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는 근대 영국의 공화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근대 영국의 공화주의는 미국의 독립과 건국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Pocock, 2011: 360-412). 이러한 점에서 근대 영국의 공화주의자들이 마키아벨리의 공 화주의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으며, 또한 현대 로마 전통 공화주의의 탄생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국의 대표적 공화주의자는 17세기에 활동했던 니담(M. Nedham)과 해링 턴(J. Harrington)19)을 들 수 있다. 시민의 능력에 회의적이었던 해링턴과 달 리, 니담의 공화주의는 정부에 대한 시민의 참여를 존중하고, 공화국의 전형적 인 특징인 통치자와 시민간의 논쟁을 기꺼이 수용한다(Sullivan, 2004 : 115).

니담은 시민의 참여에서 한발 더 나아가 공직자들이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잘 보장하지 못할 경우, 시민들이 공직자를 고발할 수 있으며 그들의 배은망덕함 을 처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시민들은 그들이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 정치 적 영역에서의 소란함을 감수한다. 이것은 일정 부분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 철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정치적 영역의 소란은 오히려 국가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고 보는 관점에 근거한 것이다.

19) 니담(1620–1678)은 영국 내전 기간에 활동했던 공화주의 연구가이다. 해링턴(1611- 1677)은 영국의 정치사상가로서, 오늘날의 권력분립주의의 원형이 되었으며, 미국의 정치제도에 커다 란 영향을 끼친 저서『오세아나 공화국』을 출판하여 공화주의를 주장하였다.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 니담의 공화주의 소란에 대한

관점

귀족의 탐욕을 막는 수단으로 소 란을 인정함

공직자를 감시하는 수단으로 소 란을 인정함

시민의 정치 참여

공화국의 군사적 힘의 증진에 봉 사하기 위해 참여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 단으로서 참여

이렇게 니담은 정부를 감시하는 시민의 열정적 참여를 옹호하였지만, 이러 한 참여를 마키아벨리가 주장한 것처럼 공화국에 봉사하는 것이라기보다, 시 민 개인의 권리의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본다는 점에서 마키아벨리의 공화주 의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니담에게 있어 국가의 역할은 아리스토텔레 스가 주장한 것과 같은 시민들의 품성의 증진이라는 관점보다는, 시민들의 안 전과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는 점에서 자유주의적 개념에 가 까운 것이었다(Sullivan, 2004 : 115). 니담은 정부 조직의 세밀한 부분이나 헌 정적 장치들에 관심을 보이기보다는, 정부가 시민에게 정통 교리를 강요함으 로써 종교적 자유를 침해하는 등의 일을 저지르지 않도록 정부에 대한 철저한 감시가 더욱 중요하다고 보았다(김민철, 2014: 54-55).

표2. 마키아벨리와 니담의 공화주의 비교

니담은 자유를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책으로서 이해하였다. 즉 제국을 유지하기 위한 병사로서 시민을 대하는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와는 차별화되 는 부분이다. 시민이 정부의 정책에 대해 정당하게 참여하는 것은 마키아벨리 가 생각하는 전쟁에의 참여와는 차원이 다른 성격의 것이다. 니담에게 시민의 왕성한 참여는 바로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지키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참여 의 보장이 곧 자유의 실현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시민의 능력을 신뢰하지 못하고 오직 욕망을 추구하는 존재로 바라보는 마키아벨리의 생각과는 달리, 니담은 시민은 자신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고 그것을 확보하려고 많은 노력 을 기울였다(Sullivan, 2004 : 130-132).

니담이 정치적 소란을 적극적으로 옹호한 것과는 다르게, 해링턴은 시민들 이 열정적인 감시로 공직자를 고발하는 등의 정치적 소란을 부정적으로 보았 다. 대신에 해링턴은 이러한 소란을 보다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에 관 심을 기울였으며, 각 집단의 이익을 균형을 맞춤으로써 갈등의 요소를 발생시 키지 않을 제도의 수립에 온 힘을 기울였다. 해링턴은 공직을 맡은 사람은 항 상 부패하고, 자신의 사익을 추구하기 마련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인간에 게 덕성을 요구하기 보다는 좋은 법과 제도를 만들어서 국가를 통치해야 한다 고 보았다. 즉, ‘훌륭한 인간’을 찾는 것보다는 ‘훌륭한 법’을 만들고, 개인의 이기심을 제어할 수 있는 헌정 구조를 정비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주장하였다 (김민철, 2014: 40).

물론, 덕성을 요구하지 않고 법에 의존하는 해링턴에게서 고대적 요소를 찾 아보기 힘든 것은 아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공동체적 요소를 존중하였 으며, 고대 그리스의 정치적 지혜(ancient prudence)를 동경하였다(Sullivan, 2004: 146-148). 그러나 그는 법에 의존해서 정부를 건설하려고 노력했다는 점 에서 개인의 도덕적 덕목의 필요를 강조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결별하게 된다 (Sullivan, 2004: 148). 해링턴은 국가 안의 구성원으로서 각 집단들이 자신들 의 사적인 이익(self-interest)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국 가의 안위를 해칠 수 있다고 보았다. 각 집단의 사적이익이 안정적으로 보장 되어야 정부도 안정될 수 있다는 그의 믿음은 시민들의 덕에 의존하지 않고, 국가의 법과 제도를 정확하게 제정하는 일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로 나아갔다.

