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불법조업 단속 법률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Halaman 122-125)

3.3 불법조업의 실태

3.3.3 불법조업 단속 법률

한편, 불법조업 일본어선은 2004년 제주 부근 해역에서 6척이 검거된 이 후127), 지금까지 없다가 10년 만에 처음으로 동해어업관리단은 2013년 11월 14

일 오전 9시 50분 부산 영도 태종대로부터 남쪽으로 약 18해리 떨어진 해상에

서 EEZ를 침범해 조업하던 일본어선 1척을 나포했다고 밝혔다.

나포된 선박은 6.6tons급 소형 어선으로 78세의 어부 1명이 타고 있었고, 이 어선은 우리나라 EEZ를 0.3해리 침범해 조업하던 중 국가어업지도선 무궁화 6 호에 발각됐다. 하지만 국가어업지도선이 소형 단속정을 내려 나포하려 하자 해당 어선은 곧바로 달아났지만 20분 만에 붙잡아서 나포된 어선의 어부를 부 산 감만 부두로 압송해 불법 조업 경위를 조사하였다.128)

격을 제한하는 수산자원보호령 제6조, 어업종류별로 어구 규모를 제한하는 수산자원보호령 제6조 제2항, 특정어구의 제작·판매 등의 행위를 금지하는 수산자원보호령 제6조 제3항, 어구를 사용함에 있어 금지구역과 그 기간을 규

정하는 수산자원보호령 제23조, 어업의 조정을 위하여 어선과 어구의 규모,

어선의 척수 및 조업수역 등에 관한 조정이 필요할 시 제한 및 조건, 금지를 규정한고 있는 어업허가 및 신고 등에 관한 규칙 제14조가 있다.

그리고 수산자원보호령 제6조에 의한 그물코 규격이 어업종류별로 구분,

제한되어 있는데, 중·대형(외끌이) 기선저인망은 33mm 이하, 대형기선저인망 과 대형트롤은 54mm 이하, 동해구 트롤은 43mm 이하, 근해안강망은 35mm 이 하(해파리 배출망 20∼35mm), 연·근해 자망의 삼치는 100mm 이하, 조기는 50mm 이하, 대게는 240mm 이하, 자망 중 내망과 이중 이상 자망은 40mm 하, 연·근해 통발의 대게는 150mm 이하, 붉은 대게는 125mm 이하, 붕장어·

낙지·새우·민꽃게류는 22mm 이하(깔대기 모양 그물입구 140mm이상), 그 외 수산 동물은 35mm 이하, 내수면의 낭장망은 24mm 이하(빙어는 8mm이하)로 규정하고 있다(수산자원보호령 제6조).

3.3.3.2 조업구역과 기간의 제한

다음은 수산자원보호령 제7조에 의한 어구사용의 금지구역과 금지기간으로

제1항은 선망어업의 불빛사용 금지구역, 제2항 삼치 포획을 목적으로 한 선망 어구 사용금지, 제3항 중형 기선저인망어업의 금어구, 제4항 게 포획을 목적으 로 한 통발어구 사용금지, 제5항 동력 형망 사용금지 기간(6.1∼7.31), 제6항 새 고막 및 새조개 포획을 목적으로 한 연안 형망어구 사용금지, 제7항 새우 어획 금지, 제8항 새우 포획을 목적으로 한 연안조망어업 금지, 제9항 새우조망어업 금지, 제10항 낭장망, 주목망, 해선망, 연안안강망 및 연안자망어구 사용금지, 제11항 멸치 포획을 목적으로 한 선망어구 사용금지, 제12항 멸치 포획을 목적 으로 한 들망어구 사용금지, 제13항 멸치 포획금지, 제14항 멸치 포획을 목적으 로 한 기선저인망, 들망 및 근해선망, 연안 선망 어구 사용금지, 제15항 멸치 포획을 목적으로 한 근해선망 어구 사용금지, 제16항 멸치 포획을 목적으로 한 연안 및 근해자망 어구 사용금지, 제17항 동해구 기선저인망어업의 금어기 및 금어구, 제18항 연안선인망 어업의 금어기로 나타낼 수 있다.

