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1. 생애

2.1.2. 편력의 자취

배운 것들이 훗날 그가 남긴 저작 대부분의 범위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철학, 자연과학, 신학, 그리고 특히 연금술이 포함되었다.135) 또 한 푸거(Fugger) 가문의 광산학교는 파라켈수스에게 의학 및 화학 영역 에서의 관찰 경험을 제공했다. 슈비츠의 광산에서 도제로 일하면서, 파라 켈수스는 자신의 인생 경로를 결정했을 것이다.136)

1524)141)와 조반니 마나르도(Giovanni Manardo, 1462~1536)142)로부터 배웠을 것이다. 페라라의 스승들은 고대의 권위를 부인하고 경험을 토대 로 새로운 의약을 얻으려는 경향을 보였다.143) 1516년 파라켈수스는 ‘두 가지 약의 박사’라는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144) 그러나 그가 받았 다는 실제 학위의 성격은 불분명하다.145)

문을 참조하라. Vivian Nutton, “The Rise of Medical Humanism: Ferrara, 1464-1555,” Renaissance Studies 11 (1997): 2-19.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 켈수스』, 81. 당시 페라라는 매우 화려한 도시였고, 1391년에 설립된 페라라 대학은 당시 이탈리아에서 가장 좋은 대학들 중 하나였다. 중세 대학에서 의 학부는 가장 수준 높은 과학 교육을 제공했다. 중세 말 북부 이탈리아 대학 의학부의 교육과 특징에 관하여는 다음의 논문을 참조하라. 기 보쥬앙, “중세 대학에서의 과학을 위한 동기와 기회,” in 『역사 속의 과학』, 김영식 편 (서울: 창작과비평사, 1982), 40-60.

141) Vivian Nutton, “The Rise of Medical Humanism”, 3-8; 앨버트 S. 라이언즈 & R. 조지프 페트루첼리, 『세계의학의 역사』, 황상익, 권복규 공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4), 363. 레오니체노는 파도바, 볼로냐, 페라라 대학에서 의학을 가르쳤다. ‘우아한 라틴주의자’라는 별명을 가졌던 그는 히 포크라테스의 『잠언』을 번역했고,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서 500여 개 에 달하는 오류를 발견해냈다.

142) Vivian Nutton, “The Rise of Medical Humanism”, 8-11. 인본주 의자 마나르도는, 모든 인간은 신으로부터 부여된 존엄과 개성을 가지고 있 으므로 점성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영향을 받아, 의학에서 점성술을 사용하는 행위를 비판했다.

143) Nacy G. Siraisi, Avicenna in Renaissance Italy: The Canon and Medical Teaching in Italian Universities After 1500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68-69. 페라라 대학은 16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가장 반(反)-아랍적인 의학의 중심지였다. 레오니체노는 아비켄나가 플리니우스의 가르침을 오해했다고 지적했고, 마나르도는 아비켄나의 『의학정전』을 “먹 구름이 가득한” 책이라고 묘사했다; 움베르토 에코 & 리카르도 페드리가,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2』, 윤병언 역 (파주: 아르테, 2019), 22-23.

144)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90. 그 두 가지 약은 복부약과 외상약이었다고 추측된다. 파라켈수스의 페라라 대학 동료이자 훗날 아우크 스부르크의 시의가 된 볼프강 탈하우저(Wolfgang Thalhauser)는 자신의 편 지에서 “대단히 유명하고 경험이 풍부하며 두 가지 약에 정통한 그리고 특별 한 애정을 느끼는 친구 의학박사 테오프라스투스 폰 호헨하임에게”라고 썼 다. 145) 현재 페라라 대학 홈페이지(http://www.unife.it/it)는 본교의 졸업 생으로 코페르니쿠스와 더불어 파라켈수스의 이름을 명시해놓고 있다;

Walter Pagel, Paracelsus, 10. 그러나 파라켈수스가 페라라에서 학위를 땄다 는 근거는 바젤에서의 언급이 유일하다. 그가 사용했던 학위명 ‘Doctor in

대학에서의 공부를 마친 파라켈수스는 군대의 외과 군의관으로 복무 했는데,146) 이러한 일은 의학박사에게 어울리는 직책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가 의미 있는 배움을 얻었던 곳은 대학이 아닌 일상생활과 광산이었 다.147) 그는 8년여에 걸쳐 유럽 곳곳을 여행하면서, 다양한 지역의 민간 의료요법들을 익히고 탐구했고, 외과의사와 이발사, 학식 있는 야금학자, 부녀자, 마술사, 연금술사, 수도승, 귀족 및 평민, 이혼한 사람과 무지한 사람에게도 질문을 던졌다.148)

오랜 여행 끝에 파라켈수스는 정착을 시도했다. 그는 1524년 잘츠부 르크(Salzburg)에서 개인 병원을 열었고, 이 시기부터 저술 활동을 시작 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그는 농민 운동에 연루되어 그곳을 떠나야 했 다.149) 지배적 권위에 도전하는 그의 삶은 정착을 위한 시도를 언제나 동일한 패턴으로 이끌었다. ‘정착 → 성공적인 치료 → 인기 → 반대와 공격 → 도망’이라는 패턴은 그의 평생에 걸쳐 반복되었다.150)

다시금 1526년 파라켈수스는 프로테스탄트 진영의 도시 슈트라스부르 크(Straßburg)에 정착했다. 이 도시에서는 그도 개혁가들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151) 파라켈수스는 의사 길드가 아닌 대장장이, 목욕탕 주

utraque medicina’는 1592년 이전까지는 바젤에 알려지지 않은 북부 이탈리 아의 학위였다.

