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에너지소비 현황
2.3. 중유 소비 현황
중은 3%로, 과거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주로 산업단지의 열병합발전의 연료로 사용되는 기타산업용 유연 탄14)은 과거 20년 동안 큰 변동 없이 250만 톤 내외의 소비량을 보이 고 있고, 유연탄 소비 중 비중은 2019년 기준으로 2%로 나타났다.
[그림 2-14] 1991∼2019년 기간의 용도별 중유 소비 추이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2020.10), 에너지통계월보, p.51의 data를 재분류하여 작성
가장 최근 통계를 반영하는 지난해(2019년) 기준의 중유 소비 현황 을 살펴보자.15) B-A유, B-B유, B-C유 등 전체 중유 소비량은 2019년 에 23,996천 Bbl이며16), 제품별로는 중질중유(B-C유)가 전체 중유 소 비의 91.5%를 차지한다(<표 2-4> 참조). 그리고 황함유량이 1.0% 이 상인 중유는 전체 소비의 56.8%로 절반을 넘었다(<표 2-4> 참조).
15) 중유의 분류를 세분화하면 경질중유(Bunker-A유), 중유(Bunker-B유), 중질중유(Bun
ker-C)로 나누어지는데, 본 연구에서 별도의 표시 없이 ‘중유’로 표현할 경우 이
들 세 가지 제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6) 한국석유공사-PEDSIS
제품
구분 산업 발전 해운 기타 계
황함유량 (외항수송)
경질중유 (B-A유)
1% 이상 0.8 0.0 4.5 2.5 2.8 2.9
0.5% 이하 8.5 0.0 2.5 0.3 6.0 3.8
소계 9.3 0.0 7.0 2.8 8.8 6.7 중유
(B-B유)
1% 이상 1.8 0.0 0.8 0.1 0.7 0.9
0.5% 이하 2.6 0.0 0.1 0.0 3.5 0.9
소계 4.4 0.0 0.8 0.1 4.1 1.8 중질중유
(B-C유)
1% 이상 7.6 26.2 83.2 87.0 8.9 52.9
0.5% 이하 78.7 73.8 9.0 10.1 78.2 38.5
소계 86.3 100.0 92.2 97.1 87.1 91.5
계
1% 이상 10.2 26.2 88.4 89.6 12.4 56.8
0.5% 이하 89.8 73.8 11.6 10.4 87.6 43.2
계 100 100 100 100 100 100
<표 2-4> 2019년 중유 제품별 부분별 소비 비중
(단위: %)
자료: 한국석유공사-PEDSIS 자료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작성
2019년 중유의 용도별 소비 현황을 살펴보자. 해운용은 13,599 천
Bbl로17) 전체 중유 소비의 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그림
2-15] 참조). 황함유량 기준의 용도별 소비를 살펴보면, 산업용 중유의
90%, 발전용 중유의 74%가 황함유량이 0.5%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2-4> 참조). 이는 연료사용 규제18)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되며, 연 료사용 규제의 적용을 받지 않는 해상운송용 중유의 88%는 황함유량 이 1%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양 대기질에 대한 국내외적
17) 한국석유공사-PEDSIS
18) 연료사용 규제에 관한 구체적 내용은 본 연구의 제3장에서 다룬다.
규제19)가 시행되는 금년부터는 해상운송용 중유의 대부분이 황함유량
0.5% 이하의 중유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2-15] 2019년 용도별 황함유량별 중유 소비 현황
자료: 한국석유공사-PEDSIS의 data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작성
<표 2-5>과 [그림 2-16]는 2016년∼2019년 기간 동안 황함유량
0.5% 이하인 중유의 소비 비중 추이를 용도별로 보여준다. 발전용은
2016년에 그 비중이 15.4%에 불과하였으나, 2019년에는 73.8%로 급 등하였고, 기타 용도도 2016년 비중이 58.2%에서 2019년에 87.6%로 증가하였다. 산업용은90% 가까운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또 중유 소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해운용은 황홤유량
0.5% 이하인 중유의 소비 비중은 2016년에 3.6%에서 2019년에
11.6%로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황함유량 1% 이상인 제품의 소비비중
19) 국제적으로는 국제해사기구(IMO)가 금년부터 ‘IMO 2020’을 시행하여 선박 연료 의 황산화물 배출이 황함유량 0.5% 이하로 제한되고, 국내적으로도 금년 9월부 터 「항만대기질법」의 시행으로 주요 항만지역에서는 황함유량 0.1% 이하의 연료 유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약 90%를 차지한다. 중유 전체로는 황함유량 0.5% 이하인 제품의 소비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용 연료에서 중유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운용 석유제품 의 유종별 현황을 살펴보자. 해운용 석유제품 소비량은 2019년에
17,119천 Bbl로, 이 중 중질중유(B-C유)가 73%를 차지하는 등 중유
전체의 비중이 80%를 차지하였다. 경유는 20%를 차지하였으며, 다른 유종의 소비는 거의 없었다.
구분 2016 2017 2018 2019
산업 88.8 84.4 89.5 89.8
발전 15.4 34.1 34.6 73.8
해운 3.6 3.2 3.5 11.6
(외항수송) 2.5 2.1 2.1 10.4
기타 58.2 62.6 89.8 87.6
계 26.7 30.2 33.2 43.2
<표 2-5> 용도별 황함유량 0.5% 이하 중유의 비중 추이
(단위: %)
자료: 한국석유공사-PEDSIS의 data를 저자가 황 함유량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작성 [그림 2-16] 용도별 황함유량 0.5% 이하 중유의 비중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PEDSIS의 data를 저자가 재분류하여 작성
[그림 2-17] 해운용 석유의 유종별 소비 비중
자료: 한국석유공사-PEDSIS의 data를 이용하여 작성
해운용 중유 소비 중 내국적 외항수송업의 비중이 89%에 달하고 있 는데, 이는 해운용 중유 소비의 대부분이 국내 연안수송이 아니라 국 외의 해양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유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 오염물질 배출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측면에서는 외항수송 용의 영향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2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유 소비의 57%는 해운용이고, 해운용 연 료의 80%가 중유라는 사실은 중유가 해운용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료 라는 것을 말해준다.
20) 그러나 온실가스 배출 측면에서는 국내나 국외의 차이가 없이 배출의 기여도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