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도시화 과정에서의 가족전략: 가족 구성원의 단계적 이주

1. 서 론

1.2. 문헌고찰

1.2.2. 도시화 과정에서의 가족적 대응과 세대관계

1.2.2.1. 도시화 과정에서의 가족전략: 가족 구성원의 단계적 이주

중국의 도시화 과정을 살펴보면 1980년대부터 1990년대 말까지는 미혼 자나 결혼 무자녀 성인이 인구이동의 주체였지만 2000년 이후에는 이동 인구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결혼한 자와 결혼 유자녀 성인들이 인구이동 의 주체가 되었다(楊菊華·何炤華, 2014). 그런데 중국의 도시와 농촌의 이원화된 경제구조와 사회보장제도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직계가족은 물 론이고 핵가족조차도 한 번에 함께 이주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약 80%의 이주자가 가족구성원과 분리한 형태로 이주하였고(國家統計局 農村社會經濟調查司, 2007) 이산된 가족은 가족구성원의 계단식 이주 전 략을 통해 도시에서 다시 가족결합을 이루고 있다. 대부분 이주가족은 가족 중의 1인(대부분 남성)이 먼저 탐색적으로 이주하게 한 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의 배우자, 아동, 노인 등 가족 구성원이 차례대로 도시로 이주시키는 ‘단계적 이주’ 전략을 취하였다(侯佳偉, 2009; 楊菊華·陳傳波, 2013).

가족의 단계적 이주 패턴은 이주자의 정착정도에 따라 1인 이주 단계 에서 부부이주 단계와 핵가족이주 단계를 경유하여 직계가족이주 단계로 발전하는 방식이다.8) 따라서 이주자들이 현주지에서 거주한 시간이 길어

8) 계단식 이주는 중국 이주자의 79.85%를 차지하는 농촌 출신 이주자들의 이주에서 나 타나는 전형적인 형태로서 특징 상 일찍이 도시화에 참여한 가족일수록(특히 1980년 대~1990년대), 개인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이와 같은 표준화된 방식에 더욱 가까운

짐에 따라 이주자들의 가족규모는 커진다. 2015년의 기준으로 이주자가 현거주지에서 거주한 시간이 3년 미만의 경우 평균 가족 규모는 2.29명 이고, 3년~4년일 경우에는 평균 가족규모가 2.70명으로 상승하였으며, 5 년 이상일 경우에는 평균 가족규모가 2.95명이었다. 최근에는 초기에 홀 몸으로 이주했던 많은 이주자들의 가족이 이와 같은 단계적 이주를 통해 가족 재결합을 이루면서 이주자의 가족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 주자의 평균 가족 규모는 2011년의 2.5인으로부터 2015년의 2.61명으로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노인의 이주를 통한 가족 재결합이 증가하여 2015 년에는 이주노인의 수가 이주자 총량의 7.2%를 차지하였는데 향후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中國國家人口與計劃生育委員會流動人口服務管 理司, 2016).

이처럼 가족단위의 이주를 크게 제약하는 도농 이원화된 사회구조 안 에서 중국의 가족은 부득이하게 계단식 이주 전략을 취하였고 계단식 이 주패턴에 따라 점차 가족 재결합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2015년에 이주자의 평균 가족 규모가 2.61명인만큼 아직은 3인 핵가족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단계에 처해 있다. 노인의 가족재 결합은 날로 증가되고 있지만 아직은 소수 조건이 구비된 가족에 한해서 시도되고 있을 뿐이기에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도시화 과정을 봤을 때 도 시화는 가족구조에 있어서 노인과 자녀세대의 분리를 강화하는 쪽으로 작용한 것을 보인다.

