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는 세금이 부과되고 산업용 유연탄에는 세금이 면제된다. 이와는 반대 로 발전용 LNG에 대한 제세부담금(개별소비세 12원/kg, 수입부과금

3.8원/kg)은 도시가스용(개별소비세 42원/kg, 수입부과금 24.2원/kg)보

다 크게 낮다. 이는 에너지세제 개편이 외부비용을 기반으로 하여 에 너지원간의 형평성 확보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발전용 연료 간의 조정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적용하지 않는다.27) 그리고 「대기환경보전법」 제41조 제3항에서는 황 함유 기준을 초과하는 연료를 공급, 판매,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배출 시설 설치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받거나 신고 또는 변경신고를 한 경우 로 한정하고 있다. 배출시설의 설치 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받기 위해 서는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대기환경보전법」 제23조).

구 분 황함유 기준

유 류

중 유

(벙커-A, 벙커-B, 벙커-C)

0.3% 이하 0.5% 이하 1.0% 이하

경 유 0.1% 이하

등 유 0.01% 이하

저황왁스유

(LSWR) 0.3% 이하

부생 연료유

1호(등유형) 0.1% 이하

2호(중유형) 0.2% 이하

석 탄 유 연 탄 0.3% 이하

무 연 탄 0.5% 이하

<표 3-4> 연료용 유류 등의 황함유 기준

자료: 「환경부고시」 제2015-201호 ‘연료용 유류 등의 황함유기준’ 제2조의 별표

경유는 전국이 황함유량 0.1% 이하로 규제되고 있고, 중유의 황함유 량별 공급·사용 지역 기준은 <표 3-5>와 <표 3-6>에 제시되어 있다. 저 황유 사용시설의 범위는 ①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② 시간당 증발량 이 0.5톤 이상이거나, 시간당 열량이 309,500kcal 이상인 보일러(고체

27)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10의2

연료의 사용이 제한된 지역에서는 시간당 증발량이 0.2톤 이상이거나, 시간당 열량이 123,800kcal 이상인 보일러)로 정하고 있다.28)

황 함유량 0.5% 이하의 중유를 사용해야 하는 지역은 다음 <표 3- 5>와 같으며, 104개의 기초자치단체(시·군)를 포함하고 있다.

시·도별 공급·사용지역

특별자치시(1) 세종특별자치시 전 지역

경 기(6) 안성시, 포천시, 여주군,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강 원(15)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속초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충 북(9)

청주시(「충청북도 청주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청주시로 통합되기 전의 청원군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한정한다), 증평군, 진천군, 음성군,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괴산군, 단양군

충 남(11) 공주시, 보령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금산군

전 북(11)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 고창군, 부안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순창군

전 남(19)

나주시, 순천시, 담양군, 곡성군, 영암군, 함평군, 완도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무안군, 영광군, 장성군, 진도군, 신안군

경 북(18)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문경시,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예천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 칠곡군

경 남(14) 통영시, 사천시, 거제시, 밀양시, 함안군, 의령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표 3-5> 황함유량 0.5% 이하 중유 공급·사용 지역

주: 1) 저유황 고유동점 연료유(LSWR) 포함

2) ( )내는 시·도별 공급·사용지역 기초자치단체의 개수

자료: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10의2

2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10의2

황함유량 0.3% 이하의 중유를 사용해야 하는 지역은 다음 <표 3-6>

과 같으며, 126개의 기초자치단체(시·군·구)를 포함하고 있다.

시·도별 공급·사용지역

특별시 및 광역시(74)

서울특별시(25), 부산광역시(16), 대구광역시(8), 인천광역시(10), 울산 광역시(5), 광주광역시(5), 대전광역시(5)

경 기(25)

수원시, 안산시, 군포시, 시흥시, 부천시, 성남시, 구리시, 평택시, 정부시, 안양시, 광명시, 고양시, 오산시, 의왕시, 하남시, 용인시, 천시, 과천시, 남양주시, 김포시, 화성시, 광주시, 동두천시, 양주시, 파주시

강 원(3)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충 북(3)

청주시(「충청북도 청주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청 주시로 통합되기 전의 청원군에 해당하는 지역은 제외한다), 충주시, 제천시

충 남(4) 천안시, 아산시, 서산시, 당진군 전 북(3)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전 남(3) 여수시, 목포시, 광양시

경 북(5) 포항시, 구미시, 경산시, 경주시, 김천시 경 남(4)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 진주시 특별자치도(2) 제주특별자치도 전 지역

<표 3-6> 황함유량 0.3% 이하 중유 공급·사용 지역

주: 1) 저유황 고유동점 연료유(LSWR) 포함

2) ( )내는 시·도별 공급·사용지역 기초자치단체의 개수

자료: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10의2

2019년 중유(B-A유, B-B유, B-C유) 소비 현황을 살펴보면, 연료 사

용 규제로 산업용 중유의 90%, 발전용 중유의 74%가 황함유량 0.5%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3-7> 참조). 다만, 연료사용 규제를 적용 받지 않는 해상운송용 중유의 88%는 황함유량 1% 이상인 것으로 나 타났다. IMO 2020 규제가 시행되는 금년부터는 해상운송용 중유의 상 당량이 황함유량 0.5% 이하의 중유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제품

구분 산업 발전 해운 기타

황함유량 (외항수송)

경질중유 (B-A유)

1% 이상 0.8 0.0 4.5 2.5 6.8 0.2

0.5% 이하 8.5 0.0 2.5 0.3 14.3 3.9

소계 9.3 0.0 7.0 2.8 21.1 4.1 중유

(B-B유)

1% 이상 1.8 0.0 0.8 0.1 1.6 0.9

0.5% 이하 2.6 0.0 0.1 0.0 8.3 0.9

소계 4.4 0.0 0.8 0.1 9.9 1.8 중질중유

(B-C유)

1% 이상 7.6 26.2 83.2 87.0 21.2 54.4

0.5% 이하 78.7 73.8 9.0 10.1 47.8 39.6

소계 86.3 100.0 92.2 97.1 69.0 94.0

1% 이상 10.2 26.2 88.4 89.6 29.6 55.6

0.5% 이하 89.8 73.8 11.6 10.4 70.4 44.4

100 100 100 100 100 100

<표 3-7> 2019년 중유 제품별 부분별 소비 비중

(단위: %)

자료: 한국석유공사, PEDSIS의 석유수급통계 자료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작성

석유류뿐만 아니라 석탄류 등 고체연료의 사용도 제한한다. 이는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42조 제1항에서 정하고 있으며, 별표 11의2 에 해당 지역이 나타나있다. 고체연료 사용 제한 지역은 ① 서울특별 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및 울산광역시 ② 경기도 중 수원시, 부천시, 과천시, 성남시, 광명시, 안 양시, 의정부시, 안산시, 의왕시, 군포시, 시흥시, 구리시, 남양주시이 다. 다만, 위 지역 중 별표 11의3에 따라 청정연료 외의 연료사용이 허 용된 화력발전소에서는 고체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