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에너지원별 단위당 외부비용 산정

2. 대기오염물질의 외부비용 추정

2.2. 에너지원별 단위당 외부비용 산정

2.2. 에너지원별 단위당 외부비용 산정

부문 에너지원 PM2.5의 단위당 피해비용(원/kg) 발전용

LNG 273,983

중유 360,403

석탄 198,271

산업용

LNG 241,644

중유 240,865

석탄 146,673

비산업

LNG 323,374

중유 274,348

석탄 194,584

철강 석탄 141,353

시멘트 석탄 135,532

<표 4-11> KEI(2015) 기준 PM2.5의 단위당 피해비용

자료: KEI(2015)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자가 지역별 피해비용을 적용하여 작성

본 연구에서 에너지원별 외부비용을 산정하기 위해 사용한 IMF (2014)의 우리나라에 대한 대기오염물질의 단위당 피해비용 추정치는

2010년 기준의 US달러 가치로 표시되어 있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8)은 이를 환율, GDP 상승률,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2016년 기준

으로 편익이전한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4-12>와 같다.

PM2.5 NOx SO2

석탄 가스 지상 석탄 가스 지상 석탄 가스 지상 66,352 65,564 786,107 36,651 36,559 6,128 50,755 49,977 30,057

<표 4-12> IMF(2014) 기준 대기오염물질별 단위당 피해비용 추정치 (단위: 원(2016년)/kg)

주: 이동규 외(2018) 연구에서 ɛ117)의 계수가 0.8인 경우를 채택 자료: 이동규 외(2018), p.54

117) ɛ는 소득탄력성을 의미하며, 실질임금 1% 변화에 대한 사망률의 변화를 나타낸

다. 이 계수는 국가별 임금차이를 고려하여 국가간 가치이전에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 기 위해 사용한 값은 미국 정부의 IWGSCC(2016)의 추정치이다. 이에 따르면 미국의 온실가스에 대한 사회적 비용은 2015년에 41.15 US$/

톤이며,118) 편익이전 기법을 이용하여 2016년 가격 기준으로 산정한 우리나라 온실가스의 사회적 비용은 31.4원/kg이다.119)

2.2.2. 에너지원별 단위당 환경비용

<표 4-10> 및 <표 4-11>의 대기오염물질별 단위당 피해비용을 <표

4-1>의 대기오염물질별 단위당 배출량을 곱하여 KEI(2015) 기준의 에

너지원별 단위당 환경비용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13>에 제 시되어 있다. 다만, 해상 선박용 중유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상당하 고, 주요 항구도시의 대기 상태에 큰 영향을 주는 배출원이다.120) 그럼 에도 불구하고 수송용 중유에 대한 환경비용은 산정하지 않았는데, 이 는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수송용 중유의 환경피해비용을 찾기 어려웠 기 때문이다.

IMF(2014) 기준의 에너지원별 단위당 환경비용을 산정하기 위해

<표 4-12>의 대기오염물질별 단위당 피해비용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

과는 <표 4-14>에 제시되어 있다.

118) <표 4-9>에 제시되어 있는 2007년 가격 기준의 2015년 온실가스의 사회적 비용 은 36 달러/톤이며, 이를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하여 2015년 가격 기준으로 전 환한 가격이다.

119) 자세한 방법은 김태헌(2020) pp.85-86에 제시되어 있다.

120) 이호춘 외(2016), 우리나라 선박 배출 대기오염물질의 체계적 관리방안, pp.56-60

부문 에너지원 SOx NOx PM2.5

발전용

LNG(원/kg) 1 72 12 84

중유(원/l) 88 141 9 237 석탄(원/kg) 33 57 6 97 산업용

LNG(원/kg) 2 192 7 201

중유(원/l) 174 237 12 424 석탄(원/kg) 62 111 112 285 비산업

LNG(원/kg) 0 251 9 261

중유(원/l) 2,429 784 150 3,363 석탄(원/kg) 390 271 47 707 철강 석탄(원/kg) 57 48 142 247 시멘트 석탄(원/kg) 82 680 7 769

<표 4-13> KEI(2015) 기준 에너지원별 단위당 환경비용

자료: KEI(2015)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자가 작성

부문 에너지원 SOx NOx PM2.5

발전용

LNG(원/kg) 1 56 3 60

중유(원/l) 116 111 2 228 석탄(원/kg) 45 45 2 92

산업용

LNG(원/kg) 2 25 22 49

중유(원/l) 138 31 40 210 석탄(원/kg) 84 88 51 222

비산업

LNG(원/kg) 0 33 23 56

중유(원/l) 1,931 103 430 2,464 석탄(원/kg) 310 36 188 534

철강 석탄(원/kg) 76 38 67 181

시멘트 석탄(원/kg) 110 537 3 651

<표 4-14> IMF(2014) 기준 에너지원별 단위당 환경비용

자료: IMF(2014)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자가 작성

마지막으로 온실가스 배출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한다. 에너지원별 탄소배출계수는 김동구·손인성(2016)121)에서 제시한 값을 사용하였다.

앞서 도출된 CO2 배출의 사회적 비용 31.4원/kg을 에너지원별로 적용 하여 구한 결과는 <표 4-15>에 제시되어 있다.

천연가스 (원/m3)

중유 (원/l)

발전용 석탄 (원/kg)

산업용 석탄 (원/kg)

76.5 100.2 76.4 84.6

<표 4-15> CO2 배출의 에너지원별 사회적 비용(2016년 가격 기준)

2.2.3. 부문별 에너지원별 총환경비용

부문별 원별 에너지 사용량과 <표 4-13>에 제시되어 있는 KEI

(2015) 기준의 에너지원별 단위당 환경비용을 이용하여 부문별 원별

총환경비용을 산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그림 4-1]에 제시되어 있다.

[그림 4-1] KEI(2015) 기준 부문별 에너지원별 환경비용 추정결과

121) 김동구·손인성(2016),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정점 도달 시점 분석, 에너지경제

연구원, p.49

2016년 기준의 발전부문의 총환경비용은 10조원, 산업부문은 15조 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원별로는 석탄이 22조원, 천연가스 5조원, 중유 는 2조원 정도로 추정되었다.

부문별 원별 에너지 사용량과 <표 4-14>에 제시되어 있는 IMF

(2014) 기준의 에너지원별 단위당 환경비용을 이용하여 부문별 원별

총환경비용을 산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그림 4-2]에 제시되어 있다.

2016년 기준의 발전부문의 총환경비용은 9조원, 산업부문은 11조원으

로 추정되었으며, 원별로는 석탄이 19조원, 천연가스 2조원, 중유는

1.4조원 정도로 추정되었다. 중유는 사용량이 가장 많고 대기오염물질

배출량도 큰 수송용이 제외되어 산정되었기 때문에, 총환경비용이 실 제보다 낮게 추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4-2] IMF(2014) 기준 부문별 에너지원별 환경비용 추정결과

제5장 에너지세제 조정의 경제적 영향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