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수산자원 현황
2.3.4 수산자원의 분류별 통계현황
2.3.4.1 어법별 생산량 통계현황
2.3.4.1.1 내수면어업
아래 <Fig. 8>은 2010∼2012년까지 최근 3년간 내수면어업45)의 생산량46)을 연 도별로 나타낸 것이다.
44)CBC뉴스 홈페이지(http://www.cbcnews.co.kr),2012년 9월 8일자.
45)수산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fips.go.kr);내수면어업이라 함은 하천,호수,저수지,댐 등에서 어류,패류 등을 포획·채취 하거나 인위적인 시설물을 설치하여 민물을 이용하여 어·
패류 등을 기르는 어업이다.참고로 어법이라 함은 수산업법에 명시된 면허,허가,신고 등에 관한 규정에 의거 분류된 수산동식물의 포획·채취 수단을 말한다.
46)생산량은 어선어업 및 맨손어업,기타어업에서 포획·채취하였거나 양식장에서 최종적으로 수 확하는 량을 말한다.
Fig.8.최근 3년(2010∼2012년)간 내수면어업 생산량
내수면어업은 2010년에 30,982tons, 2011년은 32,270tons이고, 2012년은 28,131tons으로 전년 대비 4,139tons이 줄어들어 약 13% 감소하였고, 내수면어 업의 최근 3년간 평균은 30,461tons이며, 2011년도의 생산량을 볼 때 평균생산 량에 대해 내수면 어업은 약 6% 소폭 증가하였다.
2.3.4.1.2 해면어업
아래 <Fig. 9>는 2010∼2012년까지 최근 3년간 연승47), 저인망, 트롤48), 봉수 망49), 정치망, 통발, 자망 등 여러 가지 일반 해면어업50)의 생산량을 연도별로 나타낸 것이다.
47)연승어업이라 함은 주낙이라고도 하는 데,긴 줄에 일정 간격으로 낚시를 달아 수중에 부설하여 어류를 채포하는 어업이다.
48)트롤어업이라 함은 망구 전개판을 장치한 날개그물이 달린 자루모양의 그물을 해저에서 끌어 어류를 채포하는 어업이다.
49)봉수망어업이라 함은 보자기 모양의 그물 한 쪽 변에 뜸대,다른 쪽 변에 침자를 달아 수중에 부설 한 후,대상물을 그물 위에 유도하여 어류를 채포하는 어업이다.
50)수산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fips.go.kr).
Fig.9.최근 3년(2010∼2012년)간 일반 해면어업 생산량
일반 해면어업51)의 3년간의 평균은 1,153,020tons이고, 여기서 2011년도의 생 산량을 볼 때, 평균생산량에 대해 일반 해면어업은 약 7% 소폭 증가하였다.
여기에서 각 어업별로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없으나, 특히 봉수망어업이 매년 생산량이 없고, 연·근해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형망52) 및 조망어업53)의 생산량은 2010년도에 각각 10,381tons, 1,135tons 이었으나, 2012년도에는 2,461tons, 173tons을 기록하여 각각 23.7%, 15.2%로 줄어들어 약 ⅕ 정도 수준 으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형망과 조망어업의 국내 생산 활동이 많이 줄어들었고, 어장 환경의 변화에 의한 원인으로 수산자원이 많이 감소하 였다.
51)일반해면어업이라 함은 해수면에서 어류,패류,해조류 등을 포획·채취하는 어업이다.
52)형망어업이라 함은 아궁이에 갈구리가 달린 철제 또는 목제 틀을 장치한 자루모양의 그물을 해저에 서 끌어 패류를 채포하는 어업이다.
53)조망어업은 소형선망과 동일방식으로 아랫줄에 죔줄을 장치하지 아니한 긴 사각형의 그물로 대상 물을 포위하여 어류를 채포하는 양조망어업과 아랫줄에 죔줄을 장치하지 아니한 긴 사각형의 그물로 대 상물을 포위하고 돌을 던져 도피를 방지함으로서 어류를 채포하는 석조망어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정치망어업은 2010년도 37,526tons에서 2012년도에는 29,748tons으로 약 21%가 줄었고, 이런 결과들을 볼 때, 연·근해의 수산자원이 줄어들고 있음은 확실하다. 이 외에도 자망, 안강망54) 등의 어업들 또한 감소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2.3.4.1.3 원양어업
아래 <Fig. 10>은 2010∼2012년까지 최근 3년간 원양연승, 원양선망, 원양트 롤, 원양채낚기 등 여러 가지 원양어업55)의 생산량을 연도별로 나타낸 것이다.
Fig.10.최근 3년(2010∼2012년)간 원양어업 생산량
54)안강망어업이라 함은 긴 자루모양의 그물을 해저에 고정시키고 대상물이 조류에 밀려 그물에 들어 가도록 하여 어류를 채포하는 어업이다.
