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불법조업의 실태
3.3.2 불법조업 관련 통계
아래 <Table 5>에서는 2006년에서 2011년까지의 최근 6년간 불법조업을 한
123)시사제주 홈페이지(http://www.sisajeju.com),2013년 5월 22일자.
중국 어선들을 단속한 해양경찰의 실적을 나타내고 있는 데, 여기에서 볼 때 해가 갈수록 우리 바다에서의 불법행위가 나아지기는커녕 오히려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의 불법행위는 2010년도에는 327건에서 2011년도에는 505건으로 약
1.5배 더 늘어났고, 담보금 부과액 또한 2010년에는 78억1,600만 원에서 2011년
도에는 145억8,600만 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2배로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단위: 척)
구분
나포 훈
방 조 치
N L L
영 해 침 범
EEZ 담보금
부과액 척 명 구속 (만원)
인원 계
무 허 가
제한 조건 위반 등
2011년 537 5,702 72 9 30 32 505 171 334 145억8,600 2010년 370 3,664 56 5 43 53 327 91 236 78억1,600 2009년 381 3,537 130 7 49 23 332 109 223 55억3,000 2008년 432 4,390 109 14 41 12 391 79 312 62억7,000 2007년 494 4,650 246 14 56 27 438 79 359 48억5,000 2006년 522 5,156 218 27 50 21 472 135 337 54억4,000
Table5.2006∼2011년까지의 불법조업 중국어선 단속 현황
(출처 :해양경찰청 경비안전국;노호래, 중국어선 불법조업 범죄의 특성 ,한국해양경 찰학회 제4회 학술세미나,2012.6,p.83)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불법조업 외국어선에 대해 해상공권력을 강화하고 집 중적이고 강력한 경비 및 단속체제를 이루어 엄중한 법적 제재와 함께 사전에 차단, 예방할 필요가 있다.
<Fig. 37>은 해양수산부에서 1999년부터 2012년도까지 해양수산부에서 실시한
불법조업 중국어선 나포단속 현황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Fig.37.해양수산부의 불법조업 중국어선 나포 현황(1999∼2012년)
위의 그림에서 2000년 8월 체결한 한·중 어업협정 이전 인 1999년에 80
척, 당해인 2000년은 62척이 나포되었는데, 이것은 2000년까지 매년 이와 같은
유사한 수의 불법조업 중국 어선들이 우리 영해에서 어로활동을 해 왔던 것으 로 판단한다.
그리고 2000년도에 나포된 62척에 비해 2001년은 174척으로 약 2.8배 증가하
였고, 2003년 240척으로 약 3.9배, 2004년 437척으로 약 7배, 2005년은 584척으
로 9.4배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가장 많은 불법조업 중국어선이 나포되었던
2005년을 기점으로 2010년도 370척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다시 2011년
534척으로 갑자기 전년도에 비해 약 1.4배 증가하였다.124)
해양수산부의 국가어업관리단과 해양경찰청이 해상집행기관으로서 최선의 노 력을 하고는 있지만, 중국어선의 불법세력이 줄어들지 않음이 못내 아쉬운 것 이 사실이다.
124)서해어업지도사무소,브리핑 자료 “우리 EEZ수역 중국어선 불법조업 단속강화”,2011.3.24 일자.
최근 해양수산부 산하 국가어업관리단의 국가어업지도선의 중국 어선에 대한 선박검색현황을 살펴보면, 2008년도에는 227척, 2009년 232척, 2010년 511척, 2011년 730척, 2012년 1,285척, 2013년 6월 964척이다.125) 매년 많은 수가 증가 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 <Fig. 38>은2008∼2013년 3월까지 해양수산부의 국가어업관리단과 해양
경찰청에서 나포한 불법조업 중국 어선에 대한 검거를 수치현황 그래프로 비교 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38.국가어업관리단과 해양경찰청의 나포 현황 비교(2008∼2013년 3월)
위의 그림에서 2011년도의 경우, 국가어업관리단은 191척, 해양경찰청은 343 척으로 총 534척의 불법조업 중국 어선을 나포하였다.126) 즉, 검거 비율이 국가 어업관리단이 약 36%, 해양경찰청이 약 64% 인 것이다.
125)동해어업지도사무소 어업지도과,내부자료,2013.6.
126)동해어업지도사무소 어업지도과,내부자료,2013.6.
한편, 불법조업 일본어선은 2004년 제주 부근 해역에서 6척이 검거된 이 후127), 지금까지 없다가 10년 만에 처음으로 동해어업관리단은 2013년 11월 14
일 오전 9시 50분 부산 영도 태종대로부터 남쪽으로 약 18해리 떨어진 해상에
서 EEZ를 침범해 조업하던 일본어선 1척을 나포했다고 밝혔다.
나포된 선박은 6.6tons급 소형 어선으로 78세의 어부 1명이 타고 있었고, 이 어선은 우리나라 EEZ를 0.3해리 침범해 조업하던 중 국가어업지도선 무궁화 6 호에 발각됐다. 하지만 국가어업지도선이 소형 단속정을 내려 나포하려 하자 해당 어선은 곧바로 달아났지만 20분 만에 붙잡아서 나포된 어선의 어부를 부 산 감만 부두로 압송해 불법 조업 경위를 조사하였다.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