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불법조업의 처벌 기준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Halaman 138-143)

3.3 불법조업의 실태

3.3.7 불법조업의 처벌 기준

불법조업에 대한 처벌은 정도에 따라서 행정형벌인 징역, 벌금 등이 부과되 고 행정질서벌인 과태료, 과징금 등이 부과되기도 한다. 여기에 별도로 행정처 분부과규칙을 제정하여 각 종 어업의 허가에 대한 일정기간 정지, 취소 등의 규제 및 해기사면허 정지, 취소 등의 제재를 병행하여야 한다.

또한 행정형벌에 해당하는 것으로 위반행위자가 소유한 어획물, 제품, 어선, 어구 등을 몰수하거나 그 가액을 추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양벌규정을 두어 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 그 밖의 종사자들이 149)해양경찰청,앞의 자료,2013.6.

150)해묘란 낙하산이나 원뿔 모양의 캔버스 천으로 만들어진 것으로,바닷물 속으로 던져 물의 저항을 이용하여 배의 선수를 풍상쪽으로 향하게 하거나 유지시켜 주고,바람에 의한 표류(漂 流)를 적게 하려고 사용하는 장비이다.

151)해양경찰청,앞의 자료,2013.6.

그 법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행정형벌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하면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개인에게도 해당 조문에 해당하는 벌금형을 부 과 한다. 단 법인 또는 개인이 해당 업무에 관해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노 력, 주의 및 감독을 게을리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피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증거자료로써 입증하여 할 것이다.152) 불법조업의 처분으로 행정적, 사법적 처 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처분의 개별 기준을 위반사항에 대한 근거 법령으로 상세하게 표로 제시하여 나타내었다. 그 내용은 <Table 6, 7>에서 보 여주고 있다.

152)이종근,앞의 논문,p.307.

위 반 사 항 근거법령

행정처분의 기준 1차 위반 2차 위반 3차 위반 1. 법 제4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외국인이 특

정금지구역에서 어업활동을 한 때 법 제13조 정지60일 정지90일 취소 2. 법 제5조1항 또는 법 제8조 제1항의 규정

에 위반하여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어업 활동의 허가(이하 이표에서 “허가”라 한다) 를 받거나 시험․여구 등의 승인(이하 이표에서

“승인”이라한다)을 얻을 때

법 제13조 취소 - -

3. 법 제5조 또는 법 제8조의 규정에 위반하 여 허가를 받거나 승인을 얻은 외의 어업활동 등을 한 때

법 제13조 정지60일 정지90일 취소

4. 법 제5조 제3항 또는 법 제8조 제2항의 규 정에 위반하여 허가 번호판 또는 승인번호판을 비치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사실을 기재한 허가 번호판 또는 승인번호판을 비치 한 때

법 제13조 정지30일 정지60일 정지90일

5. 법 제5조 제3항 또는 법 제8조 제2항의 규 정에 위반하여 닳아 없어지는 등의 사유로 식 별하기 곤란하거나 규격에 맞지 아니한 허가번 호판 또는 승인번호판을 비치한 때

법 제13조 경고 정지30일 정지60일

6. 법 제5조. 법 제8조. 이 규칙 제10조 및 이 규칙 제30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입역․출역 또는 어업활동중임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게양 하지 아니하거나 사위로 표시기를 게양한 때

법 제13조 정지30일 정지60일 정지90일

7. 법 제5조. 법 제8조. 이 규칙 제10조 및 이 규칙 제30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닳아 없어 지는 등의 사유로 식별하기 곤란하거나 규격에 맞지 아니한 표시기를 게양한 때

법 제13조 경고 정지30일 정지60일

Table6.행정처분 개별 기준

8. 법 제5조. 법 제8조. 이 규칙 제10조 및 이 규칙 제30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후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어업허가사항 또는 승인사항이 변 경된 활동 등을 계속한 때

법 제13조 경고 정지30일 정지60일

9. 법 제6조2항의 규정에 위반하여 어종별 할당

어획량을 초과하여 어획 한 때 법 제13조 정지30일 취소 -

10. 법 제6조. 영제4조 및 이 규칙 제14조의 규 정에 위반하여 허가를 받거나 승인을 얻은 어선 규모 또는 어구외의 어구를 적재 또는 사용 한

