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국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평가

. 미국에 대한

Ⅳ. 미국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평가 71 한반도는

US News & World Report

에서 2020년 선정한 국력 기준 으로 세계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중국 그리고 7위 일본 등 최강대국에 둘러싸여 있다.5) 군사력으로 보아도 한반도 주변 강대국은 모두 초강대 국으로 분류하는 데 손색이 없다. 군사력 비교 지표인 Global Firepower (GFP)에 의하면, 미국, 러시아, 중국 순으로 최상위권을 이루고 있으며, 일본이 5위를 차지하고 있다.6) 또한 군사비 지출 기준으로 보면 미국이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어 중국이 2위, 러시아가 4위 그리고 일본이 한국 바로 위인 9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한국 유일의 동맹국인 미국이 미국 다음 9대 강국의 군사비 지출 총합 보다 더 많은 군사비를 지출하는 압도적 군사 강국이자 국력 기준으 로도 세계 최강 국가이긴 하지만, 권위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한반도 침략 전과가 있는 일본 등 한국 안보에 위협적인 국가들도 막강한 국력과 군사력을 시위하며 한반도 주변에 포진하고 있다는 사실은 현재 우리 안보체제 유지에 있어서 동맹국 미국의 전략적 중요도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음을 일깨우게 한다. 더욱이 북한이 세계 최빈국 중 하나임에도 2007년부터 2017년 까지 11년간 GDP 대비 군사비 지출 세계 1위인 동시에 인구 대비 군인이 4.7%로 세계 1위인 호전적 국가라는 사실도 한미동맹의 필요불가결 함을 강조하게 한다.8)

5) “Most Powerful Countries,” U.S. News & World Reports <https://www.usnews.com /news/best-countries/power-rankings> (검색일: 2021.1.2.). 국력은 지도자, 경제력, 정치력, 동맹, 군사력 등으로 측정했다.

6) Global Firepower <https://www.globalfirepower.com/countries-listing.asp>

(검색일: 2021.1.2.). 참고로 GFP 지수에 의하면, 한국은 6위, 북한은 25위이다.

7) Nan Tian et al., “Trends in World Military Expenditure, 2019,” SIPRI Fact Sheet, April, 2000, p. 2, <https://www.sipri.org/sites/default/files/2020-04 /fs_2020_04_milex_0_0.pdf> (검색일: 2021.1.2.).

8) “미 국무부 ‘북한, GDP 대비 군비 지출 11년간 세계 1위’,” VOA, 2020.1.4.,

<https://www.voakorea.com/korea/korea-politics/5231476> (검색일: 2021.1.2.).

2020년 미 대선 이후 한미관계 전망에 대한 여론조사

72

본 장은 전통적 혈맹이자 최대 무역국 중 하나로서 한국의 안보와 평화 체제 유지와 경제적 번영에 핵심축이 되어온 미국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과 평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정치심리학과 국제정치학을 통합 적으로 접근해온 일련의 연구는, 대중은 정치, 더 구체적으로 국제정치 및 외교와 관련하여 지식수준도 낮고 정치적 선호도 일관되지 않아 외교 정책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는 전통적 견해에 실증적으로 반박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연구는 엘리트 개인 차원 접근에서 벗어나 대중 차원에서 국제관계에 관한 선호 형성 과정과 대중 여론이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9) 무엇보다 이 접근은 국내 정치에 머물러 왔던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작동 방식에 대한 이해를 국제정치 분야로 확장했다는 데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높은 수준의 민주주의를 누리 고 있는 한국의 안보와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 으로 예측되는 국민의 미국 관련 인식과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이 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선행연구로 한국인의 정치적 선호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변인 으로 알려진 정치 성향(정치이념과 정당 지지) 그리고 지역(비영호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호남), 세대(연령대) 등의 차이가 미국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평가에 어떠한 차이로 이어지는지 교차분석을 이용 하여 살펴본다. 이어 주요 사회경제변수(성, 학력, 주관적‧객관적 소득 수준)와 통일과 북한에 관한 관심 그리고 미국에 대한 지식수준이 한국의

9) Douglas C. Foyle, “Public Opinion,” in Routledge Handbook of American Foreign Policy, eds. Steven W. Hook and Christopher M. Jones (Abingdon:

Routledge, 2011), pp. 265~271; Joshua D. Kertzer and Ryan Brutger,

“Decomposing Audience Costs: Bringing the Audience Back into Audience Cost Theory,”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60, no. 1 (2016), pp. 234~249; Joshua D. Kertzer and Dustin Tingley, “Political Psychology in International Relations: Beyond the Paradigm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vol. 21, no. 1 (2018), pp. 319~339.

Ⅳ. 미국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평가 73 유일한 동맹국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평가에 어떠한 차이를 드러내는지 교차분석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미국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평가는 호감도, 통일, 군사력, 경제력, 문화 수준 등에 대한 주변국 비교 인식, 리더십, 미국의 한국 국익 고려 정도, 한일관계에서 한미관계에 대한 고려 정도 등에 대한 설문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교차분석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난 관계를 중심으로 제시할 것이다.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