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13] 정책수단별 소득불평등 지수 변화 검증-노인가구
Gini GE(1)
지수 95% 신뢰구간
지수 95% 신뢰구간
하한 상한 하한 상한
시장소득 0.50 0.4734 0.5194 0.45 0.3913 0.4992 국민기초 0.47 0.4444 0.4973 0.40 0.3449 0.4602 사회보험 0.47 0.4484 0.4966 0.40 0.3532 0.4535 보조금 0.46 0.4313 0.4825 0.38 0.3234 0.4327
사회
복지지출 0.42** 0.3905 0.4411 0.32** 0.2700 0.3653 사회적
조세지출 0.50 0.4777 0.5196 0.45 0.4025 0.4954 총공적
이전 0.42** 0.3976 0.4508 0.33** 0.2772 0.3818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총공적 소득이전의 완화 효과 와 비교해 볼 때, 사회적 조세지출에 의한 불평등 완화 효과는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 수단에 의한 효 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은 개별 수단에 의한 이전이 분배 지표의 개선 즉 정책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제3절 공적 소득이전의 아동가구에 대한 정책효과
[표 5-14] 공적 소득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아동ㆍ비아동가구
아동가구 비아동가구
요소 소득
시장 소득
경상 소득
가처분 소득
요소 소득
시장 소득
경상 소득
가처분 소득 상대적
빈곤선 999.9 1036.8 1062.5 968.5 662.7 768.5 891.7 841.4
FGT(0) 17.4 15.2 11.9 10.9 34.3 27.5 21.6 20.8 FGT(1) 7.3 5.5 2.7 2.4 25.3 13.3 6.2 5.9 FGT(2) 4.7 3.1 1.0 0.9 22.8 8.7 2.4 2.4
아동가구에 대한 공적 소득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 래의 [표 5-14]을 살펴보면, 먼저 아동가구와 비아동가구의 상대적 빈곤선 수준이 노인가구와 비노인가구 간의 차이에 비하여 그리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공적 소득이전의 영향이 없는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할 때 아동 가구의 상대적 빈곤선은 약 1,036만원 정도인 반면 비아동가구의 경우 약 768만원 정도로 나타나 평균적인 소득 수준의 측면에서 아동가구가 비아동 가구에 비해 어느 정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빈곤 규모의 측면을 살펴보면, 공적 소득이전에 의한 빈곤 감소 효과 즉 빈곤 규모의 변화량은 아동가구가 3.3 단위, 비아동가구가 약 5.9 단위 감소해 비아동가구에서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다만 비아동가구는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할 때 빈곤율이 약 27.5 정도 에 해당하고 공적 소득이전 이후에도 약 21.6 정도로 나타나 아동가구에 비 해 매우 높은 빈곤 규모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림 5-3] 아동ㆍ비아동가구의 빈곤지표 변화 비교
(단위: FGT 지표)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위의 [그림 5-3]에서 더 명확하게 나타나는데 빈 곤규모의 수준을 나타내는 FGT(0)의 막대그래프를 보면 아동가구에 비하여 비아동가구에서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 사적 소득이전이나 공 적 소득이전에 의한 변동폭은 비아동가구에서 약간 더 크게 나타나지만 빈 곤 규모의 절대적인 크기가 매우 커 비아동가구의 빈곤율이 아동가구에 비 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빈곤의 심도를 나타내는 FGT(1)과 FGT(2) 지수 역시 이와 유사한 경향 을 나타내는데 공적 소득이전에 의한 빈곤 감소 효과는 FGT(1) 지수의 경 우 아동가구가 약 2.8단위 비아동가구가 약 7.1단위 감소되어 두 그룹 모두 에 대한 효과는 존재하나, 상대적으로 비아동가구에 대한 영향이 더 큰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비아동가구에서의 빈곤 감소 효과는 매우 크지 만 공적 소득이전 전후의 빈곤 수준 자체가 아동가구에 비해서 매우 높게 나타나 아동가구에 비해 비아동가구 내에 빈곤계층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2) 정책수단별 빈곤 감소 효과
그렇다면 정책수단별 빈곤 감소 효과는 아동가구와 비아동가구에서 어떠 한 차이를 보이는가?