146)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97-98. 베네치아 전쟁이라 불리 는 전쟁은 두 차례 있었다(1516∼1517년과 1522∼1523년). 파라켈수스는 첫째 전쟁(베네치아 vs 막시밀리안1세)에서 베네치아 진영의 군의관으로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경험을 통해 그는 외과 치료에 관한 지식을 축적했다.

147) Walter Pagel, Paracelsus, 12-13. 그는 대학의 의학교수들을 신랄 하게 비판했다. 심지어 페라라 대학을 “거대한 납골당”이라고 욕했을 정도였 다. 148) Sud. 1:349; 7:291; 8:137; 10:20; 11:189. 그가 여행했던 지역은 파 편적으로 언급되어 정확한 재구성이 어렵다. 프랑스, 에스파냐, 영국, 덴마크, 프로이센, 리투아니아, 폴란드, 네덜란드, 그리스 등이 언급되었다.

149)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107-109.

150) Walter Pagel, Paracelsus, 17.

151) Walter Pagel, Paracelsus, 18. 슈트라스부르크에서 파라켈수스와 교류했던 개혁가들로는 니콜라우스 게르벨(Nikolaus Gerbel), 카스파르 헤디 오(Kaspar Hedio), 볼프강 카피토(Wolfgang Capito), 요한네스 오이콜람파디 우스(Johannes Oecolampadius)가 있었다.

인, 이발사, 사형집행인의 길드에 가입해 활동했다.152) 1527년 초, 바젤의 저명한 출판업자 요한 프로벤(Johann Froben, 1460∼1527)으로부터 파라 켈수스의 치료를 원한다는 전갈이 당도했다. 파라켈수스는 직접 진찰에 의거해 약을 처방했고 그 결과는 의심 많은 사람들조차 당혹시킬 만큼 성공적이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개혁 성향의 바젤 시민은 그에게 시의 의 지위 및 바젤 대학에서 강의할 권한을 주기로 결정했다. 그는 자신의 의학 개혁을 지지할 일반 대중을 확보하기 위해 바젤 시민의 제의를 받 아들였다.153)

1527년 3월에 시작된 첫 학기부터, 파라켈수스는 갈레노스에 따르지 않고 자신의 독창적인 경험에 근거하여 매일 2시간씩 독일어로 강의를 진행했다.154) 교수단은 이에 반발했지만,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육을 받지 못했던 외과의들과 연금술사들이 그의 강의를 듣고자 몰려들었다. 파라 켈수스는 의학의 문외한들에게 현실적인 의술을 전달하기를 원했고, 자 신의 지지자들을 위해 실용서를 저술했다.155) 6월 5일에 팜플렛 형식으 로 출판된 『통보(Intimatio)』가 바젤 대학의 의학교수들에게 전달되었 고,156) 같은 달 24일 성요한축일에 파라켈수스는 사람들 앞에서 아비켄 나의 『의학정전』을 불태웠다.157) 마르틴 루터를 연상시키는 파라켈수

152)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112.

153)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113-114, 120-121. 파라켈수스 는 당시 프로벤에게 의탁하고 있던 인문주의자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Desiderius Erasmus, 1466∼1536)와도 편지를 교환했다; 슈테판 츠바이크,

『에라스무스 평전』, 정민영 역 (파주: 아름미디어, 2006), 185-186. 츠바이 크는 파라켈수스가 체류했을 무렵 “유럽 정신의 수도”였던 바젤의 사회적 분 위기를 인상적으로 묘사했다.

154) Walter Pagel, Paracelsus, 20;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123. “궤양, 외상 및 신체의 또 다른 종기들에 관해서 그것들의 근원이 어디 인지, 그것들의 본질, 형태, 증세 및 결과가 무엇인지, 참다운 치료가 어떤 것 인지”도 강의했다. 파라켈수스는 많은 용어들을 모국어로 고안해내야만 했다.

라틴어 표현과 일치하는 독일어 표현을 만들다 보니, 사람들은 그의 저술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155)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122-124.

156) Sud. 4:3-4에 『통보』의 라틴어 원문 전체가 실려 있다.

157) 이재경, “아비첸나의 의학규범과 질병의 철학,” 「철학논총」 59 (2007): 307. 『의학정전』의 라틴어 판본은 1470~1500년에 16종의 수고본으

스의 행동은 새로운 시대를 여는 상징이었지만 동시에 적대자들을 향한 명백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졌다. 교수단은 그의 강의를 방해했고, 그를 비 방하는 풍자시가 게시되었다.158) 조력자였던 프로벤이 세상을 떠나고 바 젤 시의회도 더이상 그를 지원하지 않게 된 상황에서, 환자의 치료비 문 제로 법정 시비에 휘말린 파라켈수스는 결국 1528년 2월 바젤을 도망치 듯 탈출해야만 했다.159)

바젤에서와 같은 전성기는 파라켈수스의 남은 생애에서 다시는 돌아 오지 않았다. 그는 독일의 여러 도시를 방랑했고, 광산과 온천을 떠돌면 서 의술과 저술에 전념했다. 바젤 시기 이후부터 그는 ‘파라켈수스’라는 필명을 사용하여 본격적인 저작들을 남겼지만,160) 그의 평판과 저항적 견해 때문에 그의 저작들은 생전에 거의 출판되지 못했다.161) 그의 마지 막 정착지는 잘츠부르크였다. 그는 1541년 9월 24일 이 도시에서 숨을 거두었고, 성 세바스치안 구호소에 매장되었다. 그의 남은 재산은 가난한 자들에게 돌아갔다.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