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02년, 일리노이주의 교육, 정신건강, 아동보호, 폭력예방과 관련한 100여개 의 단체들은 아동의 정신건강과 행복을 위한 정책을 주정부에 요구하기 위하 여 ‘아동정신건강대책위원회(Children´s Mental Health Task Force)’를 결성하

였다. 2003년 이 위원회는 「아동 정신건강: 일리노이주 긴급 계획(Children´s Mental Health: An Urgent Priority in Illinois)」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는 데, 이 보고서는 아동의 사회적·정서적 발달이 진학 준비와 성공적인 학교생 활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18세까지 아동에 대해 포괄적이 고 조정된 정신건강 예방과, 조기개입 제공을 위한 단기적이고 장기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실행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아동의 정신건강을 다루 기 위한 권한과 명령을 내리는 데 필요한 법령 제정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

‘아동 정신건강법(Children's Mental Health Act)(Public Act 93-0495, 2003)’

이 제정되었다(Gordon, 2011).

이로써 일리노주는 정신 건강에 대한 요구를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사회정 서학습과 조화시킨 미국의 첫 번째 주가 되었다. ‘아동 정신건강법’은 시카고 공립학교(the Chicago Public Schools), 학군연합(the Large Unit School District Associations of Schools), CASEL, 일리노이 학교노동자 연합(Illinois Associations of School Social Workers), 학교 상담가연합(School Counselors), 학교심리학자연합(School Psychologists) 등 60개 이상의 주요 일리노이 조직, 연합, 에이전시의 지지를 받았으며, 이후 사회정서학습을 대규 모로 활성화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 발표된 법령과 공공정책 가운데 영향력이 가장 큰 모범적인 법으로 평가받고 있다(Merrell 외, 2011: 47). 이 법의 핵심 조항은 아래 같다(Gordon, 2011).

Ÿ 아동 정신건강 계획(Children's Mental Health Plan for Illinois)의 수립

Ÿ 아동 정신건강 계획 수립과 실행 기관인 ICMHP(Illinois Children's Mental Health Partnership) 설립

Ÿ 사회정서학습 표준을 마련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ISBE(Illinois State Board of Education) 설립

Ÿ 학군 주도의 사회정서발달 교육 프로그램 투입 정책 수립

법이 통과된 몇 달 후 ICMHP와 ISBE를 필두로 주요 정책들을 마련하고 추진하기 위한 위원회들이 꾸려졌다. 이 위원회들은 CASEL과 ICMHP, ISBE 와 함께 협력하여 ‘일리노이 사회정서학습 표준체계 the Illinois Social Emotinal Learning Standards’를 발전시켰다. 여기에는 아동발달과 학습, 교육 과정 설계, 수업에 전문지식이 있는 교사, 행정가, 학교후원자, 복지전문가, 학

부모가 함께 참여하였다. 또한 학군 정책에 대한 법의 요구를 학군이 적용할 수 있도록 정책모델을 만들기 위해 일리노이 학교연합(the Illinois Association of School Broad)과 협업하였다(www.isbe.net).

이와 같은 준비를 기반으로 2004년 일리노이 주정부는 사회정서학습 성취 기준 마련과 실행 지원을 위한 연수와 지원 계획을 채택하였으며, 2005년 주 의회는 아동정신건강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과 계획을 승인하고, 재정적 지 원을 결정했다. ISBE와 ICMHP는 일리노이주에 속한 지역교육청 직원들에게 전문적인 사회정서학습 연수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 발달 프로젝트(SE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를 만들어 사회정서학습이 시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후 2007~2010년, CASEL의 루브릭을 사용하여 시범 적용 학교에서 사회 정서학습이 얼마나 잘 시행될 수 있는지를 평가 확인하였고, 2008~2010년, 사 례연구를 실시하여 사회정서학습에 대해 교사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 을 확인하였다(Gordon, 2011).

2) 특징

일리노이주의 사회정서학습 적용 현황과 성과는 사회정서학습의 확산과 발 전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일리노이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CASEL은 사회정서학습의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정서학습을 지원 하는 정책과 교육법안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교육정책가와 실무자들과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사회정서학습이 활성화되도록 기여하고 있다(CASEL, 2013).

