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노동의 재생산과 대량생산 주택

2.2 일상과 사회구조 : 국내 도시주거의 이념적 근거

2.2.1 산업 자본주의와 대량생산

2.2.1.2 노동의 재생산과 대량생산 주택

서구적 합리성과 생산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 그리고 산업혁명으로 인한 도시화의 접점 에는 노동자 계급의 주택문제가 자리한다. 산업사회에서 도시의 주요한 기능 중 하나 는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것이며, 노동력이 매일 신선하게 팔릴 수 있도록 재생산되기 위해서는 주택, 병원, 사회 서비스, 학교, 레저시설, 문화시설 등을 소비함에 의해 가 능하다.

이러한 소비활동은 단순히 생산물을 소비함으로써 끝나지 않으며 의식주 및 여가활동 과 관련된 각종 상품 및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소모된 노동력을 재충전해서 앞으로의 생산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43 이 중 주택은 대표적인 공공재(public goods) 혹은 집합적 소비재(collective consumption goods)의 성격을 띠면서 국가관 리와 도시계획의 대상이 되는 경향이 있다.44

주택문제는 자본주의와 함께 등장한 것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본질적인 문제로서 산업 화에 따라 도시에 공장들이 들어서고 노동자들이 농촌에서 도시로 몰려들면서 발생하 기 시작하는 도시화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오늘날의 공동주택과 같은 주거형식이 등장한 것도 바로 이 산업혁명 이후인데, 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급격하게 유입된 도 시 노동자로 인해 부족한 노동자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부유 지주들은 도시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라는 명목 하에 열악한 조건의 주택을 양산하기 시작한다.

당시 양산된 주택은 최소한의 통풍과 채광만을 고려한 것으로 도시근로자의 열악한 주 거환경이 사회적, 정치적 문제로 등장하게 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세기 말부터 주택건축에 근대주의적 사고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즉 당시 문제 시되고 있던 사회적 병리현상을 양질의 물리적 환경 조성을 통해 개선하고자 했던 근

43 앤디 메리필드 지음, 남청수 옮김, 매혹의 도시, 맑스주의를 만나다, 이후, 2005, p.273.

44 전상인, 아파트에 미치다, 이숲, 2009, p.122.

대건축운동의 이념과 맞물리게 되는데, 노동자들을 위한 공동주택의 대량생산을 필요 로 하였던 상황은 기능주의 건축의 아이디어들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높은 인구밀도와 주택부족으로 노동자들의 주거상태는 매우 열악하였고 문제해결의 대 안은 주택의 대량공급 뿐이었기 때문에, 산업혁명기의 주택은 집합화와 대량생산을 그 특징으로 한다. 급격한 도시화와 주택부족으로 인해 주택의 집합화현상은 필연적이었 으며 주택이 일반적인 상품처럼 대량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따라서 일터와 가정이 분리되면서, 휴식과 가족의 단란에 관련된 부분을 수용해 주어 야 하는 주거공간조차도 근대주의에서 비롯된 합리주의 원칙에 따라 기능성과 효율성 을 우선으로 하면서 각 공간의 계획과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근대 아방가르드 건축 가들은 건축으로 세상의 변혁을 이루고자 하였으나,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심각한 주 택문제는 동질적이고 계량적인 즉 소위 과학적인 공간계획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사 람들은 기계적이고 획일적인 주거공간을 체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주거형태의 변화 속에는 무엇보다 산업혁명의 이념적 토대인 서구의 근대적 합 리성의 개념이 자리 잡고 있는데, 앞서 논의한 테일러리즘과 포드주의 같은 미국의 산 업적 시대상황은 합리성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내며 건축에서는 유럽의 르 코르 뷔지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르 코르뷔지에는 생산력의 시대에 걸맞게 자동차 부품의 개념을 건축에 적용하였으며, 헨리 포드가 작업 과정의 일원화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한 것처럼, 1차 대전 이후에 대량 생산 주택(mass-production houses)으로 유럽에 만연한 주택 부족 현상을 해 결하고자 하였다. 고전적 규범의 올바른 사용이 합리적이라고 보던 사고에서, 과학적 인 사고가 합리적이라는 사고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20세기 초 근대건축운동의 기계론적 사고에 의하면 도시는 개개의 건 축이 모여서 형성된 하나의 거대한 집합일 뿐이다. 즉 기계론적 이론에 의하면 전체는 각 부분의 단순 합으로서 의미를 갖고 있을 뿐 서로에 대해서는 자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들은 분해되고 합쳐지며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각각의 기능에 대 해서만 충실하게 작동하면 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산업혁명이후 기계론적 사고에 의해서 제안된 공동주택들은 그 구성방식에 있

