17 11.766 21.5 9.446 16.824 10.719
대전광역시 1 2 3 2 2 3 2
대구광역시 39 43 17 15 8 9 15
울산광역시 629 516 308 315 188 광주광역시 10.6 2.8 1.6 37.4 2.3 3.6 16.5
세종특별자치시 1 12 8 2 17
경기도 179 490 302 423 461 261 100
강원도 661.9 641.3 514.6 397.0 282.7 439.4 346.0
경상남도 1,209 1,677 1,666 1,379 1,333 1,116 819
경상북도 168.92 218.86 95.67 108.26 149.10 374.00 396.44
전라남도 1.1 6.3 1.6 3.9 2,338.0 1,852.0 1,822.8
전라북도 32 18 53 21 88 28
충청남도 2,584 2,277.0 2,726.9 3,895.8 6,940.2 3,784.5 2,964.4 충청북도 61 257 93 64 44 57 85
제주도 22 7 1 2 3 2 4
전국 5,120 6,553 6,316 6,832 11,998 8,229 6,610
<표 3-14> 시도별 대기배출부과금 징수 실적 추이
(단위: 백만원)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index/index.do 접속일 2020.9.20)의 지자체별 자료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작성
<표 3-14>는 2012∼2018년 기간의 시도별 대기배출부과금 징수 실 적을 보여주고 있다.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크며, 충청남도 및 전라남도 가 비교적 많은 대기배출부과금을 징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대기배출부과금 제도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현재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먼지에 대한 대기배출부과금 제도는 조세적 성 격을 갖는 기본부과금과 벌과금적 성격을 갖는 초과부과금으로 이루어 져 있다. 대기배출부과금의 요율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의 한계피해비용
으로 결정되어야 하지만 오염물질의 평균한계처리비용을 기준으로 부 과요율로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금년부터 도입된 질소산화물에 대 한 대기배출부과금의 단가(2,130원/kg)는 질소산화물의 사회적 한계비 용(45,971원/kg)이 아닌 오염물질 처리비용(1,921원/kg)보다 약 10%
높은 수준으로 설정되었다.45) 또 먼지와 황산화물 부과단가는 1991년
「대기환경보전법」 제정 시 정한 단가에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연도별
산정지수’46)를 반영하여 결정되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대기배출부과금 제도는 규제대상인 대기오염물질에 직접 부과금을 부과하여 오염물질 감축효과가 높을 수 있으나,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측정과 모니터링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47) 황산화물 배출량 중 4∼5 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에 불과하지만, 업체수의 비중은 90%
를 차지해 부과대상 사업자수가 너무 많아 편익에 비해 행정비용이 과 다하다고 할 수 있다.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