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상호문화적 역량으로서의 공감

3. 역량으로서의 공감과 문학을 통한 공감교육

3.1 상호문화적 역량으로서의 공감

상호문화교육이란 “차별과 배제를 지양하고 문화 간 차이의 인정과 문화 간 갈등해결과 협력, 배려와 소통을 강조”하는 교육적 시도로 다양 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로 하여금 상호관계를 형성하며 조화를 이 룰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87) 이 과정에서 나와 다른 점을 발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와 다른 타자를 통해 배우고 발전하기도 하면 서 상호 협력하는 단계로 나아갈 때 진정한 상호문화교육에 도달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타문화를 이해하고 타자와의 상호 유기적인 관 계를 맺기 위해서는 나와 타자의 다름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감 능력과 더불어 나의 가치관과 시각을 타자의 관점으로 전환시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각전환의 능력이 필요하다.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학자인 마리온 키페 Marion Kiffe는 상호문화교 육의 방법으로 공감교육, 연대성 교육, 상호문화적 존중 교육과 민족적 사고에 반대하는 교육, 이 네 가지로 제시하며 그 중에서도 공감교육을 가장 우선시한다.88) 다문화 사회 속에서 타인에 대한 편견 없이 새로운 87) 김정용: 『아동 청소년 문학과 상호문화교육』. 서울 2017, 18쪽.

88) Marion Kiffe: Landeskunde und interkulturelles Lernn im Fremdsprachenunterricht. Eine Analyse von Englischlehrwerken für die

시각을 가지고 타문화를 존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나와 다른 타자를 이해하고 타문화의 낯섦을 가치 있는 것으로 수용할 수 있 는 공감능력의 증진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상호문화교육은 자아와 타자 상호 간의 시각 변화와 서로에 대한 열린 마음, 관용적 태도 등의 가치 를 함양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89) 다음의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독일 의 문학연구자인 이름가르트 호네프-베커 Irmgard Honnef-Becker는 상 호문화학습의 과정을 다섯 단계로 제시하였으며, 이 단계는 자국의 문화 와 타문화 사이의 상호 공존을 지향한다고 설명한다.

<그림 3.1-1> 호네프-베커의 상호문화학습 단계90)

먼저 타 문화를 마주할 때 우리는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과도 하게 상향적으로 평가하며 타 문화의 가치는 무시하고 평가 절하하는

‘인종중심주의’의 모습을 보인다. 다음으로 다른 문화와 구성원에 대해 긍정적인 관심을 보이는 ‘주목’의 단계를 거치게 되고, 이후 ‘이해’의 단 계에서는 다른 문화의 가치와 상징적 코드를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도덕이나 가치 표상과 다른 문화적 차 이를 받아들일 수 있는 ‘수용’의 단계를 거친 뒤, 다른 문화적 가치, 표 준, 상징체계를 존중하는 ‘타문화 가치 평가’의 최종 단계에 도달한다. 이 단계를 상호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공감교육의 차원에서 도입할 경우 마지막 ‘타문화 가치 평가’의 단계는 타문화에 대해 좋고 나쁨 혹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문자 그대로 ‘평가’의 의미가 아니라 내가 가지고

Sekundarstufe I. Aachen 1999, S.31.

89) Ursula Bertels: a.a.O., S.38.

90) Irmgard Honnef-Becker: Interkulturalität als neue Perspektive der Deutschdidaktik. Nordhausen 2006, S.15.

있는 문화적 관습 및 가치관과 비교하여 타문화의 것을 받아들이고 그에 대해 존중하는 개념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상호문화적 역량은 상호문화교육의 각 단계마다 습득할 수 있는 능력 이자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크리스토프 바르마이어 Christoph Barmayer 에 따르면 정서적 태도, 문화적 민감성, 그리고 지식과 행동을 중심으로 정서적 요소, 인지적 요소, 행동 요소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각 요소별 특징을 살펴보면 ‘정서적 요소’는 다른 문화권 사람들 과 낯선 문화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를 개발하여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공감, 개방성 Offenheit, 유연성 Flexibilität, 존경 Respekt, 역할거리 Rollendistanz, 민 족 상대주의 Ethnorelativismus, 모호성에 대한 관용 Ambiguitätstoleranz, 당혹스러운 것에 대한 관용 Frustrationstoleranz 등을 특성으로 한다. ‘인지적 요소’는 기본적인 문화적 지식과 문화 특유 적 지식의 숙달을 목표로 하며, 정치, 사회, 경제 체계에 대한 지식과 문 화차원, 낯선 언어에 대한 지식, 자기 인식을 특징으로 한다. ‘행동 요소’

는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에 대해 관심을 갖고 동기 부여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인지적 지식을 활용한 의사소통능력과 언어능력 등을 요소로 한다.91)

상호문화능력의 또 다른 정의로 교육학자인 에바 마테스 Eva Matthes에 따르면 상호문화능력이란 자기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토대를 바탕으로 다른 문화의 생활 형식을 다양한 삶의 모습으로 인식하고 대면 할 수 있는 능력이며 인종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의 시각을 통 해 현실을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더불어 타자 이해의 경험을 자기 자신에 대한 심오한 이해로 전환시킬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을 동등한 상대방으로 이해하고 인정하는 능력, 고정관념, 선입견을 부정하 며 차이 인식의 과정에서 나 자신의 문화 혹은 나의 시각과 공통된 것을 찾으려는 노력을 말한다.92)

91) Christoph Barmayer: a.a.O., S.86-87.

