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수산자원보호 관련 기관의 구성
3.2.1 국가어업관리단
수역으로 이동하는 중국 어선에 대해 동경 130도선을 이용하여 북한수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해어업관리단에서는 전단지 배포 등의 홍보 및 유도활동을 임하고 있다.81)
그리고 해양경찰청 및 국가어업관리단에서는 불법조업을 조금이나마 근절하 기 위해 자체적으로 맞춤형의 경비 및 단속활동도 행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는 기획 및 과학 수사제도를 도입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많은 시도를 행하였지 만, 역부족임을 알 수 있었고, 솔직히 우리 해상집행기관의 현 세력으로 중국어 선의 불법조업을 해결함에 있어서 자체 단속만으로는 한계를 보이고 있는 데, 이것은 중국 어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나 적은 우리나라 해상집행기관의 단 속 함정 및 국가 및 지자체 어업지도선, 관련 부처의 장비 및 인력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인한 한계적 상황이라 할 수 있고, 이를 극복하기에는 정부의 적극적 인 예산지원 정책과 함께 제도적으로도 많은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해양경찰과 비교해 보면 국가어업지도선의 척당 관할수역이 12,738㎢ 으로 해양경찰에 비해 약 8배 정도 넓은 데 비해, 현재 임무수행중인 국가어업 지도선의 척수는 오히려 해양경찰 함정에 비해 ⅛ 정도의 수준에 불과하다.83)
각 국가어업관리단에는 특별사법경찰관을 포함하는 어업감독공무원들이 육상 및 해상에서 수산관계자들과 어선들의 어업지도 및 관리를 주로 맡아 하는데, 여기에서 어업감독공무원이라 함은 어업조정, 안전조업, 불법어업 방지 및 수산 물의 유통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산업법 , 수산자원관리법 , 어장관리법 등에서 정한 각 종 권한을 행사하는 자를 말한다.
즉, EEZ 어업법 의 근거 규정에 의하여 불법조업 중국어선을 단속하고 처 벌하고 있는 어업감독공무원은 불법어업을 단속하는 해양수산부의 국가어업관 리단 공무원과 안전행정부의 지방자치단체의 어업지도 관련 지방공무원에게 어 업지도단속에 대한 행정권한을 부여하는 어업감독공무원으로 임명하고 있거나 또는 어업에 관한 범죄를 수사할 수 있는 특별사법경찰관으로 임명하고 있거 나, 이 두 가지의 권한을 모두 동시에 부여하기도 한다. 어업감독공무원 중 EEZ 어업법 상 불법조업을 하는 중국어선을 단속하는 사법경찰관이란 이 법
제 3조의2에 의거하여 형사소송법 에 따른 사법경찰관이나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0호에 따른 어업감독공
무원 중 7급 이상의 공무원을 지칭 한다.84)
이런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이웃 일본에서는 국가공무원은 어업감독관, 지방 공무원은 어업감독리로 임명하도록 구별하고 있다. 어업감독공무원이 될 수 있 는 자격은 첫째, 1년 이상 어업에 관한 법령의 시행에 대한 경험이 있는 자, 둘째, 2년 이상 어업에 관한 행정사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자, 셋째, 수산대 학교에서 법률 또는 수산을 전공한 자로 하고 있으며,85) 이처럼 어업감독공무
83)동해어업관리단,《무궁화》,2012.12,p.34.
84)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외국인어업 등에 대한 주권적 권리의 행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10.11.18〕〔대통령령 제22493호,2010.11.15,타법개정〕제3조의2(사법경찰관)법 제6 조의2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법경찰관”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자를 말 한다.
1. 형사소송법 제196조 제1항에 따른 사법경찰관.
2.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0호에 따른 어업감독
공무원 중 7급 이상 공무원.
원이 될 수 있는 자격범위를 비교적 명확하게 하여 어업지도·감독에 관한 최 소한의 소양을 갖춘 자를 어업감독공무원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러므로 우리나라도 자격의 범위를 좀 더 구체적이고, 어업지도·감독의 공정성 에 있어서 어업인과의 시시비비를 최대로 줄이고 서로간의 믿음성을 높여 재범 을 예방하고 수산업 발전에 기여해 줄 것을 기대한다.
이에 비하여 해양경찰은 조직상 안전행정부의 일반경찰과 별도로 운영되고, 해양이라는 특수한 공간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각 종 위험에 대하여 보다 전문 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해양경찰의 정의는 실정법이나 학문적으로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양경찰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정립된 경찰개념에 근거할 수밖에 없다. 이에 해양경찰은 “해상에서 공공의 안녕과 질 서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통치권에 기하여 국민에게 강제함으로 써 국민의 자유를 제한하는 작용” 이라고 정의86)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업감독공무원은 어업조정, 안전조업, 불법어업방지, 수산물의 유 통질서 확립을 위하여 해양수산부 및 안전행정부 산하기관에 소속된 공무원을 말하는 데, 자격요건으로는 먼저 수산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국가공무원으로 서 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지정한자(시행령 제47조제1항 제1호)이 며, 둘째로 수산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지방공무원으로서 시·도지사 또는 시 장, 군수, 구청장이 지정한자(시행령 제47조 제1항 제2호)로 주어진다.
