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듀이의 공리주의 비판
듀이는 철학을 할 때 헤겔 철학, 특히 그의 변증법적 사고에 이끌려 시작했다. 존스 홉킨스 대학원 시절 모리스 교수는 헤겔 철학으로 동시대의 생물학적 진화론과 양립 가 능한 지점을 찾으려고 했다. 듀이는 모리스 교수의 영향 아래에서 문화와 과학을 논한 헤 겔의 사회철학에 관심을 가졌고, 과학의 성과를 사회 발전에 이용할 실마리를 헤겔에게서 찾고자 했다. 듀이는 같은 대학원의 심리학자 스탠리 홀과 함께, 모리스 교수의 사상을 종합하며 15년을 보냈고, 그 때 통합의 방법으로서 찾은 것이 ‘심리학의 객관적 방법’이었 다. 그러나 듀이는 이 방법을 윤리학에 적용할 경우, 헤겔의 최고선의 실재와 삶의 이상 을 실현하기 위한 과학적 방법 사이에 모순이 일어날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 때 방법 의 전환을 도운 것이 제임스의 심리학이었다. 제임스는 가치란 실재에 본래부터 있는 것 이 아니라, 인간이 환경과 교섭하는 가운데, 즉 경험에서 생기는 것이라고 보았다. 듀이는 제임스의 견해를 받아들였는데, 이는 헤겔의 관념론으로부터의 이탈이자, 자연주의적 경 험론으로의 전향을 의미했다.96)
이렇게 듀이 윤리학에서 가치는 자연주의 윤리학이 시사하듯 인식 주관에 독립한 초 월적인 실재일 수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가치가 우리의 욕구와 감정에 의해서만 생 겨나는 것도 아니다. 듀이에게 가치는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곧 경험 속에서 생긴 다.97)
96) 김태길, 『존 듀이의 社會哲學』, 서울: 명문당, 1990, 4-52쪽.
경험에 기초한 듀이 윤리학은 기존의 윤리학이 도덕 행위 주체에게 적절한 지침을 주 지 못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그에 따르면 윤리학의 역사는 도덕적 문제상황 중 특정 하나의 것만 추상하고 이를 배타적인 가치로 삼아 온 역사이다. 듀이 윤리학의 요체를 하 나로 말하기는 쉽지 않지만, 우선 기존 윤리학에 대한 듀이의 비판을 통하여 그 윤리학의 대강을 그리면서 추정할 수 있다.98) 엄밀하게 말하면 듀이 윤리학은 하나가 아니다. 왜냐 하면 그의 윤리학은 관념론적 경향을 보이는 전기 윤리학에서 시작하여, 1894-1903년의 전이기를 거친 뒤, 1908년에 이르러서야 프래그머티즘에 충실한 도덕과학, 터프츠와 공저 한 『윤리학』이 나타나기 때문이다.99) 그럼에도 우리는 1891년에 출간된 『비판 윤리 이론 개요(이하 『개요』로 명기)에서 논의를 시작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 『개요』에는 공리주의와 칸트주의 윤리학에 대한 비판이 비교적 자세하게 제시되고 있고, 비록 관념론 적 사유의 흔적이 묻어 있지만 기존 윤리학과 변별되는 듀이의 윤리학적 문제의식을 확 인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듀이는 ‘성공’으로 표현할 만큼 윌리엄 제임스에게 그 책의 존 재 의의를 인정받았다고 확언하고 있기 때문이다.100) 우리는 『개요』를 중심으로 ‘선’에 관한 공리주의와 칸트주의 윤리학의 논의에 대한 듀이의 기술과 평가를 일별하면서 전통 윤리학에 대한 듀이 윤리학의 기본적 입장을 확인할 것이다.101) 그 뒤에 『윤리학』,
『철학의 재건』 및 『확실성에 대한 탐구』에서 듀이 윤리학의 몇 가지 핵심 내용을 살
97) 듀이는 무어와 마찬가지로 가치란 정의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하지만, 그 가치가 실재적이 라고 간주하지는 않는다. 듀이의 윤리설은 자연주의 윤리설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무어 (Moore)보다도 페리(Perry)에 가깝지만, 듀이는 페리의 윤리와도 차이가 난다. 왜냐하면 페 리는 관심과 욕구에서 가치의 존재 근거를 찾기 때문이다. 김태길, 『윤리학』, 서울: 박영 사, 1989, 201-204쪽.