인구센서스 자료를 관찰해보면 이촌향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한 1990년에 비해 도시화가 상당히 진척된 2010년에는 성인자녀와 직계가 족을 이루어 사는 노인비중은 크게 감소한 한편 독거가족이나 핵가족(노 인부부로 구성된 핵가족과 노인부부와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에

이주방식을 취하고 늦게 도시화에 참여할수록(2000년대 이후), 개인의 교육수준이 높 을수록 여러 단계를 압축한 형태의 이주방식을 취한다. 최근에 올수록 일부 지역의 호구개혁과 이동아동의 공교육배제 완화 등 다양한 제도적 원인으로 계단식 이주의 여러 단계를 압축하여 이주를 진행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중국 이주자의 21.15%를 차지하는 도시 간 이주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도시 간 이주자의 의료보 장문제에 한해서만 소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 간 이주 중에 나타나는 가족변화에 대해서 파악하기 불가능한 상황이다.

서 생활하는 노인이 크게 증가하였다. 노인이 직계가족안에서 생활하는 비중은 1990년의 59.02%에서 2010년에는 49.85%로 감소되였고 노인이 독거하는 비중은 1990년의 9.88%로부터 2010년의 12.46%로 증가였으며, 노인이 핵가족에서 생활하는 비중은 1990년의 29.13%에서 2010년의 35.87%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2010년대에 이르러 과반수의 중국 노인 은 기혼자녀와 동거하지 않고 있다(王躍生, 2014:22)(<표 3> 참조).

구분 가족구조 1990 2000 2010

도시화 도시화율 26.41 36.22 47.50

가족구조

독거가족 9.88 9.61 12.46

핵가족 29.13 33.16 35.87

직계가족 59.02 56.06 49.85

확대가족 1.63 0.84 0.79

기타 0.34 0.33 1.03

합계 100 100 100

<표 3> 65세 이상 노인의 가족 구조(단위, %)

자료 출처: 인구 센서스 자료를 王躍生이 정리함, 王躍生, 2014(1):22.

도시화 과정에서의 가족구조 변화 특징에 있어서는 노인과 자녀의 세 대 간 분리 이외에 가족구조의 유연성, 가족형태의 다양성 특징이 나타 났으며 계단식 이주의 과정에서 중국의 가족은 가족 구성원이 이주 할 때 마다 가족 간의 역할 재분업을 통해 다른 가족 구성원이 그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기타 가까운 친족이 가족의 경계를 넘어 가족 안으로 유입 하여 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가족은 매우 신속하게 가족 구성원의 이탈 로 인한 가족기능의 빈자리를 보완하였다(呂青,2014). 도시화 과정에서 중국의 도시에서는 성인 부부 중의 1인이 구성한 가족(대부분 남성), 부 부로 구성된 핵가족,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 3세대 직계가족, 자 녀의 주거지 근처에 사는 노인 독거 가족과 노인 부부 가족, 자녀의 주 거지 근처에서 손자(녀)와 함께 사는 조손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가 형 성하였을 뿐더러 다른 한편 농촌에 남겨진 가족들 또한 더욱 다양한 구

조의 유수가족을 구성했다. 그 예로는 유수노인, 성인부부 중의 1인(대부 분 여성), 유수아동으로 구성된 3세대 유수가족; 부부 중의 1인(대부분 여성)과 유수아동으로 구성된 편부모 유수가족; 조부모(혹은 외조부모)와 유수아동으로 구성된 조손형 유수가족; 유수 노인으로 구성된 빈둥지 유 수가족; 유수 아동으로만 구성된 고아형 유수가족; 유수노인과 부부 중 의 1인으로 구성된 2세대 유수가족; 남성 형제가 도시로 진출하고 그들 의 배우자들로 구성된 동서형 유수가족 등 이다(唐鈞, 2008:98).

그러나 가족형태와 구조는 외형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가족구성원 들이 같은 공간에 머물지 않아도 서로 가족으로 인정하는 한 가족행위에 참여하거나 가족결정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도시화 시기의 중국 가족을 이해하는 데는 다변성을 가진 가족구조를 넘어서서 가족 간의 실질적인 지원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1.2.2.2. 이주 단계 별 가족기능의 공간적 배분과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