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분석모형

1.3. 모형구조

1.3.1. 가계부문

가계부문은 소득수준에 따라 10분위 소득계층으로 구성되며 각 소 득계층은 하나의 대표소비자로 구성된다.127) 대표 소비자는 주어진 예 산소득 하에 효용극대화를 위해 여가와 소비 그리고 미래소비를 위한 저축을 하는 주체로 정의되며, Stone-Geary 효용함수를 이용한다.128)

max     

      (1)

 

         

 (2)

: 시간에 대한 할인율, : 시점 간 대체탄력성

: 소득계층의 소비, :소득계층의 최소요구 소비

: 여가,   : 여가와 소비의 대체탄력성

노동시장에서는 10개의 소득계층으로 구성된 가계는 노동을 공급하 고 복합된 후 각 산업에 배분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129)130) 노동공급 은 불완전 대체관계로 복합되어 불완전전환(constant elasticity of transformation)에 의해 산업으로 배분된다고 가정한다.

126) 본 연구는 조경엽(2009), 조경엽·김영덕(2017), 조경엽(2020)의 내용을 본 연구 목적 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따라서 모형에 대한 설명은 중요한 부분에 한정한다.

127) 조경엽(2020), p.13

128) 조경엽(2020) 및 조경엽·김영덕(2017)에서와 동일하게 대표소비자는 무한 생존 능력과 미래에 대한 완전 예측능력(perfect foresight)를 가지고 있으며, 소득계층 별 최소요구 소비는 소득에 대한 소비탄력성이 1분위 0.915에서 소득이 증가할 수록 조금씩 증가하여 10분위는 0.98이 되는 점에서 추정하여 모형에 반영하였 다(조경엽(2020), pp.13-14).

129) 조경엽(2020), pp.14-15

130) 향후 연구는 오상봉(2020)이 제시한 업종별·소득계층별 취업자 분포 및 근로소

득을 이용하여 업종별로 세분화는 방향으로의 모형 고도화가 요구된다.

[그림 5-1] 노동시장 구조

자료: 조경엽(2020), p.15



 

  



 

(3)

 

  



 

  (4)

여기서 는 비중모수, 

는 대체탄력성과 전환탄력성을 의미한다.

소득계층별 복합소비재 는 [그림 5-2]에서와 같이 복합단계를 거 쳐 구성된다.

[그림 5-2] 소득계층별 소비구조

중유()와 기타 석유제품()이 복합되어 석유()를 형성

하고, 석유는 LNG와 복합되어 석유·가스 복합재화()를 형성하며, 이

는 다시 석탄과 복합되어 화석연료()를 형성하고, 이는 다시 전력

()과 복합되어 에너지 복합재화()를 형성한다.131) 에너지 복합재

화는 아밍톤(Armington) 복합재화()와 복합되어 최종소비재화()를 형성한다. 단계별 복합재화는 CES 함수이며, 최종소비재화는 에너지 복합재화()와 아밍톤 복합재화()가 결합하여 형성된다.

131) 하첨자 는 편의상 생략함

 

        

(5)

 

       

(6)

 

        

(7)

 

        

(8)

 

       

(9)

1.3.2. 산업부문

산업부문은 석탄, 석유, 천연가스, 전력 등 에너지와 중간재화뿐만 아니라 노동과 자본이라는 생산요소를 이용하여 생산하며, 에너지는 가계와 유사한 방법으로 복합된다고 가정한다. [그림 5-3]에서 보듯이

중유()와 기타 석유제품()이 복합되어 석유()가 형성되

고, 석유는 LNG와 복합되어 석유·가스 복합재화()를 형성하며, 이는

다시 석탄과 복합되어 화석연료()를 형성한 후 전력()과 복합되 어 에너지 복합재화()를 형성한다. 석유복합재화는 중유와 기타 석유 제품이 CES 함수로 복합된다고 가정한다.

[그림 5-3] 산업 생산구조

재화( )는 노동ㆍ자본․에너지 복합재( )와 아밍톤 중간재 ( )를 사용하여 생산되며(<표 5-4> 참조), 불변전환탄력성(Constant Elasticity of Transformation)에 의해 수출재화()와 국내소비재화

()로 전환된다. <표 5-4>에는 산업부문의 생산구조와 함수형태를

간략히 보여준다.

생산함수 함수형태

 CES

  CES

 CES

 CES

 CES

 CES

 CES

 CES 주: : 총생산, : 아밍톤복합재,

: 수입재, : 국내재,

: 자본-노동-에너지 복합재,

: 자본-노동 복합재, : 노동,

: 자본, : 연료-전력 복합재,

: 연료 복합재, : 석유-가스 복합재,

: 전력, : 석탄,

: 석유, : 천연가스.

: 중유, : 기타석유제품,

<표 5-4> 산업부문의 생산구조와 함수형태

1.3.3. 정부부문 및 대외거래

정부는 근로소득세, 자본소득세, 소비세, 관세를 통해 수입을 얻고 정부소비와 가계이전을 통해 이를 지출한다. 본 모형은 소규모개방경 제를 가정하고 있어 수입재화의 가격은 외생적으로 주어진다.

1.3.4. 캘리브레이션

모형경제를 현실경제에 가깝도록 하기 위한 장기성장률, 이자율, 자 본의 감가상각률, 실질임금에 대한 실업탄력성, 가계부분의 시점 간 대

체탄력성(

), 자본과 노동 간의 대체탄력성, 중간재화 간 대체탄력성

등 모수 값은 조경엽(2020)132)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에너지원 간 대체탄력성은 가계와 산업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였으며, 중유와 기타 석유제품 간 대체탄력성은 0.1, 석유와 LNG 간 대체탄력성은 0.5, 석 유·가스와 석탄 간 대체탄력성은 0.3, 화석연료와 전력 간 대체탄력성 은 0.5로 가정하였다. 중유와 기타 석유제품 간 대체탄력성을 상대적 으로 낮게 가정한 이유는 석유제품은 연관제품으로 특정 석유제품의 가격변화에 따라 다른 석유제품의 생산량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특성을 감안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