사실 이러한 면에서 해링턴은 마키아벨리와 생각을 같이 하는데, 그는 정부의 사안에 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민중들의 능력에 회의적이며, 니담이 주장하 는 민중들의 역량을 활성화시키는 것에는 부정적이다(Sullivan, 2004 : 169-173).

개인의 덕성을 강조하던 당시의 공화주의자인 밀턴, 베인, 시드니와 달리, 해링턴은 인간이 ‘이익’에 따라 움직인다는 관점을 취하면서도 체제를 잘 설계 하면 개인들 간의 상충하는 이익을 잘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김민철, 2014: 41). 정의론의 대가인 롤즈가 자신의 완전 절차적 정의(perfect

마키아벨리 니담 해링턴 시민의 능력에

대한 관점

시민의 능력에 회의 적 관점을 지님

시민의 능력에 긍정 적 관점을 지님

시민의 능력에 회의 적 관점을 지님 시민의

정치 참여 정치 참여 강조 정치 참여 강조 정치 참여보다는 법 과 제도를 강조 소란에

대한 관점 소란의 필요성 강조 소란의 필요성 강조 소란보다는 평화로운 방식을 선호함

procedural justice)의 사례로 들었던 해링턴의 케이크 자르기 일화는 그의 공 화주의가 시민들의 덕에 의존하지 않고, 법과 제도에 의존했음을 보여준다. 해 링턴은 두 명의 소녀들이 케이크를 공정하게 먹기 위한 가장 정의로운 방식은 한 소녀가 케이크를 자르고, 다른 소녀가 잘라진 케이크 중에서 자신이 먹을 케이크를 먼저 선택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처음 케이크를 잘 라야 하는 소녀 입장에서 나중에 본인에게 적은 케이크가 돌아오지 않게 하려 면, 애초에 케이크를 공정하게 잘라야 하기 때문이다.

해링턴은 이러한 케이크 자르는 방식을 공화주의에 그대로 적용하였다. 상 원(senate)이 법안을 발의하고, 하원(assembly)은 투표로 법안 통과 여부를 결 정한다. 상원과 하원은 공화국 시민의 두 계급 중 한쪽의 이익을 대변할 것이 므로, 각 집단의 이익의 균형이 자연스럽게 맞추어 질 것이라는 것이 해링턴 의 생각이다. 케이크를 먹는 데 있어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공평하게 자르듯 이, 상원은 공화국의 법을 최대한 공정하게 하원이나 시민들에게 제안할 것이 다. 분명 이러한 해링턴의 공화주의 구상은 법이나 제도를 통한 구조적 해결 을 지향하는 것이지, 시민이 지녀야 할 특정한 덕목의 요구는 필요로 하지 않 는다.

표3. 마키아벨리, 니담, 해링턴의 공화주의 비교

이상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르네상스 시대와 전근대 유럽의 공화주의의 특 징을 정리할 수 있다. 이탈리아의 전근대 공화주의를 대표하는 마키아벨리는 다른 국가와의 경쟁의 관계에서 공화국을 바라보았다는 점, 특히 공화국의 귀 족과 시민들이 지닌 욕망을 기술적으로 잘 다루는 데 있어 공화주의의 여러 제도들을 수단적으로 이용했다는 점이 그의 공화주의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영국의 공화주의자인 니담은 이러한 마키아벨리의 호전적 공화주 의를 부정하면서, 한편으로는 마키아벨리가 강조한 소란의 일종인, 시민들의 자체적인 고발정신과 같은 공직자를 감시할 수 있는 능력에 많은 의미를 부여 하면서 자유주의적 공화주의 사상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니담이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민의 역량에 회의적인 생각을 가진 해링턴은 시민의 역량과 덕목 에 의존하는 공화주의보다는 국가의 평화와 균형을 위해 좋은 법과 제도를 만 들어 내는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마키아벨리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영국의 공화주의는 전근대 에 이르러 점차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정부 감시 능력, 즉 시 민의 견제력을 강조하는 진영과 시민의 역량과는 독립적인 법과 제도에 기반 한 헌법적 공화주의를 강조하는 진영이 나타나면서 점차 현대의 로마 전통 공 화주의의 인식론적 토대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17세기 영국 공화주 의의 특징은 그리스 아테네 공화주의에서 강조하는 자치로서의 시민적 덕목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등 고대적 요소의 정당성을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는 점에서, 오히려 현대의 자유주의 시대에 들어오면서 현대 아테네 전통 공 화주의와의 대립적 갈등을 유발하는 요소를 제공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