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외국 어선의 조업현황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Halaman 68-85)

2.4 우리나라 어선과 외국어선의 조업현황

2.4.2 외국 어선의 조업현황

Fig.21. 한·일 어업협정 상 우리어선의 협정척수 및 허가척수(2009∼2013년)

여기에서 2009년도에는 협정척수보다도 46척 많은 입어선박을 신청하였고,

2010년에는 427척이나 적은 수를 입어선박으로 신청하여 협정척수 대비 53%

허가를 얻었다.

이것은 국가 간의 양자어업협정상으로 협정내용을 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 리나라 관련 행정기관의 행정상 들쑥날쑥하고 원활하지 못한 업무처리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2010년도의 내용은 우리어선 및 어업종사자들의 많은 피 해가 예상되는 부분이다.

활동을 하고 있는 데, 그 외국 국적 어선들의 조업현황68)을 분석하였다.

2.4.2.1 중국어선 현황

현재 우리해역 내 중국어선 조업척수는 일일 평균 800여 척이고, 주로 흑산 도 주변과 제주도 해역 부근에서 조업을 하고 있으며, 어로작업 방식은 저인망, 유자망, 선망으로 그 중 저인망어업이 약 70% 차지하고 있다.

아래 <Fig. 22>는 2008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5년간의 중국어선의 협정상 허

가척수 및 조업척수를 보여주고 있는 데, 그 중 어업협정상 입어 허가척수는 2008년 1,927척, 2009년 1,866척, 2010년 1,814척, 2011년 1,814척, 2012년 1,866 척에 이른다.

실제 조업척수는 2008년 1,060척, 2009년 1,750척, 2010년 1,679척, 2011년

1,675척, 2012년 1,742척 이며, 허가척수에 대한 조업척수 비율은 2008∼2012년

까지 55.0%, 93.8%, 92.6%, 92.3%, 93.4%에 이른다. 2013년도 허가척수는 1,600 척이다.

68)해양경찰청 경비안전국,“주요통계자료(불법조업 어선 관련 통계자료)”,2012.2;동해어업지도 사무소 어업지도과,내부자료,2013.

Fig.22. 한·중 어업협정 상 중국어선의 허가척수 및 조업척수(2008∼2012년)

아래 <Fig. 23>은 2012년도 한·중 어업협정 상 우리나라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 중국의 유망어업, 1척식·2척식 저인망어업에 대해 협정대비 신청 입어 척수 및 입어할당량에 대한 허가 입어척수와 입어할당량 현황을 나타낸 것이 다. 한·중 어업협정 상 협정 척수 및 할당량은 1,712척, 62,500tons으로, 중 국에서 신청한 척수 및 할당량은 1,867척, 67,667tons이며, 허가 척수 및 할당량 은 1,866척, 67,839tons이다.

그런데 아래의 그림 내용을 살펴보면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1 척식 저인망어업이 어업협정상에는 없는 데, 19척, 694tons을 허가해주고, 유망 어업은 730척, 8,314tons을 허가하여 협정대비 39척, 437tons 많은 내용과 2척식 저인망어업은 협정대비 925척, 44,688tons을 허가하여 127척, 4,792tons을 더 많 이 인정하였다.

Fig.23.우리나라 EEZ내 중국어선의 협정대비 신청 및 허가현황(2012년)

특히나 1척식·2척식 저인망어업은 수산자원 생태계 및 해양생태계 환경을

훼손하는 일등 어법인 만큼 자제되어야 할 어업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추가로 더 허가를 하였으니 이 부분은 다시 조사하여야 할 부분이다.

