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생애
2.1.1. 배경과 가계
파라켈수스의 출생 배경에 관한 기록은 불완전하고 단편적이다. 우선 그가 태어난 날짜조차도 확정하기 어렵다. 파라켈수스 시대 직후에 활동 했던 바젤의 연금술사 레온하르트 투르나이저(Leonhard Thurneysser, 1531~1596)의 기록을 근거로 파라켈수스가 1493년 11월 10일 정오에 태 어났다는 전통적인 견해가 전해내려 왔지만,115) 이 날짜는 루터의 생일 이라는 점에서 받아들이기 어렵다. 이외에도 11월 26일,116) 12월 17 일,117) 1494년 5월 1일118)이라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파겔은 1493년 10~
12월이라는 주드호프의 견해에 의심을 표명했고,119) 카이저는 1493년 9 월~1494년 상반기의 가능성을 제안했다.120)
반면에, 파라켈수스의 출생지에 관해서는 의견이 나뉘지 않는데, 이는 파라켈수스 자신이 직접 기록을 남겼기 때문이다. “나는 스위스의 아인 지델른(Einsiedeln) 출신으로, 어느 누구도 나의 촌스러운 언어를 비난해 113) 뤼시앙 페브르, 『16세기 무신앙 문제: 라블레의 종교』, 김응종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6). 페브르가 분석한 프랑수아 라블레(François Rabelais, 1494∼1553)는 파라켈수스와 동시대인이자 여러 측면에서 그와 유 사한 캐릭터를 가졌다.
114) 스티븐 오즈맹, 『프로테스탄티즘: 혁명의 태동』, 박은구 역 (서 울: 혜안, 2004), 82. 오즈맹은 하위징아와 페브르의 중세 말기 연구가 성직자 대신 평신도를 역사의 주인공으로 세우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유사한 맥락에서 파라켈수스를 비롯해 르네상스기에 등장한 여러 개인들을 다룬 다 음의 책을 참조하라. 리하르트 반 뒬멘, 『개인의 발견』, 최윤영 역 (서울:
현실문화연구소, 2005).
115)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52.
116) Franz Hartmann, The Life of Philippus Theophrastus Bombast of Hohenheim, 2. (https://selfdefinition.org/magic/)
117) John M. Stillman, Theophrastus Bombastus von Hohenheim Called Paracelsus, 11.
118) Walter Pagel, Paracelsus, 6.
119) Walter Pagel, “Paracelsus,” Complete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2007), 304.
120)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54.
서는 안 된다.”121) 아인지델른은 작은 마을이었지만 검은 마리아 수도원 이 자리 잡고 있던 오랜 순례지로서 외부와의 접촉이 활발했던 곳이었 다.122) 아인지델른이 속한 슈비츠(Schwyz) 주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하에서 독립의 열망을 싹틔우고 있었다.123) 휴머니즘의 도시 바젤 (Basel), 공의회 도시 콘스탄츠(Konstanz), 의학의 중심지 장크트갈렌(St.
Gallen)으로 연결된 삼각지대는 이 지역 사람들의 사고의 뿌리를 형성했 다.124)
파라켈수스의 조부 게오르크 폰 호헨하임(Georg von Hohenheim)은 성 요한 기사단 소속의 방랑기사였다. 아마도 그의 공격적이고 방랑하던 기질은 손자에게까지 이어졌을 것이다. 반면에, 게오르크의 사생아로 태 어난 빌헬름 폰 호헨하임(Wilhelm von Hohenheim, 1457~1538)은 조용 하고 내성적인 성격이었다. 그는 슈바벤(Schwaben) 지역 뷔르템베르크 (Württemberg)에서 성장하여 튀빙겐(Tübingen) 대학에서 빈민 대학생 신분으로 의학을 공부했고, 비록 학위를 얻지는 못했지만 외과의사로서 경험과 지식을 찾아 방랑하다 아인지델른에 정착했다.125) 훗날 파라켈수 스는 자신이 아버지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고백했다.126) 하지만 아버지와는 달리, 파라켈수스는 어머니에 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빌 헬름은 1491년 엘스 옥스너(Els Ochsner)라는 여인과 결혼했는데, 그의 집안은 아인지델른 토박이로서 수도원에서 노동을 하여 생계를 꾸려왔 다. 빌헬름은 처가에 정착해 아들을 낳았지만, 파라켈수스가 9세가 되었 121) Sud. 10:199-200. “der ich bin von Einsideln, des lants ein Schweizer, sol mir mein lentlich sprach niemants verargen.”