98) 정해창, op. cit., 173쪽.
99) 듀이가 관념론과 완전히 결별한 것이 어느 시기인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그의 딸 제인 듀 이는 아버지 듀이가 1903년에 관념론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하지만, 웰치먼은 그보다 조 금 이른 1901년에 이전의 관념론적 형이상학을 벗어났다고 한다. 이를테면 1896년에 쓴 듀 이의 「심리학의 반사궁 개념」(The reflex arc concept in psychology)의 경우에서는 초기 관념론과 모순된 입장을 보였고, 1901년에 이르러서야 처음으로, 출판 형태는 1902년에 마 음에 대한 기능주의 설명을 제시하며 관념론적 형이상학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을 가한다.
이를 이유로 웰치먼은 1901년 설을 제시하는 데 필자는 이 입장을 취할 것이다. Jennifer Welchman, Dewey’s Ethical Thought,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pp. 129-135.
100) Neil Coughlan, Young John Dewey,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3, p. 83.
101) 듀이의 『윤리학』에서도 공리주의와 칸트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있지만, 그 자세함 에 있어서는 전기 듀이의 『비판 윤리 이론 개요』만 못하다.
피며 자연주의 윤리학으로서 듀이 윤리학의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듀이는 공리주의를 비판할 때는 칸트주의자, 이를테면 토마스 힐 그린의 시각에 공명 하며 공리주의를 비판하고, 칸트주의를 비판할 때는 공리주의의 자연주의적 입장에서 그 일면을 지적한다. 공리주의는 선(the good)을 바람직한 것이자 쾌락으로 간주하는데, 대상 에 대한 욕구는 그 대상이 야기할 수 있는 쾌락에 대한 욕구를 의미하는 것이다(EW3:
251). 듀이는 공리주의가 많은 한계를 갖고 있지만 도덕적 선은 다른 모든 선이 그렇듯이, 인간성이 가지고 있는 힘의 만족, 다시 말해 안녕·행복에 있다는 사실을 밝힌 데서 공이 있다고 하였다. 이를테면, 벤담은 그 사상이 거칠었지만 도덕 문제에 적용되는 지성이 순 수 지성일 수 없고, 양심 역시 불행을 구제하고 행복을 증진시킨다고 보는데서 불멸의 공 이 있다고 하였다(MW14: 147).
그러나 듀이는 공리주의 심리학이 만족과 쾌락을 말하지만 그것은 만족을 주는 대상 에 대한 의식을 논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공리주의자들은 욕구 목적 이 의식 밖의 것이 아니라 의식 그 자체의 조건이라고 본 데서는 옳지만102), 의식에서 활 동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욕구의 참된 대상이 활동 그 자체라는 것을 간과한 것은 문제였 다(EW3: 253). 또한 공리주의는 선을 자연적 차원에서 발견한 데 의의가 있지만, 만족된 삶이 단순히 쾌락 감정에 지나지 않을 때, 그것은 삶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만족까지 파 괴하다는 점에서도 한계를 갖는다(EW3: 260). 듀이는 쾌락을 얻는 것과 만족함을 구분함 으로써103), 인간을 쾌고의 자극에 의해 조건 지워진 존재가 아니라, 그 자체로 활동하는 유기체로서 간주한 것이다.
