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GDP가 0.5% 내외로 감소하는 등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적 충격을 줄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현행 발 전용 석탄에 대한 세금 수준(46원/kg)으로 과세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 가 있다.

2.2. 천연가스와 중유의 상대가격 조정

내륙과 해상에서 사용되는 중유에는 다른 황함유량 기준(연료 사용 규제 및 해양 대기질 규제)이 적용된다. 황함유량별 중유 사용 내역을 살펴보면(<표 3-7> 참조), 내륙에서 사용되는 중유 중 황함유량 0.5%

이하인 중유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산업용은 그 비중이 90%에 달하지만, 해운용은 거의 90%가 황함유량 1% 이상인 중유를 사용한다. 그러나 금 년부터는 모든 해상에서 의무적으로 황함유량 0.5% 이하인 중유를 사 용해야 한다. 특히, 배출규제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서는 황함유량이

0.1% 이하인 중유를 사용하여야 한다([그림 3-1] 및 [그림 3-2] 참조).

현재 중유에는 개별소비세 17원/l원과 교육세 2.55원/l원이 부과되고 있다. 중유의 단위당 환경비용은 타연료에 비해 높은 편인데, 산업용 중유의 단위당 환경비용 추정치는 KEI(2015) 기준으로 424원/l, IMF(2014) 기준으로 210원/l이다(<표 4-13> 및 <표 4-14> 참조). 중유 에 대한 연료사용규제,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대기배출부과금 수준을 고려할 때 중유의 실질적 부담은 환경비용보다 크게 낮다.

중유에 대한 세금은 중유의 환경비용 추정치보다 크게 낮을 뿐만 아 니라, 천연가스와의 상대적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다. LNG를 기준으로 한 중유의 환경비용을 비교해보면(<표 6-1> 참조), LNG를 100으로 할 때 중유의 환경비용은, KEI(2015) 기준으로는 211, IMF(2014) 기준으

로는 429에 달한다. 즉, 중유의 환경비용은 LNG에 비해 2∼4배인데, 세금수준은 LNG가 더 높다. LNG(도시가스용)에는 개별소비세 42원

/kg이 부과되는 반면, 중유에는 19.55원/l이 부과되고 있어 에너지원간

상대적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

부문 에너지원 SOx NOx PM2.5 상대비율

(LNG=100) KEI(2015)

기준

LNG(원/kg) 2 192 7 201 100

중유(원/l) 174 237 12 424 211 석탄(원/kg) 62 111 112 285 142 IMF(2014)

기준

LNG(원/kg) 2 25 22 49 100

중유(원/l) 138 31 40 210 429 석탄(원/kg) 84 88 51 222 453

<표 6-1> 산업용 에너지원별 단위당 환경비용의 상대비율

사회적 비용을 반영하여 청정에너지로의 에너지원 간 대체를 촉진하 기 위해서는 중유와 천연가스 간의 상대세율 조정이 필요하다. 모의실 험에서 중유의 세금을 60원/kg으로 인상하는 시나리오 S1-5는 경제적 충격은 그다지 크지 않으면서 상대세율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안이 라고 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두 에너지원 간 상대세율을 약 2:1(중유:LNG)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때 세수 중립적인 방안을 채 택하는 것도 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201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발 전용 연료에 대한 세제는 유연탄과 LNG의 미세먼지 관련 환경비용 추정치의 비율인 2:1(85원:43원)을 기준으로 두 연료 간의 상대세율을 도출한 후 세수중립적인 세제조정을 적용한바 있다.135)

135) 기획재정부(2018), 2018년 세법개정안 문답 자료, p.38

이러한 상대세율의 조정은 천연가스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한 다. 장기적으로 볼 때, IMO의 선박 연료사용 규제 등으로 새로운 선박 건조에 있어 LNG 추진 선박 선택과 LNG 벙커링 등 선박용 연료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조선산업이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LNG 추 진선 건조 등 산업파급 효과가 클 것이다.

2.3. 에너지세제, 대기배출부과금, 사업장 총량관리제간의 조화

대기배출부과금 제도는 규제대상 대기오염물질에 직접 부과금을 부 과하여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감축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대기배출 부과금 수준은 오염물질의 평균한계처리비용을 기준으로 설정되고 있 어 한계피해비용보다 크게 낮다. 또 대기배출부과금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 배출 측정과 모니터링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편 익에 비해 행정비용이 과다하다는 평가도 있다.

사업장 총량관리제는 정부가 목표로 하는 수준으로 대기오염물질 총 량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배출량에 비해 할당량이 과 다하게 배분되고 있으며, 수도권에서 전국으로 대상사업장을 확대한다 고 하더라도 배출량의 할당이 과다하게 이루어진다면 정책효과를 달성 하기 어렵다. 또 사업장의 배출량 측정에도 여러 문제가 발견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는 여러 제도와 정책이 이미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석탄에 과세하거나 중유에 대한 세금을 인상하는 경우 제 도의 중복으로 인한 이중부담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 기배출부과금 제도, 사업장 총량관리제, 배출권거래제, 에너지세제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과 관련된 제도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또 장기적인 로드맵을 가지고 정책수단들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

