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의학 저술
2.4.3. 파라켈수스 부흥
파라켈수스는 생전에 자신의 저작을 출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 였지만, 『대외과술』을 제외하고는 거의 빛을 보지 못했다. 그의 저작들 대부분은 그의 사후 20여 년이 지난 1560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출판되기 시작했다. 파라켈수스 연구자들은 1560~80년대를 일컬어 ‘파라 켈수스 부흥’(Paracelsian Revival) 또는 ‘파라켈수스 운동’(Paracelsian Movement)이라 부른다.281) 사실상 파라켈수스 부흥의 역사는 파라켈수 스 저작 출판의 역사와 동일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파라켈수스 부흥의 과정에는 그의 여러 제자들과 출판업자들의 노력 이 밑바탕을 이루었다. 빌헬름 퀼만과 요아킴 텔레가 편찬한 『코르푸스 파라켈시스티쿰』에는 파라켈수스 사후부터 후저 에디션의 성립에 이르 는 기간 동안 출판된 파라켈수스 문헌의 목록이 총망라되어 있어서, 파 라켈수스 부흥의 주역들을 확인할 수 있다.282)
280) 에른스트 카이저, 『파라켈수스』, 152-153.
281) 파라켈수스 부흥의 역사적 전개를 세밀하게 보여주는 연구로는 다음의 책들을 참조하라. Didier Kahn, Alchimie et Paracelsisme en France à la fin de la Renaissance (Paris: Droz, 2007); Le Fixe et le volatil: Chimie et alchimie de Paracelse à Lavoisier (Paris: CNRS, 2016).
282) 파라켈수스 부흥은 그의 이름을 빌린 위서들이 대량으로 출판되 었던 시기이기도 했다. 최근에는 파라켈수스 위서의 전체 목록도 정리되었다.
아담 폰 보덴슈타인(Adam von Bodenstein, 1528∼1577)은 스위스의 연금술사이자 의사로서, 가장 많은 40여 종의 파라켈수스 수고본을 편집 했던 인물이다. 아들보다 훨씬 유명했던 그의 아버지는 비텐베르크의 프 로테스탄트 신학자이자 마르틴 루터의 동료였던 루돌프 폰 칼슈타트 (Rudolph Bodenstein von Karlstadt)였다. 보덴슈타인의 작업은 초창기 파라켈수스주의의 영향력을 지탱하는데 중심 역할을 했다. 그러나 바젤 대학 당국의 허락 없이 진행된 출판 사업으로 인해, 그는 바젤 대학의 교수단으로부터 추방당하는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283)
요한네스 오포리누스(Johannes Oporinus, 1507∼1568)는 스위스의 인 문주의자로서, 바젤과 슈트라스부르크에서 수학한 후, 저명한 출판업자이 자 파라켈수스의 환자였던 요한 프로벤의 출판사에서 협업자로 일했다.
파라켈수스 생전에 그의 조수 역할을 하기도 했던 오포리누스는 1537년 바젤 대학의 그리스어 교수가 되었다가, 2년 후 출판업에 뛰어들었다. 그 는 다수의 서적을 인쇄하고 거래하면서, 파라켈수스 의학의 보급에 힘썼 다. 프로벤과 더불어 오포리누스는 바젤이 인쇄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하는데 버팀목 역할을 했다.284) 그가 출판했던 가장 유명한 책은 베살리 우스의 『파브리카(De humani corporis fabrica)』였다.
미하엘 톡시테스(Michael Toxites, 1514∼1581)는 신성로마제국 티롤 (Tyrol) 출신의 의사이자 연금술사로서, 튀빙겐, 파비아, 비텐베르크에서 수학했다. 종교개혁가 필립 멜란히톤(Philip Melanchthon)의 제자이기도 했던 그는, 시인으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 스의 『명상록』 첫 라틴어판 출판에도 참여했다. 1560년대에 그는 슈트 라스부르크에서 의학박사를 취득하고 실험실을 차려 파라켈수스 의학을 Julian Paulus, “A Catalogue raisonné of Pseudo-Paracelsian Writings:
Texts Attributed to Paracelsus and Paracelsian Writings of Doubtful Authenticity,” in Pseudo-Paracelsus: Forgery and Early Modern Alchemy, Medicine and Natural Philosophy, eds. Urs L. Gantenbein &
Hiro Hirai (Leiden: Brll, 2022), 161-486.
283) CP 1:104ff.
284) 프리드리히 카프, 『독일의 서적인쇄와 서적거래의 역사: 구텐베 르크의 발명에서 1600년까지』, 최경은 역 (서울: 한국문화사, 2020), 169- 171.
연구하면서, 23종의 파라켈수스 문헌을 출판했다.285)
게르하르트 도른(Gerhard Dorn, 1530?∼1584)은 벨기에 출신의 의사, 연금술사, 철학자로서, 보덴슈타인과 함께 수학하여 자신의 첫 저작을 동 료에게 헌정했다. 보덴슈타인처럼 도른 역시 생애 대부분을 바젤에서 보 내면서 파라켈수스의 수고본을 수집하고 편집했으며, 그중 상당수를 라 틴어로 번역했다. 그는 파라켈수스의 의학 사상을 적극 옹호하여, 이를 기초로 그리스도교 철학의 토대를 세워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다.286)
피에트로 페르나(Pietro Perna, 1519∼1582)는 이탈리아 출신의 출판 업자로서 바젤의 르네상스를 주도했던 인물이었다. 그를 통해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스위스 종교개혁 사이에 가교가 세워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 다. 1544년부터 바젤에 정착한 그는 오포리누스의 조수로 인쇄업에 뛰어 들었고, 1558년 출판사를 개업했다. 그의 출판사에서 당대를 주름잡던 니 콜로 마키아벨리(Niccolò Machiavelli, 1469~1527)와 장 보댕(Jean Bodin, 1530~1596)의 저작들이 출판되었고, 특히 게르하르트 도른이 편 집한 파라켈수스 문헌이 주로 이곳에서 출판되었다. 기이하게도, 페르나 는 스승의 가장 강력한 비판자였던 토마스 에라스투스(Thomas Erastus) 의 저작도 출판해주었다.287)
285) CP 2:41ff.
286) Frank Greiner, “Dorn, Gérard,” Dctionary of Gnosis & Western Esotericism, ed. Wouter J. Hanegraaff (Leiden: Brill, 2006), 320-321;
Didier Kahn, Alchimie et Paracelsisme, 143-148, 196-199.
287) Didier Kahn, Alchimie et Paracelsisme, 207-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