일리노이주 사례에서 표준체계는 학교에서 사회정서학습이 시행될 수 있도 록 하는 동력이었다. 『아동정신건강법』을 통해 주 성취기준에 사회정서학습 이 포함됨으로써 일리노이주의 학교는 학생의 사회정서적 발달을 위해 사회정 서학습과 관련한 교육적 노력을 해야 하는 책임을 부여 받게 되었다. 일리노 이주의 사회정서학습 표준 체계는 각 학년마다 연령에 맞게32) ‘목표, 성취기 준, 수행기준, 활동내용’을 포함함으로써 학교의 교육활동과 내용을 안내한다.

<표Ⅴ-1> 은 Grade k-3의 ‘정서관리 기술’에 관한 표준체계 예시이다 (www.isbe.net)

32) 목표와 성취기준까지는 동일하지만, 수행기준은 ‘유치원-3학년, 4-5학년, 6-8학년, 9-10 학년, 11-12학년’으로 나누어져있다.

<표Ⅴ-1> 일리노이주의 표준체계 중 ‘자기관리’ 영역의 예시(k-3학년)

목표 성취기준 수행기준 활동내용 진술

1. 학교와 삶 에서의 성공 을 위해 자기 인식과 관리 기술을 발전 시켜라.

1-A. 정서와 행동을 확인하 고 관리하라.

1-A-1a. 정 서를 인지하 고, 구체적으 로 이름을 붙 이고 어떤 행 동과 연결되 는지 알 수 있다.

Ÿ 무엇을 느꼈을 때, 정서 인지하기

Ÿ 느낌을 만드는 다양한 상 황 설명하기

Ÿ 표정과 사진

Ÿ 경험했던 정서의 범위 확 인하기

Ÿ 이야기 속 인물의 정서 설명하기

Ÿ 정서의 일반적인 신체적 인 반응 설명하기

일리노이주는 표준체계를 만듦으로써 학교에 사회정서학습의 책임만 부여하 는 것이 아니라 연수지원, 코칭지원, 가이드와 자료 등을 통해 사회정서학습을 시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특히, “Classrooms in Action”은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자료와 전략, 교수학습 방법 등에 관한 정보를 모아 제공하는 대표적인 지원시스템이다. 또한, “3 Year Plan(www.isbe.net)”과 같은 재정 지원 시스템 은 학교가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구매하고, 사회정서학습을 지속적으로 시 행하여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3 Year Plan”은 CASEL의 루 브릭을 기반으로 ‘시행 1년차, 시행 2년차, 시행 3년차’의 각 단계별로 예산 계 획을 세우도록 하여 지원금을 교부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에 더하여 시행을 준 비하는 해는 준비단계에 해당하는 루브릭 5단계까지 별도의 지원금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일리노이주의 사회정서학습 시행 특징은 첫째, CASEL과의 긴밀한 협력이다. CASEL이 설립된 일리노이주에서 처음 사회정 서학습 표준체계가 마련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ASEL은 아동 정신건강법 추진에서부터 실행까지 일리노이주에서 사회정서학습이 확산 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두 번째 특징은 아동정신건강법, 사회정서학습 표준체계, 실행위원회, 재정 적 지원 등을 통해 드러나듯이, 체계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사회정서

학습의 효과적 실행을 돕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정서학습이 지향하는 포괄적 인 학교 개혁이 추진되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정책적 뒷받침이 필수 적이다.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학교에서 사회정서학습이 공식적 인 것이 되도록 만들고, 이에 따라 사회정서적 역량을 발달시키고자 하는 교 사들이 공통의 언어를 가지고 조직적으로 사회정서학습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회정서학습은 개별 학급이나 집단 단위로 시행될 수 있지만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교전체에서 실시될 필요가 있다. 일리노이주의 사회정서학 습 지원 체계는 이후 미국의 다른 주나 해외의 사회정서학습 시행 정책에 모 델이 되었다.

2. 싱가포르의 사회정서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