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앞선 현대 공화주의 연구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2015 『윤리와 사 상』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공화주의 관련 교과서 집필 기준의 예시 를 제안하고자 한다. ‘① 시민적 자유와 권리의 근거’ 관련 집필 기준에서는 자유주의적 자유와 공화주의적 자유의 의미를 각각 비교․설명하고, 각각에서

바라보는 권리의 근거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② 공동체와 공동선 및 시민 적 덕성’에서는 본격적으로 공화주의 사상에 대해 소개하고, 본 연구에서 다룬 자유, 덕성, 준법, 우정의 핵심 규범 가치에 관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집필 기 준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교과서 집필 기준 예시는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개인의 권리와 의무, 자유의 의미와 정치 참여에 대한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입장을 비교하여,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와 같은 해당 단원의 성취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서술될 것이다.

영역 내용 요소 하위 내용 요소 집필 기준

사회사상

개인과 공동 체의 조화 (예시)

시민적 자유와 권리 의 근거(예시)

- ‘시민적 자유의 의미’를 기술한다.

- 자유주의적 자유는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로 나 누어지는데, 각각의 자유를 지나치게 추구할 경우 각 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화주의 자유의 개념이 등장하였음을 부각한다.

- 현대 공화주의의 유력한 자유 개념인 ‘비지배로서의 자유’와 ‘자치로서의 자유 개념’을 각각 형평성 있게 기술한다.

- ‘권리의 근거’를 기술하면서, 자유주의는 천부인권 사 상에 따라 권리를 부여하는 반면, 공화주의는 정치 ․도덕적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에 게만 시민으로서의 자격과 권리를 부여한다는 점을 부각하여 서술한다.

공동체와 공동선 및 시민적 덕성(예시)

- ‘공동선과 시민적 덕성’을 기술하면서, ‘로마 전통의 공화주의’와 ‘아테네 전통의 공화주의’가 강조하는 덕 성의 개념이 서로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두 전통 모두 ‘공화’ 달성을 위한 시민들의 적극적 노 력의 자세를 시민적 덕성으로 이해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에 유의하여 서술한다.

- ‘공화주의 준법정신’을 기술하면서, 준법정신은 ‘시민 적 교양’과 같은 ‘규범정신’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실 천함으로써 함양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서술한 다.

- ‘공화주의와 시민적 우정’을 기술하면서, 공화주의의 우정의 개념이 단순한 사적 이익을 기반으로 하는 우 정이 아니라,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의 조화를 고려하 는 우정임을 부각하여 서술한다.

표10. 2015 『윤리와 사상』교과서에서 공화주의 관련 집필 기준의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