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수산자원보호 관련 기관의 구성
3.2.2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은 조직상 안전행정부의 일반경찰과 별도로 운영되고, 해양이라는 특수한 공간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각 종 위험에 대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 적인 대응이 필요한 정부기관이다. 해양경찰이라 함은 실정법이나 학문적으로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양경찰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정립된 경찰개념에 근거할 수밖에 없다. 이에 해양경찰은“해상에서 공공의 안녕과 질 서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통치권에 기하여 국민에게 강제함으로 써 국민의 자유를 제한하는 작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97)
오늘날 이러한 해양경찰의 기능은 해상경비 및 어로보호 목적의 기능과 함께 국가안보, 범죄수사, 해양오염방지, 해상교통안전 및 대민봉사까지 매우 다양하 다. 그리고 국내 해양범죄뿐만 아니라 국제해양법협약에 포함되는 경찰권 행사 와 관련하여 어느 나라에 대해서도 항해의 자유·항공의 자유·해저전선의 부설·
인공섬 건설의 자유 및 과학연구의 자유와 같은 공해 사용의 자유권을 인정하 고 있다(유엔해양법협약 제87조).
이 경우 만일 어느 선박이 자유권을 침해하거나 위반한다면, 기국은 위반선 박에 대하여 경찰권을 발동하여 조사 후 처벌하여야 한다. 이는 소극적 경찰권 을 의미하지만 해상교통과 항해사고(법 제97조) 및 어로활동이 증가한 현실에 서 다른 선박의 공해사용 자유권을 침해하는 행위는 기국이 규제하여야 할 의 무 가운데 하나이다(법 제94조).
또한 어떠한 국가의 선박도 공해상에 있어서 해적행위(법 제105조), 마약 거 래행위(법 제108조) 및 불법방송행위(법 제109조)를 할 수 없다. 만일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위반 선박의 국적에 관계없이 연안국이 적발하여 처리할 권한 을 가진다.98) 이러한 해양경찰의 기능 및 권한을 바탕으로 한 해양경찰의 업무 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데, 첫째, ① 해상범죄의 예방 및 진압수사, 외국선
97)이종근(2010),앞의 논문,pp.308∼309.
98)설계경, 해양범죄에 대한 해양경찰의 무기사용에 관한 소고 ,전북대학교 법학연구,통권 제 36집,2012.9,p.160.
박의 단속 및 감시, 밀항 및 밀수에 대한 국제해상형사공조업무 등의 성질상 사법경찰에 속하는 해양경찰사무, ② 구난·구조, 해상교통안전, 영해 및 배타 적 경제수역에서의 경비 및 어로보호 등의 해상에서의 일반적인 위험방지활동 과 조직상의 해양경찰이 담당하는 사무, ③ 해양오염방제활동 및 사무, ④ 기타 해상에서의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 대한 위험방지활동 등이다.
둘째, 해양경찰의 평시 및 전시의 임무역할로서, 평시에는 해양관할권 확보, 수색 및 구조, 해상치안 및 교통안전 유지, 해양환경보호 및 대민지원 등의 임 무를 수행하고, 전시에는 연안방어 및 주요 항만방어로서 해군의 해상작전을 지원하고, 해상치안을 유지하는 것이다.
셋째, 해양경찰의 업무를 국내법상과 국제법상으로 나눌 수 있는 데, 국내법 상 각 개별법에 규정된 해양경찰의 업무 내용으로는 해양경찰청과 그 소속기 관 직제 제3조, 경찰법 제3조, 경찰관직무집행법 제2조, 경찰공무원복무 규정 제3조이고, 국제법상으로는 연안국의 관할권(유엔해양법 제27조, 제73조) 과 기국의 관할권(유엔해양법 제87조, 제94조, 제97조, 제105조, 제108조, 제109 조, 제117조, 제136조, 제145조, 제194조)으로 다시 나누어 볼 수 있다.99)
이에 반해 외국의 해양경찰로는 미국의 코스트 가드(Coast Guard)와 일본의 해상보안청(海上保安廳)이 있는데, 이들의 주요 업무를 살펴보면, 미국의 Coast Guard는 평상시에는 해상치안기관으로서 업무를 수행하다가 전시나 긴 급 상황 시 전시업무까지 수행하게 되어 있어 우리나라의 해양경찰청보다는 폭 넓은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주요임무에는 해상보안 및 해상교통안전, 자연 및 자원 보호, 국방의 업무까지 포함한다.
그리고 일본의 해상보안청은 해상에서의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고, 법률위반 의 방지, 범죄수사, 진압 등을 목적으로, 임무로는 해양법률을 집행하고, 해난 구조, 해상치안 및 교통안전 확보, 해상방제 및 해양오염방지, 수로 및 등대 업 무를 수행하고 있다.100)
현재, 우리나라 해양경찰청의 현황101)을 살펴보면 해양수산부의 외청으로 설 99) 설계경, 해양경찰의 업무와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해사법연구,제21권 제2호,2009.7,
pp.140∼143.
100)설계경(2009),앞의 논문,pp.149∼151.