한·중 어업협정 이후로 매년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은 늘어만 가고, 그 정

도는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2012년도와 같은 현황이 나올 수 있는지 다시 짚 어 볼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면 밀히 분석·조사하고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마련하고,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검토 및 관심과 관찰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타망 (저인망)

긴 자루형의 그물을 배 2척 또는 1척이 끌면서 고기를 잡는 어업

○ 위망 (선망)

네모 모양의 그물로 어군을 둘러싼 후 범위를 좁혀서 잡는 어업

○ 유망 (유자망)

긴 사각형 모양의 그물을 조류를 따라 흘러가도록 커텐처럼 바다에 펼쳐 놓고 잡는 어업

○ 우조 (채낚기)

낚시를 1개 또는 여러개 달아 대상생물 을 채어 낚는 어업

Table1.중국어선 어법 모식도 및 정의

(출처 :해양경찰청 경비안전국;국립수산과학원 홈페이지(http://www.nfrdi.re.kr)해양 수산연구정보포털)

위의 <Table 1>은 중국 입어 어선들 중 대표적인 타망, 위망, 유망, 우조 네 종류의 어법을 삽화와 함께 간단히 정의를 설명하였고, 아래의 <Fig. 24∼27>는 중국 어선의 2012년도 타망, 위망, 유망, 우조 등 각 대표어업의 조업척수, 조업 기간, 조업해역, 어획할당량 및 금지해역의 정확한 위치, 기타 제한조건 등 하 나하나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Fig.24.타망어업 조업수역도(2012년)

(출처 :해양수산부 홈페이지(http://www.mof.go.kr))

Fig.25.위망어업 조업수역도(2012년)

(출처 :해양수산부 홈페이지(http://www.mof.go.kr))

Fig.26.유망어업 조업수역도(2012년)

(출처 :해양수산부 홈페이지(http://www.mof.go.kr))

Fig.27.우조어업 조업수역도(2012년)

(출처 :해양수산부 홈페이지(http://www.mof.go.kr))

Fig.28.중국어선 입어척수 규모 비교(2012∼2013년)

Fig.29.중국어선 입어할당량 규모 비교(2012∼2013년)

위의 <Fig. 28과 29>는 2012년도와 2013년도의 중국어선 입어규모를 각 업종 별로 입어척수와 입어할당량을 구분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2012년도에 비해 쌍 선타망이 28척, 1,400tons, 위망이 4척, 895tons, 유망이 18척, 205tons 이 각각

줄어서 2013년도 입어규모는 전체적으로 50척, 2,500tons이 줄어들어 1,600척,

60,000tons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우리나라 수역에서 불법조업을

행하는 중국어선의 척수 및 어획량에 대해서는 미지수이다.

업 종 허가척수 조업기간 비고

타망

쌍선타망 770

1.1~4.15 / 10.16~12.31 - 단선타망 14

유 망 673 2.1~6.1 / 9.16~12.31 - 위망(선망) 21통

(88척)

(1)수역 : 1.1~12.31

(2)수역 : 1.1~4.30, 9.1~12.31

조업수역 구분에   따라 조업기간 상이 오징어채낚기

(우조) 55 10.1~12.31 -

어획물 운반선 58 어획물 전재하는 조업어선 조업

허가 시기와 같음 -

Table2.2013년 중국어선의 주요 업종별 허가척수 및 조업기간

(출처 :동해어업지도사무소 어업지도과)

<Table 2>는 2013년도 중국어선의 주요 업종별 허가척수 및 조업기간을 나타

내고 있다. 타망어업의 경우에는 연 초반과 후반에 조업을 하고, 유망어업은 1 월, 7∼9월 중순까지 휴어기이며, 위망어업은 조업수역에 따라 조업기간이 상이 한 것을 볼 수 있고, 수역(1)에서는 언제든 조업이 가능하고, 수역(2)에서는 5∼

8월을 제외하고 조업을 할 수 있다. 우조어업은 10∼12월까지 단 3개월만 조업

가능하고, 어획물 운반선은 같이 하는 조업어선의 조업 허가시기와 같다.

구분 합법 어구·어법 불법개량 어구·어법

어구 어법

방추형의 어류를 대상으로 긴 띠 모양의 그물을 물고기가 지나가는 곳에 부설하여 수산동물들이 그물코에 꽂히도록 하거나 얽히도록 하여 잡는 어법으로써 투망하고 일정시간(5∼6시간)이 지난 후 양망하는 형태

어구의 양 끝단에 주름을 주어 조류에 반원 모양의 자루그물이 형성되게 하여 수산동물들이 양 끝단으로 모이게 한 후 양망하는 방식으로 정치성 어구어법 으로써 조류를 이용 투·양망을 수시로 조업 할 수 있는 형태