먼저 아동가구에 대한 정책수단별 영향을 살펴보면, 아동가구의 빈곤 감 소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은 보조금으로 약 1.7단위 빈곤 규모를 감소시 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보육 및 양육, 학자금 지원 등과 관련한 다양 한 형태의 보조금이 아동가구 모두에게 동일하게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아 동가구 가운데 빈곤계층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지원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 된다. 또 사회복지지출에 의한 이전 가운데 보조금의 규모가 가장 큰 것 역 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빈곤의 심도 즉 질적 수준의 완화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은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와 보조금으로 이들이 모든 아동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이전되는 것이 아니라 소득수준에 따라 빈곤층에 중점적으로 이전되도록 설 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빈곤의 규모와 심도를 동시에 표현하는 FGT(2) 지수를 살펴보면 이 두 가지의 감소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 은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로 분석되었다.
한편 아래의 [표 5-15]에서와 같이 아동가구에 큰 규모로 이전되는 것으 로 나타난 사회적 조세지출의 경우 아동가구에 대한 빈곤 감소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 장의 상대적 이전 규모 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상위층 아동가구에 집중적으로 이전되고 상대적으로 빈곤층에 대한 이전 비중이 작아 수직적 측면에서 역진적이 성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아동가구 에 대한 사회적 조세지출 이전의 규모가 매우 커 그 정책효과가 크게 나타 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표 5-15] 아동가구 대상 정책수단별 빈곤 감소 효과
시장
소득
기초 생보
보조 금
조세 지출
총 공적 이전 사회
보험
공적 연금
실업 보험
산재 보험
FGT(0) 15.2 14.7 14.4 14.7 14.9 15.0 13.5 15.6 12.7
변화량 0.5 0.8 0.5 0.3 0.2 1.7 -0.4 2.5
FGT(1) 5.5 4.1 5.1 5.2 5.4 5.4 4.1 5.6 3.0
변화량 1.4 0.4 0.3 0.1 0.1 1.4 -0.1 2.5
FGT(2) 3.1 1.7 2.8 2.9 3.1 3.1 2.0 3.2 1.1
변화량 1.4 0.3 0.2 0 0 1.1 -0.1 2
이와는 다르게 비아동가구의 빈곤 감소에 대한 공적 소득이전의 영향은 아동가구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며, 사회보험ㆍ보조금ㆍ국민기초생활보장급 여 등의 순으로 이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비아동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지출 이전이 전체 이전 가운데 대부분을 차지하고, 특히 사회 보험에 의한 이전 규모가 매우 큰 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빈곤 퇴치를 위하여 개별 가구가 지불해야 할 평균적인 부담의 수준을 의 미하는 FGT(1)의 경우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와 보조금이 동일한 수준으로 빈곤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빈곤에 의한 고통의 수준을 의미하는 FGT(2)의 경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보조금, 사회보험 순으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5-16]을 살펴보면 비아동가구에 대한 사회적 조세지출의 영향은 아 동가구에 대한 영향에서와 유사하게 빈곤 감소의 효과가 없이 오히려 빈곤 의 규모를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표 5-16] 비아동가구 대상 정책수단별 빈곤 감소 효과
시장
소득
기초 생보
보조 금
조세 지출
총 공적 이전 사회
보험
공적 연금
실업 보험
산재 보험
FGT(0) 27.5 26.6 24.7 25.0 27.3 27.3 24.9 27.8 22.7
변화량 0.9 2.8 2.5 0.2 0.2 2.6 -0.3 4.8
FGT(1) 13.3 10.4 11.2 11.5 13.2 13.1 10.4 13.4 6.6
변화량 2.9 2.1 1.8 0.1 0.2 2.9 -0.1 6.7
FGT(2) 8.7 5.5 7.1 7.2 8.6 8.5 6.0 8.7 2.7
변화량 3.2 1.6 1.5 0.1 0.2 2.7 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