수산자원보호령 제10조에 의한 금어기 및 금어구는 제1항 은어 포획금지

(금어구 및 금어기 : 6.1∼9.15), 제2항 전북 지역(금어구 및 금어기 : 4.1∼

10.31), 제3항 가리비(금어구 및 금어기 : 3.1∼6.30)와 관련한 규정으로 한다.

수산자원보호령 제11조에 의한 포획 및 채취금지기간으로 은어는 5.1∼

5.31, 9.1∼10.31, 대구는 1.1∼1.31(부산, 울산, 경남), 연어는10.11∼11.30, 빙어는 3.1∼3.20, 쏘가리는 5.30∼6.30, 자라는 6.1∼8.31, 대게는 6.1∼11.30, 닭새우는 7.1∼8.31, 펄닭 새우는 6.1∼8.31, 전복은 9.1∼10.31, 키조개는 7.1∼8.31, 개서대 는6.1∼8.31, 문치가자미는 1.1∼2.28, 전어는 5.1∼6.30, 쥐노래미는 11.1∼12.31, 참게 및 동남참게는 8.1∼11.30, 다슬기류는 12.1∼2.28, 곰피는 5.1∼7.31, 대황은 5.1∼7.31, 새조개는 6.16∼9.30, 소라는 6.1∼8.31(여수, 제주), 6.1∼9.30(울릉, 독 도), 코끼리조개는4.1∼7.31, 보라성게는8.1∼9.30(강원), 9.1∼10.31(경북), 북쪽말 똥성게는 9.1∼10.31(강원), 해삼은 7.1∼7.31, 톳은 10.1∼1.31, 감태류는 5.1∼

7.31, 1.1∼12.31(제주), 우뭇가사리는11.1∼4.30, 도박류는10.1∼4.30, 꽃게는 6.1

∼7.31, 7.1∼8.31(인천, 경기도, 충남), 참홍어는 4.1∼6.30, 열목어는 3.1∼3.20, 붉 은대게는7.10∼8.20, 털게는4.1∼5.31(강원), 백합은7.1∼8.20, 개다시마는 11.1∼

1.31, 넓미역은 9.1∼11.30(제주), 뜸부기는 8.1∼9.30로 규정되어 있다(수산자원보

호령 제11조).

3.3.3.3 어류체장의 제한

수산자원보호령 제12조에 의해 수산생물에 대한 체장129)을 제한, 금지하는

것으로 참돔 24cm, 황돔 15cm, 돌돔 24cm, 볼락 15cm, 농어 30cm, 쏘가리 18cm, 산천어 20cm, 붕장어 35cm, 자라 12cm, 대게 9cm, 털게 9cm(강원은 7cm), 닭새우 5cm, 문치가자미 15cm, 감성돔 20cm, 대구 30cm, 황복 20cm, 조 피볼락 23cm, 참다슬기·곳체다슬기·다슬기·주름다슬기·좀주름다슬기 1.5cm, 펄닭새우 104cm, 전복 7cm(제주는 10cm), 오분자기 3.5cm(제주는 4cm), 소라 5cm, 말조개 9cm, 재첩 1.5cm, 꽃게 6.4cm, 도루묵 10cm, 명태 27cm, 방어

129)어체 형태는 고등어,다랑어와 같은 방추형,도미류,쥐치,병어 등과 같은 측편형,가오리, 아귀 등과 같은 편평형,드렁허리 등과 같은 길다란 체형 등으로 많이 구분되어 진다.이런 여러 형태의 어류들의 어체 크기를 재고자 할 때,전장(TotalLength),표준체장(Standard Length),가랑이체장(FolkLength)또는 미차체장,피린체장,항문장,(두흉)갑장 등으로 구분지 어 측정한다.

30cm, 송어 12cm, 개서대 26cm, 참가자미 12cm, 넙치 21cm, 민어 33cm, 쥐노 래미 23cm, 참게·동남참게 5cm, 기수재첩 1.5cm, 대문어 300g, 백합 5cm, 북쪽 말똥성게 4cm로 되어 있다(수산자원보호령 제12조).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Halaman 12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