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기 박물관대학 - 한국의 옛그림
124
조선후기 동래지역 도화서 파견화원과 재지화사
125
3) 承政院日記
○ 兵曹 京官職 訓練都監내에 畵師배치 95)
○ 輿地圖書96)-충청도, 전라도, 황해도, 함경도 경상도소속 軍營에 畵師한명씩 포함
道 軍營 營將 畵師記錄
忠淸道
觀察營 觀察使兼巡察使文二品 畵師 自禮曹差遺二十四朔交遞
兵馬節度營 兵馬節度使 畵師 自禮曹差送二十四朔交遞
水軍節度營 水軍節度使 畵師一 人自禮曹差來二周年交遞
黃海道
監營 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 巡察使 海州牧使 文從二品 畵師裨將一人
兵營 兵馬節度使 畵師一員
水營 水軍節度使 畵師一人
咸鏡道 觀察營 觀察使兼巡察使文二品 畵師一員
北靑府 畫師一員
慶尙道
統制營 統制使 畵師軍官一人
左道 兵馬節度營 兵馬節度使 畵師一人
右道 兵馬節度營 兵馬節度使 畵師軍官一人
水軍節度營 水軍節度使 畵師軍官一人
4) 邑誌97) -전라도 순천의 좌수영에 畵師1명
道 軍營 營將 畵師記錄
全羅道
順天府 左水營鎭 水營節度使 畵師 一
2. 도화서 파견화원의 회화활동
1) 관청에서 살인사건이나 소송건에 관련하여 圖畵또는 圖形 제작
○ 慶尙道 尙州내의 살인사건 복검 후 당시의 形樣을 圖畵로 제작98) ○ 慶尙道 金山郡의 소송 때 설명 어려운 것을 圖形으로 언급99)
95) 承政院日記 高宗3年(1866, 同治5) 3月6日(乙丑) 晴 ...又以營建都監都提調意啓曰今日二更量東邊十字閣近處訓局畵師假家 失火治木假家八百餘間及治鍊木物盡爲延燒而連加蕫飭救火之意敢啓
96) 1757년(영조 33)부터 1765년(영조 41)까지 각읍에서 편찬한 邑誌를 모아 엮은 책 97) 邑誌 全羅道 順天府邑誌 左水營鎭 (1792년(正祖16)추정)
98)丙寅六月十三日...覆檢□咸昌縣監,移文請來擧行爲乎□, 行兇刀子刃之前後血痕塗乾是乎等以, 堅封踏印以置是遣, 刑樣□ 圖畵上使爲臥乎,. ‘尙州內北面洛原里致死良人南奉鶴殺獄文案’「商山錄」 第二冊『各司騰錄』50, 慶尙道補遺編2,국사편 찬위원회, pp.533-540. 商山錄은 1746년(영조 21) 경상도 尙州의 상주목사가 작성한 報牒類.
99) 十月三十日,...開□都海奉訴內, 金泉安在先處推錢事 題,在前訴訟時, 兩隻擧皆 圖嘱於難言處..., 「訟案」, 各司謄錄 50, 慶尙道補遺篇 2, pp.697-698. 訟案은 1896년(건양 1) 10월 9일부터 1897년(광무 1) 4월 29일까지 경상도 金山郡 민인 들이 郡守에게 올린 民狀과 이에 대한 군수의 처리내용을 요약하여 수록한 책.
제12기 박물관대학 - 한국의 옛그림
126
2) 軍營이나 水軍에서 필요에 의해 배모양 圖畵제작
○ 1863년 慶尙監營에서 배모양 圖畵제작하여 備邊司에 보고100)
○ 1872년 慶尙監營에서 배모양의 圖本작성과 길이, 너비, 높이 측정 후 책제작하여 備邊司에 보고101)
○ 1865년 慶尙左兵營에 이양선이 표류, 선척과 인물모습을 圖畵로 제작 후 成冊하여 議政府에 보고102)
3) 지역 관청과 별도로 監理署103)에서도 圖畵 사용
○ 1905년(高宗31) 東萊監理署에서 地圖와 繪畵 補修104)
4) 감영이나 수영, 병영에서의 필요한 군사지도 및 군현지도 제작 5) 군선이나 병기제작, 선박제작의 방법을 圖畵로 그림
6) 감영출판의 삼강행실도나 오륜행실도 등 서적의 목판본 도해 제작
3. 동래 좌수영소속 도화서 파견화원 1) 동래좌수영과 문헌기록
○ 울산 개운포에 있던 좌수영은 1652년 동래 수영에 정착한 이래 1895년 지방군제 개편이 이 루어질 때까지 동래에 존속
○ 동래좌수영은 예로부터 慶常左水營, 營左水營, 東萊水營, 萊營, 柳營 등으로도 불리었던 곳 으로, 慶常左水使 또는 水軍節度使로 지칭되던 水使는 정3품의 무관직이었음.