한편으로 듀이에 따르면 공리주의의 또 다른 문제는 그것이 고정되고 최종적인 목적 이라는 관념을 전제한 데에 결정적 한계가 있다(MW12: 183). 공리주의는 분명 우리에게 사회 복지라는 관념을 친숙하게 만들어 준 데는 의의가 있지만, 그 도달해야 할 목적이
102) 욕구 목적이 의식 그 자체의 조건이라는 표현이 보여주듯 1891년의 듀이의 『개요』에는 관념론적 어휘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다만 『개요』에서는 과거 듀이가 숙고하던 마음에 대한 절대적 관념론적 이론이 전변하여 ‘자아실현’의 윤리로 나타나고 있다. 듀이의 자아론, 특히 도덕적 자아 문제는 후기 듀이 윤리학에서도 이어진다. 이에 대한 좀더 자세 한 논의는 본문 60쪽, ‘(3) 자연주의 윤리학’ 참조.
103) 『개요』의 다음과 같은 구분은 공리주의에서 벗어나는 듀이의 윤리학적 문제의식을 잘 보여준다. “만족함과 쾌락을 갖는 것을 동일시하는 사람은 결코 만족을 얻을 수 없다. 그 이유 는 분명하다. 활동은 우리가 원하는 것이고, 쾌락은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는 데서 일어나는 것이기에 쾌락은 단지 활동과 함께할 때에만 온다.”(EW3: 256).
하나의 원리로서, 마치 칸트의 정언명법처럼 법칙으로서 존재할 때 그 윤리학은 재래의 실재론적 윤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듀이는 그 밖에도 공리주의가 갖는 외재적 문제를 지 적한다. 즉, 공리주의가 만족된 삶을 쾌의 감정에서 찾은 것은 경제적 고려가 지배적이었 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익 증진과 손실 회피에 기초한 근대 산업주의 는 등량의 화폐에 기초하였는데, 이는 숙고의 대상들을 모두 양적인 것으로 간주하게 만 들었던 것이다(MW14: 148-149). 다시 말해, 계산 가능한 쾌고의 윤리로 환원되는 근대의 공리주의는 모든 것이 교환 가능한 화폐 중심적인 근대의 양화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 는 것이다. 공리주의에서 성찰적 이성보다 수단에 관한 숙고, 즉 도구적 이성이 독려되었 던 것은 그 때문이다.104)
(2) 듀이의 칸트 윤리학 비판
한편 칸트 윤리학 역시 듀이에게 비판 대상에 지나지 않는다. 앞에서 적시했듯이, 칸 트 윤리학에 대한 비판은 듀이의 『개요』에서 이미 이루어졌다. 듀이는 초월론과 관련하 여 칸트의 원리가 아 프리오리(a priori)하다는 의미에서, 다시 말해 지성의 범주 및 기능 을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헤겔주의보다 훨씬 더 초월적이라고 규정한다. 일반적으로 헤겔 과 과학정신의 관계는 대립적이고, 칸트의 경우 과학정신과 통약가능성이 크다고 간주하 지만, 듀이는 1891년의 논문 「논리 이론의 현 위치」(The Present Position of Logical Theory)에서 오히려 과학을 위반하는 것이 칸트이고, 헤겔의 사유는 과학 정신의 전형이 라고 했다(EW3: 134). 듀이가 칸트를 헤겔보다 더 반과학적이라고 한 것은, 경험의 우연 성을 강조하며 경험이 보편 법칙에 토대를 준다는 것을 거부한 데 있다(EW3: 136).105) 칸트는 경험론과 합리론의 인식론이 갖는 한계를 선험적 종합판단을 통해서 극복하고자 하는데, 듀이는 바로 그 칸트의 아 프리오리의 ‘경험’이 가진 의미에 대해 불만을 갖는다.
104) Neil Coughlan, op. cit., p. 85.
105) 1890년대를 중심으로 듀이는 제임스의 『심리학의 원리』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듀이는 헤겔주의에 대해 친화적인 것은 『헤겔의 정신철학 강의』에서 헤겔을 위대 한 실행주의자로 간주하는데서 확인된다(서정혁, 『듀이와 헤겔의 정신철학』, 서울:한국문 화사, 2017, 87쪽). 듀이는 헤겔주의에서 이탈했지만, 유기체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성장한 다는 점에서는 헤겔주의적 자아실현 개념이 보존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노희정, 「John Dewey의 도덕관과 도덕교육론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초등도덕교육』
제49집, 2015.9, 128-12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