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에너지원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분석

제4장 에너지원별 외부비용 추정

소산화물 배출계수는 발전부문이 2.6배, 산업부문이 1.6배, 비산업연소 부문은 4배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약 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유 의 초미세먼지 배출계수를 살펴보면, 발전부문에서는 천연가스나 석탄 보다 낮았으나 대체적으로 천연가스보다는 크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석탄의 경우 황산화물과 초미세먼지 배출계수는 모든 부문에서 천연가 스보다 크게 높았고, 질소산화물 배출계수는 천연가스에 비해 높았으 나 황산화물이나 초미세먼지에 비해서는 편차가 작았다.

부문 에너지원 대기오염물질

SOx NOx PM-2.5

전부문

천연가스 0.02 2.57 0.03

중유 9.31 15.87 0.69

석탄 1.99 2.71 0.48 발전

(지역난방 포함)

천연가스 0.01 1.15 0.03 중유 2.33 3.05 0.02 석탄 1.44 2.02 0.05 산업

(제조업연소)

천연가스 0.04 3.18 0.02 중유 4.66 5.17 0.05 석탄 2.48 3.60 1.15 비산업연소

천연가스 0.01 4.15 0.02 중유 65.10 17.12 0.55

석탄 22.64 12.82 0.53

수송 도로 천연가스 - 7.19 -

비도로 중유 13.64 32.46 1.69

<표 4-1> 부문별 배출계수 산정결과(2016년 기준)

(단위: kg/toe)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2019), 에너지통계연보 pp.350-351 및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 보센터(2020), 2017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엑셀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자가 계산

우리나라에서 산업용 석탄은 1차금속 산업과 시멘트 산업에서 대부 분 사용되며, 전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대한 산업용 석탄의 기여도 는 매우 높다. 1차금속 산업과 시멘트 산업에서 사용되는 석탄의 배출 계수를 별도로 검토하는 것은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파악에 매우 중 요하다고 할 수 있다.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의 배출계수는 시멘트 산업이 1차금속 산업 보다 높았으며, 특히 질소산화물의 배출계수는 시멘트 산업이 1차금속 보다 16배 정도 높았다. 발전용 석탄과 비교하면, 황산화물의 배출계 수는 발전용보다 두 산업 모두 높았다. 질소산화물의 배출계수는 1차 금속산업은 발전용보다 낮았으며, 시멘트산업은 발전용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의 초미세먼지 배출계수는 1차금속산업 및 시멘 트산업 모두 발전용 석탄보다 높았으며, 특히 1차금속산업의 초미세먼 지 배출계수는 발전용 석탄보다 20배 이상 높았다.

산업 대기오염물질

SOx NOx PM-2.5

1차금속 2.15 1.48 1.43

시멘트 3.53 23.79 0.08

<표 4-2> 석탄의 산업별 배출계수 산정결과(2016년 기준)

(단위: kg/toe)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2019), 에너지통계연보 pp.350-351 및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 보센터(2020), 2017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엑셀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자가 계산

<표 4-3>은 발전부문을 기준으로 에너지원별 대기오염물질배출 계 수를 부문별로 비교한 것이다. <표 4-1>에 있는 부문별 원별 배출계수 를 발전부문의 값으로 나누어 구하였으며, 발전부문 배출계수에 대비 한 타부문의 상대적 크기(배수)를 나타낸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산업

용 중유와 석탄의 배출계수는 발전용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유 의 배출계수는 3가지 대기오염물질 모두에서 약 2배 정도 높았고, 석 탄의 배출계수는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은 약 2배, 초미세먼지는 약

23배 높았다. 비산업연소의 경우 중유와 석탄 모두 모든 대기오염물질

의 배출계수가 발전부문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으며, 수송부문의 중유 도 모든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가 발전부문보다 크게 높았다.

부문 에너지원 대기오염물질

SOx NOx PM-2.5

산업부문 (제조업연소)

천연가스 4.0 2.8 0.7

중유 2.0 1.7 2.2

석탄 1.7 1.8 23.3

비산업연소

천연가스 0.8 3.6 0.7

중유 28.0 5.6 23.0

석탄 15.7 6.4 10.7

수송 도로 천연가스 - 6.2 -

비도로 중유 5.9 10.6 70.0

<표 4-3> 부문별 배출계수 비교(발전용 대비 배수)

(단위: 배)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2019), 에너지통계연보 pp.350-351 및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 보센터(2020), 2017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엑셀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자가 계산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유와 석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는 천연가스에 비해 대체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석탄의 배출계수는 용도 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산업용 석탄의 배출계수는 발전용보다 대체 로 크게 높았고, 특히 비산업연소용 석탄의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 배출계수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에너지원이라고 하더

라도 용도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가 크게 차이가 났다. 이는 연료사용 규제, 대기배출부과금 제도,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등 다 양한 정책이 연료의 선택은 물론 대기오염물질 저감장치 설치 및 운영 에 영향을 미쳐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