○ 동래수영의 경우 도화서 파견화원이 언제부터 파견되었는지는 확언할 수 없으나 輿地圖書 慶尙道 水軍節度營 官職條에 ‘裨將 九人 가운데 畫師軍官 一人을 배속’한 기록으로 보아 18 세기 중엽에는 이미 시행하고 있었음.
100) 癸亥十二月初十日 節到付固城縣今金昌秀牒呈內, 夲月初八日午時到付唐浦萬戶洪得祿馳通內 當日巳時量, 夲鎭閑背串望軍 良白士根進告內,朝倭未辨舡一隻, 自洋 中出來, 漂向于夲鎭境楸島前洋是如爲有等以,...而問情記及船躰圖畵式例成冊, 幷 修正上使爲在果...同舡躰圖畵,人名,商標及兩次問情件記, 捧上上送于備邊司爲白乎㫆, 緣由馳啓爲白臥乎事是良□詮次善 啓云云. 「慶尙監營啓錄」 第一冊 『各司謄錄』11, 慶尙道1, pp50-51.
101)壬申年...同舡樣圖本及長廣高把數成冊, 修正上送事手本據,同圖本與成冊輪送,緣由馳通云云里白齊.... 「慶尙監營啓錄」
第四冊 『各司謄錄』11, 慶尙道1, pp.286-290
102) 乙丑七月十六日 本月十六日迎日縣林谷津破舡漂泊異樣人摘奸緣由, 已爲馳啓爲白有在果, 十七日巳時到付同縣監尹養桂馳報 內...(p.628) 舡隻人形圖畵粘後, 什物數爻, 成冊修報爲有在果, 當初彼人摘奸, ...舡制人形, 圖本上送于議政府爲白在 果,異樣人之當初下陸, ... 「慶尙左兵營啓錄」 第二冊, 『各司謄錄』11, 慶尙道1, pp.625-628.
103) 조선 후기에 開港場· 開市場의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아
104) 光武九年 五月十七日 地圖地誌繪畵修繕. 「東萊港報牒」, 『各司騰錄』14, 慶尙道4 ,국사편찬위원회, p.239.
조선후기 동래지역 도화서 파견화원과 재지화사
127
○ 萊營誌 (1850년)에 의하면 당시 수군절도사는 帶率軍官 9명 가운데 화사 1명과 사자관 1명 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이들은 百和堂에서 거처하며 수사의 업무를 보좌105)
○ 좌수영 내에 수사가 직무를 보던 곳은 管雲堂이며, 그 아래 우후가 직무를 보던 洗劍軒, 그 리고 화사․사자관 등 5명의 비장이 근무하던 곳이 百和堂
2) 동래좌수영 파견화원의 회화활동
○ 동래좌수영 파견화원(畵師軍官)의 가장 큰 임무는 지도제작.
○ 동래좌수영은 통제영과 마찬가지로 해안을 끼고 있으며 여러 개의 鎭地를 통괄해야 하는 까 닭에 해안지형을 파악해야 함은 필수적
○ 1872년 地方地圖 중 <慶尙左水營營地圖形>과 이와 화풍이 유사한 <開雲鎭地圖>, <多大鎭 地圖>, <釜山鎭地圖>, <西平鎭>, <豆毛鎭> 등의 左水營鎭堡地圖 등 지방지도 제작
○ 남해안 일대를 파노라마 형식으로 그린 <高麗重要處圖>와 <嶺湖南沿海形便圖> 등 관방지도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