치되어 있으며 조직은 치안총감인 해양경찰청장과 차장, 6국(2관․4국), 23과(16 과․5담당관․1대변인․1팀)로 이루어져 있다. 부속 기관으로는 해양경찰학교와 해 양경찰연구소가 있으며, 책임운영기관으로 해양경찰 정비창을 운영하고 있으며, 관할해역별 해상치안을 담당하는 특별지방행정기관으로는 동해지방청, 서해지 방청, 남해지방청, 제주지방청의 4개 지방해양경찰청과 동해지방청 산하에 속초 해경서, 동해해경서, 포항해경서와 서해지방청 산하에 완도해경서, 목포해경서, 군산해경서, 태안해경서, 평택해경서와 남해지방청 산하에 울산해경서, 부산해 경서, 통영해경서, 여수해경서와 제주지방청 산하에는 제주해경서, 서귀포해경 서로 구성되고, 인천해경서를 더하여 15개 해양경찰서가 있으며, 각 지방해양경 찰청에는 경무기획과, 경비안전과, 정보수사과, 해양오염방제과와 항공단 및 특 공대를 두고 있으며, 각 해양경찰서에는 경무기획과, 해상안전과, 정보과, 해양 오염방제과, 경비구난과, 수사과, 장비관리과로 구성되어 있고, 예하에 전국 80 개 파출소와 242개 출장소가 있다(2012년 6월 기준).
점차적으로 해양경찰서와 파출소와 같은 기관시설의 증강과 짜임새 있는 체 계 및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남해지방청에는 2012년 12월 4일에 창 원해양경찰서를 개서하여 남부해역에서의 불법조업 관리감독 및 밀입국저지와 같은 해상치안 활동도 강화되었다. 또한 치안환경과 해상활동의 수요변화에 맞 춰 출장소를 파출소로 승격하고, 새로운 파출소를 신설하여 현장중심의 해상치 안과 안보 및 경비경계를 강화하는 한편, 사건,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처방안, 효율적인 대응 및 예방체계 확립을 위해 지방해양경찰청장 직속으로 해양경찰 항공단을 신설하기도 했다.
그리고 해양경찰청 인력 현황은 2011년 말 기준으로 해양경찰 인력은 경찰관 7,822명(77.5%)과 전투경찰순경 1,626명(16.1%), 일반․기능․계약직 공무원 647명 (6.4%) 등 총 10,09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3.2.2.1 해양경찰의 단속 시스템
현재 우리나라 해양경찰이 보유한 경비 함정은 수십 tons 급부터 5,000tons급
까지 300여 척102)으로, 배타적 경제수역(EEZ) 등 광역 경비임무 수행에 주로 활
101)해양경찰청,《2012해양경찰백서》,pp.320∼322.
용하는 1,000tons급 이상 대형 경비함은 29척이며, 이 중 서해상에 12척이 배치
되어 2교대로 운영돼 실제 해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경비함은 하루 6척에 불
과하며 일부해역에서는 500tons급 함정까지 경비작전에 투입되고 있다.103) 이렇게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중국 불법어선에 대해 해양경찰에서 실시하는 외국어선 검문·검색 기본원칙 10계명104)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있다.
첫째, 외국어선에 대한 검문검색은 국내법과 국제법에 근거하여 필요한도 내 에서 시행되어야 하며 이를 남용하지 않는다. 둘째, 해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적․물적 안전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며, 돌발 상황 대응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셋째, 유효한 정선명령을 비롯한 검문검색 전 과정과 위반사항은 반드시 채증 을 실시하여 증거자료로 활용한다(채증 없는 검문·검색은 없다). 넷째, 위반행 위,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우세한 단속세력을 투입한다. 다섯째, 외국어선의 저 항이 예상될 경우 인근함정과 편대검색을 실시하고, 편대검색이 불가능한 경우 에는 안전이 확보된 후 단독 검색한다. 여섯째, 검문·검색은 현장 상황에 따라 함정이나 단정을 적절히 이용하며, 고속단정 검색 시 본 함은 단속요원의 안전 확보를 위해 근접 지원한다. 일곱째, 고속단정 이용 시 2대를 이용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하며, 상호 지원체계를 유지한 상태로 피 검색어선 1척에 대해 합동작 전을 실시한다. 단, 고속단정 1대만 운용 가능한 경우, 본 함과의 긴밀한 합동 작전 전개. 여덟째, 외국선원이 흉기 또는 위험한 물건을 사용하여 저항할 경 우, 적정한 물리력을 사용하여 안전이 확보된 후에만 승선 검색한다. 아홉째, 본 함과 고속단정, 단속 요원 간 상시 긴밀한 통신체계를 유지하고, 수시로 안 전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두절 등 위급상황에 대비한다. 열째, 야간, 기상불량 등으로 승선검색이 곤란한 상황에서는 퇴거를 원칙으로 하며, 위반사항을 정밀 하게 채증하여 외국정부에 통보한다.
102)송영주 외 3명, 함정 승조원 추락 경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 학술발표회,2012,p.174.
103)해양경찰청,《2012해양경찰백서》.
104)해양경찰청,"불법 외국어선 단속 매뉴얼",2011.6,p.9.
3.2.2.2 해양경찰청의 외국어선 대응처리
청와대, 해양수산부
정보교환 협 의
조치요구 /협상 관련국
해상치안기관
관련국 정 부
해군작전 사령부
상황전파
해양경찰청
상황전파
외교통상부
협조/지원 협조/지원
대응지침 시 달
함대 사령부
상황전파
지방청
정보교환/협의
어정국 관 구 협조/지원
대응지침 시 달 지휘/지원
해양경찰서
지휘/지원
어업 지도선 해군함정
상황전파
경비함정 협조/지원
단속
외국어선
Fig.36.외국어선에 대한 기본단속 대응체계도
(출처 :해양경찰청,“불법 외국어선 단속”매뉴얼,2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