하여 경제주체가 미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오염유발자인 경제주체들 이 공평하게 부담해야 한다. 대기배출부과금 제도나 사업장 총량관리 제 및 배출권거래제는 대기오염물질 다배출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에너지세는 오염물질을 배출한 모든 경제주체가 배출량에 따라 부담하 게 하므로 형평성 있는 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 하나 고려할 점은 시나리오 1의 분석결과에서 보듯이 에너지원에 대한 세금 조정 시에는 에너지원 간 대체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예컨 대 중유에 대한 세금 인상은 대체재인 석탄 수요를 증가시킬 수도 있 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모의실험에서는 에너지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의 사회 적 비용을 반영하는 시나리오는 포함하지 않았다. 이는 현재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가 시행 중에 있고, 현재 석탄과 중유에 대한 세금 수준 이 낮아 대기오염물질의 환경비용과도 차이가 커서 모든 사회적 비용 을 반영하는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것은 실현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 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물질의 사회적 비용을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정 책수단과 조화되는 에너지세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용 에너지의 세제 조정은 우리나라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중요한 정책 중의 하나이다. 이를 통해 깨끗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대기환경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국내 문헌>

강광규, 김종원. 2015. 󰡔대기오염물질 사회적 비용 재평가 연구󰡕. 한 국자동차환경협회.

강만옥. 2014. 󰡔환경관련 부담금제도 개편 및 환경세 도입방안 연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구본열. 1992. 「소비에 근거한 CAPM의 실증적 연구」. 󰡔재무관리연

구󰡕, pp. 1~22. 한국재무관리학회.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http://airemiss.nier.go.kr/mbshome/mbs/airemiss / subview.do?id=airemiss_020200000000), 접속일 2020.9.3.

이혜경. 2019. 󰡔사업장 대기오염 총량관리제 현황과 개선방안󰡕. 국회 입법조사처.

국회예산정책처. 2019. 󰡔미세먼지 대응 사업 분석󰡕.

관계부처합동. 2019.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

기획재정부. 2014, 2015, 2015, 2016, 2017, 2018, 2019. 󰡔조세개요󰡕. ______. 2018a. 「2018년 세법개정안 문답 자료」.

______. 2018b. 「2018년 세법개정안 상세본」.

기획재정부, 환경부. 2019. 「제3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

김동구, 손인성. 2016.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정점 도달 시점 분 석󰡕. 에너지경제연구원.

김태헌. 2015. 󰡔CNG 연료 세제 개선방안 연구󰡕. 기본연구보고서 15-

08. 에너지경제연구원.

______. 2016. 󰡔주요국 에너지상대가격 비교 분석 연구󰡕. 수시연구보

고서 16-07. 에너지경제연구원.

______. 2020. 󰡔천연가스와 수송용 석유제품 상대가격 합리적 조정방

안 연구󰡕. 한국가스공사.

김태헌, 양의석, 이상열, 박주헌, 김동훈, 윤원철. 2014. 󰡔수송용 에너 지 가격 및 세제 개편 방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 com/entry.nhn?docId=66440&cid

=43667&categoryId=43667, 접속일 2020.9.1.

대한석유협회. 2018. 「주요 국가의 탄소세 등의 도입 현황」. 산업통상자원부. 2017.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에너지통계연보󰡕.

______. 2020.10. 󰡔에너지통계월보󰡕 VOL. 36-10.

______. 2020. 󰡔2020 중기 에너지수요전망󰡕.

오상봉. 2020. 󰡔전기요금 정책의 고용 및 소득재분배 영향 분석󰡕. 에 너지경제연구원.

오피넷, https://www.opinet.co.kr/user/oftvat/getOftvatSelect.do, 접속일 2020.9.22.

이동규, 정준환, 조철근, 임재규, 김주영, 한진석, 이창훈. 2017. 󰡔수송 용 에너지 상대가격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이동규, 박명덕, 조성진, 정연제, 전호철, 이창훈. 2018. 󰡔발전용 에너지 제세부담금 체계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이민원. 1992. 「소비변동의 함축성: 항상소득가설과 유동성제약」. 󰡔경

제학연구󰡕. 한국경제학회. pp.469~489.

이상림, 서정규, 노남진, 김재엽, 이준서, 심윤국. 2018. 󰡔국내 LNG 벙커링 산업 제도개선 연구󰡕. 한국가스공사.

이원희, 전영섭, 이기식, 천만영. 2008. 󰡔대기배출부과금 제도개선 방 안 조사연구󰡕. 서울행정학회.

이호춘, 황진회, 박한선, 류희영. 2016. 󰡔우리나라 선박 배출 대기오 염물질의 체계적 관리방안󰡕. 기본연구 2016-09. 한국해양수산개 발원.

조경엽. 2009. 󰡔재원배분의 소득재분배 효과 연구󰡕. 연구용역보고서.

국회예산정책처.

______. 2018. 󰡔일자리 창출 지원 조세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한국

경제연구원 정책연구 2018-1. 한국경제연구원.

______. 2020. 󰡔CGE 모형을 사용한 전기요금 정책효과 분석󰡕. 에너

지경제연구원 용역과제.

조경엽, 김영덕. 2017. 「기본소득제가 소득재분배와 고용에 미치는 영 향」. 󰡔국제경제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국제경제학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최종접속일 2020.

9.20.

한국석유공사, 국내석유정보시스템(PEDSIS).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https://www.petronet.co.kr/v3/index.jsp, 접속 일 2020.9.15.

한국조세연구원. 2004. 󰡔경유 승용차 허용에 따른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방안 연구󰡕.

한국환경공단, https://www.keco.or.kr/kr/business/climate/contentsid/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