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듀이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영향을 다루면서 립먼의 교실공동체 역시 듀이의 그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원들의 대화로 구성된다고 했다. 그들은 교실에서 탐구와 추론, 사 고를 통해서 공동체 과정에 참여하고 결과적으로 교실공동체를 형성한다. 듀이에게서 공 동체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으로서 간주되었고, 거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대화와 의사소 통이었는데, 이는 립먼에게서도 강조된 것이다. 이러한 유사성은 립먼이 듀이의 도덕교육 의 사회적 측면을 도덕교육 차원에서 소화한 결과이다. 이 절에서는 립먼의 교실공동체가 어떻게 어느 정도로 듀이의 거대공동체 이념을 수용하고 있는지 조금 더 자세하게 짚어 보고자 한다.
교실을 공동체로 전환시키자는 립먼의 발상은 탐구의 장으로서 교실공동체를 고려하 고 있다. 이러한 탐구로서의 민주주의 개념은 듀이가 지지한 지성에 의한 참여 민주주의 를 반영한 것이라고 립먼은 분명히 밝히고 있다.228) 립먼은 탐구로서의 공동체를 약칭하 여 탐구공동체(the community of inquiry)라고 명명한다. 이는 탐구 절차에 기초한 공동 체로서, 학생들이 환경과 상호작용한 결과 획득한 환경이다. 여기서 학생들은 공동체 절 차를 내면화하고, 편견을 배제하고, 상호존중하며 추론과 변증법적 대화를 통해 공동체를 만들어간다. 듀이에게 공동체를 형성하는 필수불가결한 요건이 의사소통과 대화라고 했는 데, 기본적으로 립먼의 공동체 역시 이 요건들을 동일하게 충족하고 있다. 다만 차이라면 보다 더 세련된 사고기술과 질문 및 대화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듀이 의 공동체와 립먼의 공동체는 통약가능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립먼의 탐구공동체는 듀이와 같이, 그보다 더 전에는 퍼어스와 같이 탐구공동체 개념을 공유하고 있다. 퍼어스 는 논리에 의한 공동체 결속을 강조한다. 그에 따르면, 논리는 우리의 관심을 결속시키고
227) Matthew Lipman, Ann M Sharp, Frederick S Oscanyan, op. cit., p. 15.
228) Matthew Lipman(1991a), op. cit., p. 252.
전체 공동체 사람들을 포용하는 것으로, 우리는 논리에 의해 공동체에 묶이게 된다.229) 퍼어스에게 탐구란 의심을 통해서 믿음을 고정시키는 것인데, 우리가 우리자신을 은둔자 로 만들지 않는다면, 서로의 견해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끼칠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문제 는 단지 개인뿐만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믿음을 고정시키느냐 하는 것인데, 퍼어 스에게는 알려진 것과 관찰된 사실에서 출발하여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나아가는 과학적 탐구 방법을 취한다.230)
퍼어스의 탐구와 공동체 개념과 립먼의 탐구공동체 개념 사이의 유사성을 부정할 수 없다.231) 립먼 역시 퍼어스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탐구공동체라는 표현이 처음에는 과 학적 탐구의 실천가들 사이의 공동체로서 제시되었다가 점차 그 범위가 확대된 것으로 본다.232) 그러나 낱말의 외현적 유사성이 아니라, 실제적인 언어 쓰임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의 유사성에 따르면, 립먼의 탐구공동체는 의사소통과 대화에 토대를 둔 이른바 듀이 의 ‘거대공동체’에서 그 유사성을 찾아야 한다. 왜냐하면 립먼은 보다 분명한 문제의식으 로 듀이를 인용하고, 그 문제의식을 의식적으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듀이는 퍼어스가 진행한 탐구자들의 공동체를 보다 확대된 공동체에서 적용하고자 했 다. 거대 사회는 민주적인 방식으로 거대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듀이의 문제의식을 립먼 은 그대로 취하였다. 특히, 립먼은 거대공동체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건인 탐구와 자유 로운 의사소통을 어린이철학의 탐구공동체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학교 구성원들을 민주 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개별 교실을 재구조화하여 그들로 하여금 참여민주주 의의 시민성을 갖추게 해야 할 것이다.
229) Ibid. pp. 257-258.
230) 퍼어스는 믿음을 고정시키는 기존의 방법들, 고집의 방법, 권위의 방법, 선험적 방법에는 과학적 탐구에 없는 독특한 편리성이 없지 않다고 인정한다. 가령 고집의 방법은 빠르게 마음을 정하고, 우유부단함이 없이 견지하는 장점은 있지만, 문제는 과학적 탐구만큼 기지 의 것에서 미지의 것으로 나아가며 믿음을 정착시키는 데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Charles Sanders Peirce, “The Fixation of Belief,” 김동식·이유선 옮김, 「믿음의 고정」, 제임스 훕스 엮음, 『퍼스의 기호학』, 경기: ㈜나남, 2010, 262-275쪽.
