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가의 미인대회에서 선발된 이는 그 국가의 미에 대한 이상적 기 준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정체성을 구성하거나 매개한다고 할 때 (Banet-Weiser, 1999), 미스코리아대회는 한국의 미의 기준을 국가적 차 원에서 영토화함과 동시에 매년 선발된 미스코리아를 통해 한국 미인에 대한 구체적인 배치물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배치물에 미백은 주요한 요 소로 자리 잡고 있다.
2004년 대한피부과의사회에서는 미스코리아 맨얼굴심사 기준표를 마련 했는데(김광원·김민규, 2015), 그 기준에 따르면 밝은 피부톤은 미인의 기 준으로 제시된다.
얼굴= 여드름 유무, 모공이 늘어난 정도, 흉터, 안면홍조, 모세혈관 확 장, 입술의 색깔과 윤기, 주근깨, 잡티, 기미 등 색소질환의 유무와 전체 적인 피부톤을 보고 고르게 하얀 피부인지 검은 피부인지 판단한다. 하 얀 피부에 가중치를 둔다. (178쪽)
대중에게 프로필 사진이 공개되는 미스코리아 후보자들은 이미 피부에 대한 이러한 기준에 의거해서 예선을 통과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차적 으로는 고른 피부톤, 더 나아가 하얀 피부를 지닌 이들이다. 더욱이 미스 코리아는 본선 대회까지 함께 합숙하며 유사한 뷰티 과정 및 학습을 거치 기 때문에 더 통일된 미백 배치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심사 과정에서의 피부색 판단 기준을 비롯하여 미스코리아 후원 에스테틱숍 및 스킨케어 제품들, 화장법에 대한 교육, 프로필 사진 촬영시의 조명과 보정방식 등 미스코리아 후보자들은 미백 얼굴을 형성하는 요소들의 동일한 과정에 참 여하기에 유사한 미백 이미지로 생산된다.
주목할 점은 미스코리아의 미백 이미지 배치란 한국 영토 바깥으로 확 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스코리아 본선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참가자 들이 세계권 미인 대회에 출전할 때는 다른 피부색 연출을 하는 것이 관 례다. 예로, 2014년 미스코리아였던 조세휘는 안티에이징 미백 크림 광고 모델로 활동하기도 했지만 2017년 미스유니버스에 출전할 당시에는 태닝 을 통해 어두운 피부색을 연출했다. 실제로 태닝은 미스유니버스 참가를 준비하는 필수 과정이며, 이것이 “세계화의 방증”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뉴시스, 2010). 발리우드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와 경쟁하기 위해 하얀 피 부의 인도인 여배우를 내세우는 것과 달리, 한국인은 세계미인대회에서 경 쟁력을 얻기 위해서 태닝한 피부를 내세운다.72)
<표 5-2>는 세계권 미인대회에서 본선 진출이나 수상 등 주요한 성과 를 거둔 이들이 각각 미스코리아 대회와 세계권 미인대회에 출전했을 때 찍은 사진을 비교 배열한 것이다. 두 사진에서 연출되는 피부색에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그 피부가 사진으로 찍히기 위해 놓여 있 던 환경 및 연출 방식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미스코리아의 경우 수상 당시의 사진(이하늬, 나리)이든 프로필사진이든(조세휘, 우희준) 밝은 배경 속에서 촬영되었다. 인물의 앞에 흰 조명이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광이 얼굴의 돌출 부위를 중심으로 전반에 나타난다. 또한 밝은 분홍
72) 에스테틱숍에서 미백이 포함된 피부 관리를 후원하는 미스코리아대회와 달리 미
색 또는 살구색의 색조 화장과 은색의 악세서리는 인물의 얼굴을 더 밝히 는 역할을 한다. 반면 세계권 미인대회는 무대에서 찍힌 사진이든 프로필 사진이든 다소 배경이 어둡다. 어두운 톤의 색조 화장과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악세서리는 태닝을 한 피부톤과 유사한 색조 및 명도로 통일감을 형 성한다. 밝은 악세서리를 하거나(우희준) 밝은 조명이 사용되었음이 짐작 되더라도(조세휘) 이때 악세서리나 조명의 빛이 피부와 맺는 관계는 미스 코리아 프로필 사진에서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오히려 피부색의 어두운 색조나 채도를 더 부각시키는 것이다.
즉 미스코리아의 지층에서 구심력을 발휘하던 미백은 세계권 미인대회 에서는 원심력으로 작동한다. 미백 관련 업체로부터 후원을 받고, 유사한 색감과 질감의 미백 프로필 사진을 통해 경쟁하고, 다시 미백 제품 광고에 등장하는 모델이 되었던 미스코리아의 신체가 물리적으로 탈영토화하여 세계권 미인대회에 위치했을 때는 미백 이미지와의 연결고리를 끊고 태닝 이라는 다른 이미지와 결합한다. 미백 또는 태닝이 형성하는 의미의 계열 화가 한국 사회와 세계권 미인대회에서 각각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차 이라고 할 수 있다.
미스코리아 출전 시 사진 세계권 미인대회 출전 시 사진
2006 미스코리아 진 이하늬 (출처: https://entertain.v.daum.net/v/
20060803233109031)
2007년 미스유니버스 한국 대표 이하늬 (출처: https://entertain.naver.com/rea
d?oid=108&aid=0000068765) 표 5-2 미스코리아와 세계권 미인대회 출전 사진 비교
2008 미스코리아 진 나리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
ead.nhn?oid=038&aid=0001968418)
2009 미스유니버스 한국 대표 나리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
ead.nhn?oid=003&aid=0002825460)
2014년 미스코리아 선 조세휘 (출처: http://www.misskoreaseoul.co.k
r/html/gallery/profile_26.php)
2017년 미스유니버스 한국 대표 조세휘 (출처: 조세휘 인스타그램 URL: www.inst
agram.com/sehui1004)
2019 미스코리아 선 우희준 (출처: 미스코리아 공식 사이트 URL: http
s://www.misskorea.or.kr/detail/225)
2019 미스어스 한국 대표 우희준 (출처: 미스코리아 공식 사이트 URL: http
s://www.misskorea.or.kr/detail/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