법적근거로 어업감독공무원은 수산업법 제63조(어업감독공무원), 수산업 법시행령 제47조(어업감독공무원의 자격 등), 어업단속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0245호 2007.9.6)에 의하고, 특별사법경찰관은 수산업법 제64조(사법경찰권),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외국인어업등에 대한 주권적 권 리의 행사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7조(사법경찰관), 사법경찰관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0호(검사장의 지명에 의한 사법경찰 관리), 제6조 제15호(직무범위와 수사 관할)에 근거 한다.87)
이런 자격과 법적인 근거를 기준으로 해상에서 해상집행기관인 국가어업지도
85)金田禎之,“新編漁業法詳解”,成山堂書店,2001,p.391.
86)이종근(2010),앞의 논문,pp.308∼309.
87)동해어업지도사무소,《불법어업지도점검업무 표준매뉴얼》,2007.11,pp.6∼7.
선이 상대하는 주요 선박의 선종은 대부분이 어선일 것이다. 그래서 어선을 이 해하고 어법의 특징을 알고, 적법하지 못한 어선의 불법적이거나 의심스러운 조업활동을 하는 선박을 검색하고 지도하고 있는 곳이 국가어업관리단이다. 그 래서 두 곳의 국가어업관리단 중에서 동해어업관리단의 국가어업지도선에 승선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 중 항해분야 직원들이 가지고 있는 해기사면허증 보유 현황88)을 일반직과 기능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해기사 면허에는 항해사, 기관사 및 운항사 면허로 나누어진다. 기관사 면허 는 어선이든 상선이든 모두 승선가능하고, 운항사 면허는 항해사와 기관사의 자격을 동시에 갖춘 면허이므로 여기 내용설명에서는 제외하고 항해사 면허만 을 얘기하고자 한다. 항해사 해기면허에는 어선항해사와 상선항해사 두 종류의 면허로 구분되는데, 여기서는 구분하지 않기로 한다. 왜냐하면 두 종류 모두 다 가능하고, 가령 상선항해사면허를 가지고 있으면서 국가어업지도선이 어선 관련 관공선으로 어선항해사 면허까지 취득하여 교류면허를 가지는 노력을 기 울이고 있다.
88)동해어업지도사무소 어업지도과,내부자료,2013.
Fig.33.일반직 승무원의 해기면허 보유 현황
위의 <Fig. 33>은 동해어업관리단 국가어업지도선에 승선하고 있는 일반직 승
무원의 해기면허 보유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직의 경우, 총원 77명으로 해기면허 1급 10명, 2급 24명, 3급 36명이다.
3급 이상의 면허를 소지한 이는 약 91%로 아주 만족스러운 보유상태이고, 국가
어업지도선의 선장직책은 주로 해양수산 사무관(5급)이 대부분인데, 11명이 3급 이상의 해기면허를 소지하고 있다. 해양수산 서기보(9급)는 해기면허 1급 1명, 3급 5명, 해양수산 서기(8급)는 해기면허 1급 1명, 2급 4명, 3급 12명이 있다.
대체로 신규자 및 젊은 승무원들이 높은 해기면허를 취득하고 있고, 많은 승선 경험을 가지고 입사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직 공무원으로 해양수산 서기관(4급) 1명은 동해어업관리단장으로 현재는 해기면허를 보유하지 않고 어업관리단장의 직책을 맡고 있는 데, 가능 하면 해기면허를 취득하여 수장의 직책에 맞는 자격이 필요 할 것이다.
Fig.34.기능직 승무원의 해기면허 보유 현황
그리고 <Fig. 34>에서 처럼 동해어업관리단 국가어업지도선에 승선하고 있는
기능직 승무원의 경우, 총원 68명으로 해기면허 1급 5명, 2급 6명, 3급 17명이 다. 3급 이상의 면허를 소지한 이는 28명, 약 41%로 양호한 보유상태이고, 기능
9급 공무원은 해기면허 2급 2명, 3급 8명이고, 기능 8급 공무원은 1급 1명, 2급
3명, 3급 6명으로, 3급 이상 면허소지자 28명 중에 기능 8급·9급공무원들이 소
지한 수가 20명으로 신규자 및 젊은 승무원들이 높은 해기면허와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입사하고 있다.
또한 보통 일반선박에서처럼 책임자 역할을 하는 (준)사관 급의 경우, 국가어 업지도선에서는 자격에 맞는 일정 해기면허가 없으면 사관으로 또는 책임자로 발령을 내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게 엄격하게 적용하다 보니, 7급 이상의 상급 자들도 계속 연구하는 모습을 보이고, 나머지 대부분의 많은 승무원들 또한 어 업과 직무에 대한 지식의 폭을 넓이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다.
한편, 어업지도사무소 및 국가어업지도선에는 어업감독공무원이나 특별사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