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증주의의 영향
1) 객관적 현실세계와의 경험적 접촉을 강조하는 格物致知, 利用厚生 등 실학의 확산
2) 실증적 사물인식과 전달에 근거한 지도, 선체도본, 이양선도본, 복검도 등의 제작으로 정확한 행정업무를 추구
3) 정조의 군사정책에 따른『武藝圖譜通志』(1790)의 표준무예체제 확립 『奇器圖說』을 바탕으로 한 丁若鏞(1762-1836)의 기중기설계도 『華城城役儀軌』(1801)
4)『삼강행실도』『오륜행실도』등 정확한 인식위한 교육감계용 자료 제작증가
2. 18C 관주도 지방지배방식의 심층화 1) 배경
① 영정조년간 정국운영방식의 변화(노론집권→탕평정국→국왕주도력강화) ② 수령권 통한 국가의 직접지배의지 강조시기
③ 17C 국가재건의지와 사회변화가속으로 법제적 지배와 다양한 제도개선 모색
2) 지방 지배의 심층화 양상
(1) 지방현실의 철저한 파악 통한 현실개선 위한 기초자료확보와 해결의 표명 ① 국가차원에서 제작된 『邑誌』류와 『군현지도』
② 실학적 지리학의 발달과 정치주도권강화 (2) 사회변화 수용을 위한 법제의 개편
① 16·17C士族주최의 관념적 명분과 교화중심의 지배에서 →18C수령중심의 형정·법제중심으로 변화
② 續大典』(英祖年間)의 刑典중심에서→『大典通編』(正祖年間)兵典과 吏典중심으로 ③ 大典通編』兵典 外官職 軍官條 ‘諸道監司, 兵使, 統制使, 水使의 兵營에 寫字官, 畵員
各 一人을 정원내에서 임명파견한다.’ 조항 추가
④ 18C 중엽 법전편찬의 세분화·전문화 『百憲摠要』(1740년경),『春官志』(1744년),『增修無冤 錄』(1748년~언해1792년),『秋官志,』(1781년), 『度支志』(1787년), 『典律通補』(1787년) 등 (3) 수령의 지위와 역할강조되면서 업무파악과 원활한 수행을 위한 법운영 지침서 편찬
○ 안정복의 『臨官政要』, 홍양호의 『牧民大方』,『七事文答』,『治郡要決』
정약용의 『牧民心書』 등
제12기 박물관대학 - 한국의 옛그림
130
(4) 특히 정조년간 영남남인과 소외된 지방사족에 관심두는 한편 삼강인물들이나 순절인들에 대해 각종 포상을 하며 규장각을 통해 유식한 서얼을 등용함으로써 노론집권세력을 견제코자 함.
3.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책
1) 세도정치와 두 차례의 洋擾이후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軍制의 개편, 군사시설의 확충 과 경비의 강화, 軍器의 정비와 실험, 서양침략의 적극적 대응책모색 등을 시도
2) 지방의 실정 파악위한 1871년 전국적 邑誌 편찬, 1872년 전국적 지도제작 추진
3) 1872년 지방지도는 총 459매로 특히 경상도일대지도 108매 가운데 慶尙左水營, 釜山鎭, 多大 鎭, 豆毛鎭, 西平鎭, 東萊府 지도는 서로 유사한 화풍을 보여주어 동일 화원에 의해 제작된 것 으로 추정
4. 조선후기 신분와해현상에 따른 중인계층의 입지강화, 향리지식인들의 신분상승노력 1) 18세기 이후 특정지역을 단위로 해당지역 향리들의 행적을 정리하기 시작 ○ 尙州-『尙山吏蹟』(18C중엽이전)
李明九(1799~1874, 月城李氏, 尙州吏族)의『掾曺龜鑑』,『掾曺龜鑑續編』
○ 義城 - 鄕吏 李擢英의『解㶊錄』(監營吏의 행적 정리) ○ 醴泉 - 『襄陽耆舊錄』
○ 安東 -『安東鄕孫事蹟通錄』
(吏任을 맡지 않고 儒業에 종사한 鄕吏知識人관여, 安東權氏·安東金氏吏族세력)
2) 지방관아 이속들의 주관하에 성황당과 별도로 그들 집단의 안녕 빌기 위한 祭堂·祠宇 마련 ○ 和順縣의 府君堂, 固城의 風雲堂
○ 居昌의 彰忠祠(居昌愼氏吏族), 義城의 충효사
3) 신분한계를 가진 향리지식인들의 이상적이고 모범적 인물상 제작
○ 尙州의 蕭何(?~BC193)와 后稷초상화- 蕭何(?~BC193)는 漢나라의 개국공신, 지방관리였으 나 이후 將相에 나아간 인물
5. 성리학적 명분에 따른 사회질서 재편의 일환
1) 충렬사의 건립과 중창, 각종 전망제단의 건립 등 임란의 순국 및 항전 추모 사업 2) 忠義의 권장과 통치체제 강화의 명분 제시
책거리로 본 조선민화의 특색
정병모 (경주대학교)
Ⅰ. 책거리란 무엇인가
Ⅱ. 책거리의 시작, 정조의 책거리
Ⅲ. 이형록에서 꽃핀 궁중 책거리
Ⅳ. 길상의 상징으로 장식된 민화 책거리
Ⅴ. 민화 책거리의 다양한 변신
Ⅵ. 현대에 각광을 받고 있는 책거리
책거리로 본 조선민화의 특색
133
책거리로 본 조선민화의 특색
정 병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