법 제13조 정지30일 정지60일 취소

11. 법 제7조. 법 제4조 및 이 규칙 제15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어업활동 허가를 받은 외국인이 입어료를 최종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 한 때

법 제13조 취소 - -

12. 법 제10조 및 이 규칙 별표3의 규정에 위반 하여 외국인을 입국시키는 행위에 선박을 이용하 거나 기타 대한민국의 공공질서 또는 안전보장을 저해하는 행위에 선박을 이용한 때

법 제13조 정지90일 취소 -

13. 법 제10조 및 이 규칙 별표3의 규정에 위반 하여 수산에 관한 국제협약 또는 국가 간의 합의 사항을 준수하지 아니하고 어업활동 등을 한 때

법 제13조 정지30일 정지60일 취소

14. 법 제10조 및 이 규칙 별표3의 규정에 위반 하여 어획일자별로 대한민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에서 어획한 어종별 어획실적을 기록․유지 또는 보고하지 아니하거나 기록․유지 또는 보고를 허위 로 한 때

법 제13조 정지30일 정지60일 취소

(출처 :동해어업지도사무소 어업지도과)

<Table 6>에서는 행정처분 개별 기준으로 위반사항 14가지로 구분하여 잘 나

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도 근거법령 법 제13조의 위반사항 내용을 수정하고, 행 정처분의 기준도 너무나 관대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현실적인 문제와 타당성을 바탕으로 1차 위반 시의 경고내용을 정지

30일로 상향조정하고 2차 위반 시에는 90일 정지 내지 그 이상으로 하거나 허

가취소 등 전반적으로 위법 및 위반사항에 대해 상향하여 법 집행을 엄중하고 강력하게 대처할 필요하다.

위 반 사 항 근거

법령 사법처분 기준 1. 제4조 또는 제5조 제1항의 규정에 위반하여 어업활

동을 한자

법 제17조

1억원 이하의 벌금 2. 제10조의 규정에 의하여 제5조 제1항의 허가에 붙이

는 제한 또는 조건을 위반한자

법 제17조

1억원 이하의 벌금 3. 제11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어획물 또는 그 제품을

다른 선박에 옮겨 싣거나 다른 선박으로부터 받아 실은 자

법 제17조

1억원 이하의 벌금 4. 제13조의 규정에 의한 어업활동의 정지명령을 위반

한자

법 제17조

1억원 이하의 벌금 5. 제14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준용되는 제4조, 제5

조 제1항, 제10조 또는 제13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어업 활동을 한 자

법 제17조

1억원 이하의 벌금 6. 제12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어획물 또는 그 제품을

직접 양륙한 자

법 제18조

3천만원 이하의 벌금 7. 제8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승인을 얻지 아니하고

시험․ 연구 등을 위한 수산동식물의 포획채취 등의 행위 를 한자

법 제19조

500만원 이하의 벌금 8. 제10조의 규정에 의하여 제8조 제1항의 승인에 붙이

는 제한 또는 조건을 위반한자

법 제19조

500만원 이하의 벌금 9. 제13조의 규정에 의하여 시험․연구 등을 위한 수산동

식물의 포획․채취 등의 정지명령에 위반한자

법 제19조

500만원 이하의 벌금 10. 제5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한 허가사항의 표시를 하

지 아니하거나 허가증을 비치하지 아니한 자

법 제20조

200만원 이하의 벌금 11. 제17조 내지 제19조를 위반한자는 소유하거나 소지

한 어획물 및 그 제품, 선박 또는 어구 기타 어업활동 등에 사용한 물건

법 제21조

몰수 또는 가액 추진 12. 제17조 내지 제20조의 위반행위를 한 때에는 법

제22조 양벌규정 Table7.사법처분 개별 기준

(출처 :동해어업지도사무소 어업지도과)

<Table 7>은 사법처분 개별 기준을 설명하는 것인 데, 근거법령 법 제17조

위반사항과 처분 기준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200만 원에서 1억 원 이하의 벌금을 1천만 원에서 1억 원 이상의 벌금으로 상향하는 내용으로 바꾸고, 몰수, 구속 또는 추방까지 엄중하고도 강 력한 사법적 제재로 수정하였으면 한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Halaman 138-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