122) 헨리 지거리스트, 『위대한 의사들』, 110-111. 따라서 이곳을 여 행하던 수많은 순례자들에게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했다.
123) 임종대, 『오스트리아의 역사와 문화』 (서울: 유로, 2014), 151- 161. 당대 스위스 민중의 삶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파악하는 데는 다음의 유 명한 작품이 유용하다. 프리드리히 실러, 『빌헬름 텔』, 이원양 역 (서울: 서 울대학교출판부, 1998).
124)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56.
125) Walter Pagel, Paracelsus, 7.
126) Sud. 10:354. “나를 결코 떠난 적이 없는 나의 아버지 빌헬무스 폰 호헨하임 … ”(erstlich Wilelmus von Hohenheim, meinen vatter, der mich nie verlassen hat).
을 때 엘스는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127)
빌헬름과 엘스 사이에서 태어난 외동아들의 기다란 본명은 테오프라 스투스 봄바스투스 아우레올루스 필리푸스 폰 호헨하임(Theophrastus Bombastus Aureolus Philippus von Hehenheim)이다. 테오프라스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였던 유명한 식물학자의 이름이었고,128) 봄바스투 스는 슈바벤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가문의 이름이었으며,129) 아우레올루 스는 유명한 연금술사의 이름이었다.130) 필리푸스는 파라켈수스가 생전 에 사용한 적이 없던 이름이었다.131)
아내를 잃은 빌헬름은 1502년 아들과 함께 케른텐(Kernten) 주에 속 한 빌라흐(Villach)132)로 이사했다. 그는 이곳에서 시의(市醫)와 광산학교 선생 노릇을 했다. 어린 파라켈수스는 아버지로부터 의학과 광물에 관해 배우면서 자연의 신비에 빠져들었고, 빌라흐 근처 라반탈(Lavanttal)의 수도원 학교에서 공부했다.133) 파라켈수스가 이 학교에서 만난 스승들이 모두 성직자였다는 점이 중요하다.134) 왜냐하면 그가 그 스승들에게서 127)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51, 59. 파라켈수스의 모친에 관 한 정보는 파라켈수스의 제자 미하엘 톡시테스(Miachel Toxites)에 의해 언 급되었고, 카를 비텔의 호헨하임 전기에도 언급되었지만, 신빙성이 부족하다.
128) 로버트 E. 애들러, 『의학사의 터닝 포인트 24』, 73. 아마도 여기 에는 아들에게 이러한 이름을 지어준 아버지의 기대가 담겼을 것이다.
129) Walter Pagel, Paracelsus, 6;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57. 봄바스트(Bombast) 가문의 역사는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30) Karl Bittel, “Die Kindheit Theophrasts in Einsiedeln,” Nova Acata Paracelsica 1 (1944): 39; 로버트 E. 애들러, 『의학사의 터닝 포인트 24』, 74. 반면에, 애들러는 아우레올루스가 유명한 연금술사의 이름이었다고 하는데, 그 역사적 모델을 찾을 수 없다.
131) Karl Bittel, “Die Kindheit Theophrasts in Einsiedeln”, 39. 필리 푸스는 파라켈수스의 묘비에 비로소 처음 등장한다. 어쩌면 세례명이었을 가 능성도 있다.
132) 빌라흐 시에서는 빌헬름과 파라켈수스의 공로를 기념하여 1953년 이래 이들 부자의 정신에 입각한 의학적 성취를 이룬 연구자들을 선정하여 파라켈수스 반지(Paracelsusring)를 수여하고 있다. 다음의 기사를 참조하라.
https://www.5min.at/20160433677/ich-widme-diesen-preis-den-kranken (2021년 10월 17일 검색).
133)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65-66, 69-71. 라반탈은 빌라흐 에서 하루면 다다를 수 있는 거리에 있었다. 그곳 근처에 13세기에 건립된 베네딕투스회 수도원의 부설학교가 있었다.
배운 것들이 훗날 그가 남긴 저작 대부분의 범위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철학, 자연과학, 신학, 그리고 특히 연금술이 포함되었다.135) 또 한 푸거(Fugger) 가문의 광산학교는 파라켈수스에게 의학 및 화학 영역 에서의 관찰 경험을 제공했다. 슈비츠의 광산에서 도제로 일하면서, 파라 켈수스는 자신의 인생 경로를 결정했을 것이다.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