[그림 2-1] 르 코르뷔지에의 Dream for Paris (위)와 뉴욕의 스튀베상 타운에 실현된 디자인 (아래)

어서 다양한 계획적 시도와 풍부한 장소성의 추구보다는, 효율성과 보편성, 평등주의, 기능중심 구성 등 대량생산의 기본 원리들을 우선시하면서 각각의 개별계획요소의 자 체완결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도시를 기계에 비유하며 자체적으로 완결된 형태로서 도시를 바라보는 기계론적 이념 의 선상에서, 20세기 주거환경의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 르 코르뷔지에는 기능화 되고 산업화된 사회에 부응하는 주거개념으로 ‘녹지 위의 고층 주거’(tower in the

park)를 제시한다. 위계질서에 의 해서 형성되는 부분과 전체의 관계 내에서 모든 인간은 기계화된 시대 에 같은 욕구를 갖고 있는 하나의 개체에 불과했으며, 개인의 만족은 전체 사회의 만족과 같은 것으로 고려되었다. 따라서 기계화시대에 적합한 인간의 기본 욕구를 해결해 주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고밀의 주거공간은 ‘살기위한 기계’에 지나지 않았다.45

주택을 살기위한 기계로 파악하게 되면 취향과 라이프스타일 등의 고 려는 기능과 생산방식에 대한 문제 로 대체된다. 또한 대량생산을 가 능하게 하는 기술과 합리적 정신을 지닌 인간을 일치시킴으로서 거주 자의 구체적이고 다채로운 생활은 합리화라는 미명 하에 표준화된다.

주거에 대한 이와 같은 개념은 도 미노 주택과 그 실제 모델로서 시 트로앙 주택을 통해 개체화된 주거유형으로 완성되었고, 1922년 ‘삼백만인을 위한 45 J. Raban은 지배적인 합리적 계획([그림 2-1] 참조)에 대항하며, (많은 사회학자들이 가정하 듯) 도시민이 산술적 합리성에 굴복할 수밖에 없는 인물들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Harvey, David,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Blackwell : Oxford UK, 1989, 구동회·박영민 옮김,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pp.19-21.

도시’를 통해 집단을 위한 주거환경모델로 제시되었다. ‘삼백만인을 위한 도시’에 서도 시설의 공동화와 집합화가 강조되었지만, 역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단위 주택으로 시트로앙 주택의 공간구성과 유사하였다. 또한 그 기본 개념은 모든 시설을 공유하는 공동주택이 아니라 가족생활의 독립성이 보장되고 동시에 외부에는 충분한 운동시설이 있는 집합주택으로 당시 급진적인 사회주의자들에게는 소극적인 주거개념 으로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개인공간을 강조하며 이를 집합화한 도시주택 개념은 르 코르뷔지에 뿐만 아니 라 그로피우스를 위시하여 근대건축 국제회의를 주도한 건축가들이 공통적으로 가졌던 개념이다. 나아가 일자형 아파트는 근대건축운동을 주도하던 건축가들에게 가장 합리 적인 주거유형으로서, 근대건축 국제회의의 강령 즉 ‘합리화와 표준화’에 가장 잘 부합되는 것이었고, 기계화 사회의 생산논리를 대변하는 것이었다.46

이와 같이 근대 기계시대 이데올로기에 의한 기계적 단순성과 합리성, 경제성과 대량 생산의 용이성 등 생산 차원에서의 자본의 논리는 도시와 주택에 도입되며, 결국 고립 된 건축과 파편화되고 단절된 도시를 낳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근대적 도시와 건축 이념은 기능 제일주의로 변질되면서 도시건축을 인간과 분리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며 진정한 의미의 일상은 배제되어 왔다.

근대적 산업사회 대량생산 주택은 국내 도시주거의 발전과정에서 생산의 차원과 밀접 히 관련을 맺으며, 기능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획일적 공간모델의 대량생산이라는 생산 방식 뿐만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개인화, 핵가족화 및 가족주의 등의 사회적 관념까 지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