어구도

조업 실태

Table3.유망어업의 합법어구와 불법개량어구와의 비교 2.4.2.2 2013년 신설된 중국 어선에 대한 입어 조건

2.4.2.2.1 유망어업의 어구실명제 및 사용량 제한제도 도입

(출처 :동해어업지도사무소 어업지도과)

먼저, 불법어업의 방지를 막기 위해 한층 더 강화된 수단으로 위의 <Table

3>과 같이 2012년 9월 16일부터 자망어업의 어구 실명제 실시를 도입하여 진행

해 오고 있으며, 2013년 8월 1일 부터는 자망 어구사용량 제한 제도를 도입하 기로 했으며, 전통 유자망 및 고정자망69) 이외에 다른 변형된 어구·어법 사용 을 금지하기로 했다.70)

2.4.2.2.2 타망어업의 이중그물 적재 금지

타망어업 중국어선의 이중그물 적재 금지내용으로 한국 EEZ내 입어 시 낭망 부분의 이중이상 자루그물 적재 할 때에는 격납 및 덮개를 씌우도록 규정(보호 망도 이중자루 그물에 포함)하기로 했으며, 기타 부분적 합의사항으로는 홍어 연승어업 보호구역을 설정하기로 했다.71) 이처럼 협의하여 규정을 정하고, 그 규정을 준수 한다면 금상첨화이겠지만, 행정부서의 행정업무 처리와는 달리, 현 장에 있는 대부분의 중국 어선들은 이 협의 내용조차도 모를 것이며, 관심도 없을 것이고, 이행 또한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2.4.2.3 일본어선 현황

현재 우리해역 내 일본어선 조업척수는 일일 평균 10여 척으로, 주로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조업하고 있으며, 어로작업 방식은 선망, 저인망 및 채낚기 등 중․대형 어선이 주로 이루고 있다.72)

아래 <Fig. 30>에서 한·일 어업협정 상 입어 허가척수는 2008년 1,000척, 2009년 940척, 2010년 900척, 2011년870척, 2012년 870척, 2013년도 허가척수

는 860척이다. 또한 실제 조업척수는 2007년 137척, 2008년 120척, 2009년 118

척, 2010년 128척, 2011년 100척, 2012년 221척이다.

69)참고로 타망어업의 주 어종은 조기,갈치,아귀,가자미,오징어,고등어 등이고,유망어업의 주요 어종은 조기,삼치,고등어 등이다.

70)동해어업지도사무소,PT 자료 “중국어선”,2013.

71) 서해어업지도사무소,브리핑 자료 “우리 EEZ 수역 중국어선 불법조업 단속강화”, 2011.3.2일자.

72)해양경찰청 경비안전국,“주요통계자료(불법조업 어선 관련 통계자료)”,2012.2,p.1.

Fig.30. 한·일 어업협정 상 일본어선의 허가척수 및 조업척수(2008∼2012년)

매년 한·일 어업협정 상 입어 허가척수는 줄어들고 있으나, 입어허가척수

에 대한 입어조업척수 비율은 2008∼2010년까지는 12.0%, 12.5%, 13.5%, 11.4%

이며, 2012년은 25.4%로, 유독 작년에 조업척수의 비율이 높아졌음을 잘 보여

주고 있다.

Fig.31.우리나라 EEZ내 일본어선의 협정대비 신청 및 허가현황(2012년)

여기에서 한·일 어업협정 상의 총 척 수는 870척이나 절반도 못 미치는

377척을 신청하고 340척 만이 허가를 받아, 협정대비 허가척수는 약 39%에 이

른다.

일본 어선들은 예인조, 대·중형 선망어업, 오징어채낚기어업 순서로 많은 협 정 척수를 내세웠으나, 협정대비 허가척수로는 가다랭이 일본조가 79.31%, 대·

중형 선망어업이 75.31%, 일본조가 71.43%로 비율이 조금은 달랐다.

어업협정대비 허가척수 및 허가할당량에 대한 비율은 연승어업이 60.67%, 3,019.94%이고, 예인조가 17.44%, 4,870.36%이며, 고정식자망이 87.5%,

57,222.86%로 확실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2012년도 어족자원의 종별 조성 및 일본의 어종에 따른 선호 수요량

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Halaman 6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