상호문화 역량의 요소로서 공감은 교육을 통해 학습되고 발달시킬 수 있다고 정의된다. 독일의 심리학자인 라이너 크라우제 Reiner Krause는 공감능력이 전 생애에 걸쳐 발달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평생 학습의 관 점에서 공감교육이 필요함을 논한다. 이때 사고력, 언어 능력, 감각 지식 의 증진 또는 연령에 따른 공감 형태로의 배려가 공감 형성을 위한 전제 조건이며, 이 조건들은 모두 동등하게 중요성을 갖는다.93) 공감을 하나 의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는 또 다른 학자로 위르겐 쾨르너 Jürgen Körner를 들 수 있다. 쾨르너가 정의한 의미에 따르면 공감은 사람들의 감정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 는 열린 태도, 사회 구성원으로서 상황과 맥락에 따라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으로 구성되는 역량이다. 쾨르너는 공감능력을 구성하는 역 량 요소들의 개발을 통해 공감능력 역시 향상될 수 있다고 본다.94) 크랍 만 역시 교육을 통해 공감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말하면서 ‘사회화’

의 결과로 인간의 정체성이 형성되며, 정체성 교육의 단계 중 하나로서 공감능력의 학습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95)

공감능력의 발달을 위한 교육은 베넷의 공감능력 발달을 위한 6단계 모델을 중심으로 구성 가능하다. 베넷에 따르면 순차적으로 발달되는 순 서가 매우 중요하다. 각 단계는 다음 단계의 필수 조건이며 이전 단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공감능력의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92) Eva Matthes(Hrsg.): Interkulturelles Verstehen und kulturelle Integration durch das Schulbuch?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m Fremden. Bad Heilbrunn 2004, S.46.

93) Rainer Krause: Störungen der Emotionalität. In: Jürgen H. Otto, Harald A. Euler und Heinz Mandl(Hrsg.): Emotionspsychologie. Weinheim 2000, 545-555.

94) Jürgen Körner: Einfühlung: Über Empathie. In: Forum der Psychoanalyse, 14(1), 1998, S.1(1-17).

95) Lothar Krappmann: Die Entstehung der Lernfähigkeit im Interaktionssystem der Familie und ihre Förderung in der Schule. In:

Mowrer H. Halbfas und F. en Popp W.: Entwicklung der Lernfähigkeit, Stuttgart 1972, S.178-197.

못한다고 말한다. 공감 발달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차이 가정 Assuming Difference’의 단계로 차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면 공감이 이 루어질 동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름을 가정하지 않으면 공감은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나와 다른 것에 대한 상상을 배제하기 때문에 공감이 일어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차이에 대한 가정은 공감 을 위한 필수 조건이 된다. 두 번째 단계는 ‘자기 자신 알기 Knowing Self’로 우리 스스로 자신의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가치관과 신념을 알고 있고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내릴 수 있다면 나 자신을 잃지 않고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 단계는 ‘자아의 중지 Suspending Self’로 이전 단 계에서 명확히 세워둔 자신의 정체성을 일시적으로 단절시키고 분리하여 자아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다른 사람의 차 이를 인식할 수 있고, 자기 자신에 대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을 때 가능 하며 이 단계를 통해 자기 자신의 정체성이 갖는 경계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네 번째는 ‘안내된 상상력 허용 Allowing Guided Imagination’단계 로 대인 관계 속에서 공감이 이루어지기 위해 다른 사람의 경험으로 유 도될 수 있어야 함을 뜻한다. 우리는 상상력을 통해 다른 사람의 경험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연극이나 소설을 통해 느끼는 상상적 체험과도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다섯 번째 단계는 ‘공감적 경험 허용 Allowing Empathic Experience’이며 상상력을 통해 마치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그 사람을 경험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비록 상상적 경험 이지만 공감의 강도는 현실 속 우리의 경험보다 약하지 않다. 공감만으 로 우리는 다른 사람의 경험에 빠져들 수 있으며, 이를 두고 베넷은 공 감을 통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고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 단 계는 ‘자아 재확립 Reestablishing Self’이다. 자아 재확립은 공감적 의사 소통의 필수 구성요소로 나 자신의 정체성을 잠시 차단하여 다른 사람의 경험에 들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시 나로 돌아와 다른 사람과의 다름 을 이해하고 대조하며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공감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 된다.96)

상호문화 역량으로서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 독일의 문예학에서는 80년대부터 기존의 유럽 중심적인 접근 방법에서 탈피하여 문화 특유성에 기반을 둔 새로운 개념의 문학교육으로서 ‘상호 문화적 문학교육 interkultureller Literaturunterricht’이 등장하였다.97) 상 호문화 문학교육의 학습 목표는 문학에서 발견 가능한 교육적이고 사회 적인 의미를 강조하는 것이며 더불어 낯섦 이해의 요소들인 개방성 , 관 용성, 그리고 관점수용과 공감능력을 구체화하는 것 역시 상호문화 문학 교육의 목표에 해당된다. 상호문화적 문학 교육을 위해서는 ‘다름 Andersheit’과 ‘차이 Unterschiedlichkeit’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외국의 문화가 작품 속에 존재해야 하며, 이에 대해 독자 가 함께 생각하도록 만들어야 한다.98) 그렇다면 문학이 왜 상호문화교 육, 특히 공감교육과 관련이 있는지를 이어서 살펴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