55)수산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fips.go.kr);원양어업이라 함은 원양산업발전법 제6조에 의거한 원양어업 허가를 받아 해외수역을 조업구역으로 하는 어업이다.
원양어업의 최근 3년간 평균은 559,349tons이고, 원양어업에서는 봉수망어업 이 2010년에는 21,360tons 이었으나, 2012년에는 13,961tons으로 줄어 약 35%가 감소하였고, 통발어업56)은2010년에는 1,097tons 이었으나, 2012년에는 95tons으 로 줄어 약 91%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원양어업에서 봉수망어업 및 통발어업의 많은 어획부진과 어업철수 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3.4.2 종류별 생산량 통계현황
2.3.4.2.1 내수면어업
아래 <Fig. 11>은 2010∼2012년까지 최근 3년간 내수면어업57)의 생산량을 연 도별로 나타낸 것이다.
Fig.11.최근 3년(2010∼2012년)간 내수면어업 생산량
56)통발어업이라 함은 긴 줄에 일정 간격으로 통발을 달아 해저에 부설하여 어류 또는 패류를 채포하는 어업이다.
57)수산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fips.go.kr).
내수면어업에 있어서 어류 및 패류와는 달리 갑각류는 2010년 345tons, 2011 년 262tons, 2012년 321tons으로 한 해 생산량이 500tons을 넘지 못하고 평균생 산량은 약 309tons 정도에 이른다.
또한 어류는 2010년 26,326tons, 2011년 26,521tons, 2012년 22,872tons으로
2010년도에 비해 3,454tons, 약 13%가 감소하였다. 이것은 연안생태계 환경의
복잡하고 다양한 원인들과 함께 내수면어업 개체 자원의 감소를 나타내고 것이 다.
2.3.4.2.2 해면어업
아래 <Fig. 12>는 2010∼2012년까지 최근 3년간 일반 해면어업58)의 생산량을 연도별로 나타낸 것이다.
Fig.12.최근 3년(2010∼2012년)간 일반 해면어업 생산량
58)수산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fips.go.kr).
최근 3년간의 내용으로 볼 때, 크게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없으나, 위의 그림에 서 어류를 보면 2010년도 생산량은 816,308tons이고, 2011년도는 이 보다 약 10 만tons 많은 915,052tons 이었으며, 2012년도에는 전년도보다 약 13만tons 적은 780,695tons으로 평균생산량은 약 837,352tons이다.
이것은 수온, 조류 등 해상상태의 변화도 원인으로 들 수 있겠지만, 정치·사 회적 이유 즉, 어선들의 불법조업으로 인한 어획생산량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2.3.4.2.3 원양어업
아래 <Fig. 13>은 2010∼2012년까지 최근 3년간 원양어업59)의 생산량을 연도 별로 나타낸 것이다.
Fig.13.최근 3년(2010∼2012년)간 원양어업 생산량
원양어업에서 패류는 전혀 없으며, 갑각류는 2010년 36,057tons, 2011년 24,705tons, 2012년 26,205tons의 생산량을 보이고 평균생산량은 28,989tons 이다. 2011년도에는 전년도에 비해 11,352tons이 줄었고, 2012년도는 9,852tons이 줄었다. 2010년에 비해 각각 약 31%, 약 27%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주꾸미, 오징어 등의 연체동물은 2010년도는 67,904tons, 2011년도는 71,934tons, 2012년도는 85,133tons으로 매년 약6%, 18%의 증가를 보여 평균생 59)수산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fips.go.kr).
산량은 74,990tons이다. 이것은 국내소비의 패턴 변하 및 연체동물에 대한 소비 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2.3.4.2.4 전체 어업
아래 <Fig. 14>는 2010∼2012년까지 최근 3년간 전체 어업60)의 총합생산량을 연도별로 나타낸 것이다.
Fig.14.최근 3년(2010∼2012년)간 전체 어업 총생산량
위의 <Fig. 14>는 수산자원을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 및 패류 등으로 종류별 로 구분하여 생산량을 정리하였고, 일반 해면어업, 내수면 어업 및 원양어업으 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60)수산정보포털 홈페이지(http://www.fips.go.kr).
전체 어종 중에서 어류가 단연 으뜸으로 2010년 1,330,789tons, 2011년 1,355,558tons, 2012년 1,267,538tons을 기록하여 평균생산량은 약 1,317,962tons 이고, 가장 작은 비중을 차지하는 갑각류는 2010년 147,332tons, 2011년 129,550tons, 2012년 134,578tons으로 평균생산량은 137,153tons이다.
그리고 2012년 총생산량은 2,127,476tons이며, 어류 약 60%, 패류 약 20%, 연 체동물 약 14%, 갑각류 약 6% 순으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