231) 파르달즈와 지로드는 립먼의 탐구공동체의 기원을 단순히 퍼어스에게서 찾는 것이 아니 라, 교실구조를 탐구공동체로 변경시킨 그 지점에서도 퍼어스와 연결지우고 있다. 그들은 탐구공동체에서 구성원들이 대화로서 참여하고 공통된 관심을 구성하며, 탐구공동체 담론을 내 면화하는 유사성을 지목하며 퍼어스의 과학적 탐구공동체를 모방한 것이라고 한다. Michael. J.
Pardales & Mark Girod, “Community of Inquiry: Its Past and Present futur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Vol. 38, No.3, June 2006, p. 306.
232) Matthew Lipman(2003), op. cit., p. 20.
듀이는 교실에서의 협동을 주창하는 많은 이들이 보지 못한 것을 보았다. 즉, 교실 공동체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교실은 탐구공동체로 전환되어야 한다. 탐구공동체는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며, 탐구적인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공동체 내에 불만이나 오해 가 일어날 경우, 그것들은 문제상황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고, 그 밖의 문제 내용이 그러하듯 실험적으로 합리적으로 처리되어야 할 것이다. 요컨대 듀이에게 교실은 거 대공동체의 축소판이며, 우리가 그러한 거대공동체를 가질 수 있다면, 그것은 분명 처음에는 교실이라는 축소판일 것이다. 오늘날의 학교가 미래의 사회를 만들 것이 다.233)
립먼은 듀이의 통찰을 통해 협동을 통해 교실공동체를 탐구와 협력의 공동체로 전환 할 수 있었다. 립먼의 탐구공동체는 문제상황 속에서 그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과 결과 로서 얻어진 것이다. 이 탐구공동체는 두 가지 점에서 특기할만하다. 하나는 그것이 ‘공동 체’라는 점에서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또한 ‘탐구적 절차’라는 접근을 갖 고 때문에 방법론적 일관성을 견지할 수 있고, 인식론적 차원에서도 합당성의 이념을 충 족할 수 있다.234) 흥미롭게도 립먼은 탐구공동체를 설명하면서 듀이의 『공중과 그 문 제』를 직접 인용하면서 공동체 그 자체만으로는, 혹은 협동을 강조한다고 해서 그 자체 로 탐구공동체가 될 수 없다고 분명히 지적한다. 협력만 한다고 탐구공동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탐구’라는 협력을 거칠 때에만 탐구공동체가 된다는 립먼의 문제의식은 실은『공중과 그 문제』에서의 거대 공동체의 탐구와 의사소통 논의와 맞닿아 있는 부분 이다. 게다가 퍼어스와 다른 점은 립먼의 탐구공동체는 과학적 탐구뿐만 아니라, 교실 대 화와 같은 다른 형식도 허용한다는 것인데, 이는 듀이의 거대공동체의 정신과 일치하는 지점이다.235)
이상으로 듀이의 철학이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에 수용된 지점을 몇 군데 확인해 보 았다. 가장 분명한 지점 중 하나는 듀이의 반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가 립먼의 고차적 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이는 비판적 사고와 창조적 사고로 수렴되었다는 점이 다. 립먼의 철학 페다고지가 사고 교육에 다름 아니라는 것을 염두에 두면, 어린이철학의
‘사고’에 대한 듀이 철학의 영향은 지대한 것이다. 다음으로 듀이 철학이 어린이철학 도덕 교육에 수용된 부분은, 립먼의 윤리적 탐구 및 도덕교육에 대한 듀이 철학의 영향의 결과
233) Matthew Lipman(1991a), op. cit., p. 258.
234) Matthew Lipman(1991b), “Can Education Counter Chaos?” in Children in Chaos : A
“Philosophy for Children” Experience, edited by Leonard Harris, Dubuque,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p. xx.
235) Matthew Lipman(1991a), op. cit., p. 258.
인데, 듀이는 경험의 성장으로서 도덕교육을 강조하고, 탐구로서의 윤리학을 제시했지만, 이 모두는 사고 차원에서 재진술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연한 귀결로 보인다. 요컨대 윤 리적 탐구에서 합당성이 강조되고, 어린이철학의 탐구공동체 안에 듀이의 거대공동체 이 념이 남아있는 것이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에서 듀이 철학이 수용된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