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파이 방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의사결정 자료로 이용하는 것으로써 전 문가 의견의 적절성을 가정한다는 점에서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이종성, 2006). 또한 패널의 크기에 있어서는, 참여하는 전문가의 수 가 어느 정도가 적정한 지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지만 통계적 검정력 (statistical power)에 의존하기보다는 전문가들의 합의에 도달하기 위한 그룹 역동성이 더 중요하므로 15명 정도 내외가 적절하다(Okoli & Pawlowski, 2004).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사회정서학습과 관 련한 도덕․윤리교육 전공 또는 교육학 전공 연구자로 구성된 전문가 14인을 선정하였다.
<표Ⅱ-2> 델파이조사를 위한 예비 패널 그룹의 기준과 인원 구성
패널의 연구 분야를 도덕교육전공과 교육학 전공자로 한정한 이유는 사 회정서학습 발달에 관한 논문과 저서에서 이 전공분야 연구자의 비중이 크기 도 하고, 학교인성교육 적용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아동과 청소년 의 인성 발달에 사명감과 주된 관심을 가진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적 절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직 사회정서학습과 연계된 인성교육 방안에 대한 연 구가 전무한 교과교육 전공도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전체 교과교육을 포괄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델파이조사를 실시하기 전 시점을 기준으로, 사회정서학습을 주제어로 포 함하는 학술발표 및 학위 논문을 발표한 바 있는 박사학위 이상 초․중등 교 육 연구자는 약 20명 정도였다. 이들 연구자 중 본 연구를 위한 패널 후보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성에 대한 기준이 필요했다. 이는 〈표Ⅱ-3〉와 같다.
〈표Ⅱ-3〉 패널 후보 우선 선정 기준
위와 같은 우선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5회 이상 사회정서학습 연구물을 발 표를 한 연구자 5인에게 먼저 패널 의뢰를 하였고, 모두로부터 패널 참여 승 낙을 받았다. 1~3회 연구한 연구자 중에서는 다양한 연구 집단의 관점이 수 렴될 수 있도록 도덕심리/윤리학/교육과정/교육공학/교육심리 등 세부전공과 대학/국가교육연구기관/학교급 등 연구자가 속한 연구 집단의 다양성을 고려 하여 참여를 의뢰하였고, 8인으로부터 승낙을 얻었다. 이렇게 선정된 8인은 사 회정서학습에 관한 논문을 1~3회 발표한 전체 연구자의 약 50%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인성교육 우수사례 선정 경력이 있어, 현실적인 경험에서 나 오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현장교사와 관리자를 섭외하였는데8), 2인의 후보 로부터 승낙을 받아 패널 구성을 완료하였다. 〈표Ⅱ-4〉는 패널의 선정요인 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표Ⅱ-4〉 패널의 선정요인
8)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의 학교 적용이 아니라, 정책적 적용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기 때문 에 현장 교사보다는 정부 수준의 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가 있고, 큰 그림을 설계할 수 있는 전문가들이 다수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였다. 그렇지만 실제 교육활동이 벌어지는 곳이 결국 학교 현장임을 고려할 때, 현장 교사들의 의견 역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현장교 사 및 관리자를 패널로 포함시켜다. 그런데 박사학위 이상의 사회정서학습 관련 연구물 수 와 경력기준으로 선정된 패널들 중 현장교사인 패널 3명 있어, 총 5명으로 적지 않게 포함 되었다. 또한 사회정서학습 교사 동아리 대표와 인성교육 우수학교로 인증 받은 초등학교 관리자의 경우 사회정서학습 연구 참여 집단 동료들과 평소 의견을 교류하므로 대표성을 띤 다는 점도 주요 패널 선정 이유였다.(실제, 교장선생님인 패널은 델파이조사지에 응답할 때, 사회정서학습을 함께 연구하는 관리자 동료들과 논의하여 응답함)
패널 소속 전공 학
위 주요 패널선정 요인
SEL 관련 연구물
수9) A 대학
교 교육심리 박
사 사회정서학습관련 연구물 수 5개 이상 8개 B
대학 연구 센터
도덕윤리 과 교육
박
사 사회정서학습관련 연구물 수 5개 이상 8개 C 대학
교
도덕윤리 과 교육
박
사 사회정서학습관련 연구물 수 5개 이상 7개 D 대학
교 교육공학 박
사 사회정서학습관련 연구물 수 5개 이상 6개 E 대학
교 교육공학 석 사
사회정서학습관련 연구물 수 5개 이상
사회정서학습 코칭 전문가 5개
F 대학 교
도덕윤리 과 교육
박
사 사회정서학습과 연관 지어 전통윤리 연구 3개 G 초등
학교
도덕윤리 과 교육
박 사
사회정서학습과 연관 지어 도덕적 정서
연구 3개
H KEDI 교육과정 박
사 인성교육정책 실무 담당 2개
I 대학 교
도덕윤리 과교육
박 사
사회정서학습이 포함된 교수학습 및 평가
연구 2개
J 대학 교
도덕윤리 과 교육
박 사
인성교육진흥법 기초, 대학인성교육기관
운영 2개
K 초등 학교
도덕윤리 과 교육
박
사 사회정서학습 어플리케이션 개발 1개 L 초등
학교 교육공학 박
사 SEL 인성교육 우수동아리 대표교사 1개 M 초등
학교
도덕윤리 과 교육
석 사
사회정서학습을 학급단위로 적용한 바 있 으며, 이를 교사대상 학교폭력예방 연수 에서 강의
1개
N 초등
학교 교육철학 석
사 인성교육 우수학교 운영(관리자)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