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1.3. 에너지원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표 2-2>에는 2016년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에 대한 에너지원별 기 여도가 나타나 있다.9) 초미세먼지(PM2.5)의 60%를 석탄이 배출하고, 경유와 중유도 각각 28%, 8%를 배출하여, 배출량의 대부분을 석탄과 석유에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SOx 배출량의 대부분은 석탄(69%) 과 중유(30%)에서 배출되었고, NOx 배출량의 55%는 경유에서 배출 되고 석탄(19%)과 중유(10%)도 배출기여도가 높았다.
CO NOx SOx PM-2.5 VOC NH3
석유 74.9 70.6 30.8 38.0 77.0 76.4 휘발유 37.2 2.0 0.0 1.5 34.1 50.2 경유 27.5 55.3 0.8 28.0 36.4 10.2 등유 0.3 0.6 0.0 0.1 0.1 3.2 중유 2.6 10.4 29.6 8.0 4.2 7.3 항공유 1.7 0.8 0.3 0.1 0.7 0.0
LPG 5.5 1.6 0.0 0.2 1.5 5.3
천연가스 12.4 10.2 0.3 1.9 18.8 23.3 석탄 12.7 19.2 68.9 60.2 4.2 0.3
무연탄 8.2 4.2 29.2 53.9 1.5 0.0 유연탄 4.4 15.1 39.7 6.3 2.7 0.3
<표 2-2> 에너지원별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 기여도(2016년 기준) (단위: %)
자료: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2019), 2016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엑셀 data(2016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시군구별 배출원소분류별 연료별).xls)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작성
9) 2020년에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에서 발간된 ‘2017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
량’에는 ‘비도로이동오염원’에서 사용된 연료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2016년 자료 를 이용하였다.
석탄은 PM2.5와 SOx 배출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에 석탄 사용으로 인한 PM2.5 배출량의 91%는 제조업연소에
서, 8%는 에너지산업연소에서 배출되고, NOx 배출량의 58%는 제조 업연소에서,10) 39%는 에너지산업연소에서 배출된다([그림 2-6] 참조).
그리고 SOx 배출량의 48%는 제조업연소에서, 44%는 에너지산업연소 에서 배출된다. 이처럼 산업부문의 석탄 사용은 여러 대기오염물질 배 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문 석탄의 PM2.5 배출량이 발전용 석탄보다 12배 많았다.
[그림 2-6] 석탄 사용으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별 비중
자료: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2020), 엑셀 data(2017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 계(시군구별 배출원소분류별 연료별).xls)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작성
<표 2-3>에는 2017년 제조업연소의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에 대한 에너지원별 기여도가 나타나있다. PM2.5의 99%, SOx의 91%, NOx의
63%는 석탄에서 배출되고, 중유는 SOx의 7%, NOx의 4%를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NOx의 16%는 천연가스에서 배출되었다.
10) NOx의 경우 41%가 비금속광물의 석탄에서 배출된다.
1차금속산업 및 비금속광물산업에서 석탄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 질 배출량이 산업부문 전체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1차 금속산업에서는 산업부문 PM2.5 총 배출량의 89%, SOx의 53%, NOx
의 16%를 차지하였으며, 비금속광물산업에서는 산업부문 PM2.5 총
배출량의 2%, SOx의 18%, NOx의 41%를 차지하였다.11) 결국 이들 산업에서의 석탄 사용이 산업부문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이다.
CO NOx SOx PM-2.5 VOC NH3
석유 22.3 9.9 7.2 0.4 20.5 40.2 경유 2.1 0.9 0.1 0.0 0.6 9.0 등유 0.2 0.1 0.0 0.0 0.1 0.6 중유 3.8 3.8 7.1 0.2 5.4 16.1
LPG 16.2 5.1 0.1 0.2 14.4 14.5
천연가스 58.8 16.0 0.6 0.7 44.8 59.2 석탄 18.9 62.5 91.2 98.9 34.7 0.5
무연탄 10.0 17.3 57.3 93.2 28.6 0.2 유연탄 8.8 45.2 33.9 5.8 6.1 0.3
<표 2-3> 제조업연소의 에너지원별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 기여도 (단위: %)
자료: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2020), 엑셀 data(2017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 계(시군구별 배출원소분류별 연료별).xls)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작성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업부문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타부 분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도로이동 오염원의 배출 기여도 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문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가장 크게 기
11)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2019), 엑셀 data(2016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 (시군구별 배출원소분류별 연료별).xls)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계산
여하는 에너지원은 석탄이며, 비도로이동 오염원에서는 중유이다. 발전 용 연료에 대한 세금에 환경비용을 반영하여, 발전용 천연가스의 개별 소비세를 kg당 60원에서 12원, 수입부과금을 kg당 24.2원에서 3.8원으 로 인하하고, 발전용 유연탄의 개별소비세를 kg당 36원에서 46원으로 인상하여 2019년 4월부터 시행하였다. 앞서 배출원별 대기오염물질 배 출량을 살펴보았듯이 발전용보다 산업용 석탄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 출량이 훨씬 커서 산업부문과 비도로이동오염원에 대해 대기오염물질 저감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에너지세제 조정을 통한 에너지가격 구조 개선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