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5] 정책수단별 소득불평등 완화 효과 시장
소득
조세 지출
총 소득 이전 사회
복지 지출
기초 생보
보조 사회 금
보험 공적 연금
실업 보험
산재 보험
Gini 0.44 0.39 0.43 0.42 0.42 0.44 0.44 0.42 0.44 0.40 GE(0) 0.43 0.27 0.35 0.38 0.38 0.43 0.43 0.35 0.43 0.28 GE(1) 0.34 0.27 0.32 0.31 0.31 0.33 0.33 0.31 0.34 0.27 GE(2) 0.43 0.35 0.41 0.39 0.39 0.42 0.42 0.40 0.43 0.36 A(0.5) 0.17 0.13 0.15 0.15 0.15 0.17 0.17 0.15 0.17 0.13 A(1) 0.35 0.24 0.30 0.32 0.32 0.35 0.35 0.30 0.35 0.24 A(2) 0.90 0.61 0.73 0.89 0.89 0.90 0.90 0.69 0.90 0.63
GE(1) 지수의 경우 공적 소득이전에 의한 소득불평등 완화 효과는 0.07로 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말할 수 있다71).
[그림 5-1] 정책수단별 소득불평등 완화 효과 비교
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개별 정책수단의 이전에 따라 가장 민감하게 변 화하는 지수는 GE(0)이며 이는 GE(0)이 다른 지수에 비해 하위소득계층의 소득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 국민기초생활 보장급여와 보조금 지출이 불평등 완화에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이 두 이 전이 주로 하위계층의 소득 분배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개별 수단에 의한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면 Gini 계수 의 경우 개별 수단에 의한 불평등 수준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사회복지지출에 의한 이전 합계와 총공적 소득이전에 의한 변화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개별 정책수단이 분배 지표의 개선을 가 져올 정도의 수준으로 이전되지 못하는 즉 그 이전의 규모가 정책효과를 충 분히 내지 못하는 수준으로 이전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5-6] 정책수단별 소득불평등 지수 변화 검증
Gini GE(1)
지수 95% 신뢰구간
지수 95% 신뢰구간
하한 상한 하한 상한
시장소득 0.44 0.4281 0.4535 0.34 0.3139 0.3588 국민기초 0.43 0.4179 0.4417 0.32** 0.2957 0.3379 사회보험 0.42 0.4082 0.4318 0.31** 0.4082 0.4318 보조금 0.42 0.4125 0.4369 0.31 0.2889 0.3323
사회
복지지출 0.39** 0.3812 0.4072 0.27** 0.3812 0.4072 사회적
조세지출 0.44 0.4313 0.4533 0.34** 0.4313 0.4533 총공적
이전 0.40** 0.3859 0.4136 0.27** 0.2504 0.2963
* 개별 정책수단에 의한 소득변화는 시장소득에 개별 정책수단이 이전되었을 때 의 소득을 통해 산출되었으므로, 통계적 유의성 역시 개별 수단에 의해 이전되 었을 때의 지수 신뢰구간과 시장소득의 신뢰구간을 비교하여 적용하였음.
Gini 계수와는 달리 Theil 지수의 경우 보조금에 의한 이전과 총공적 소 득이전 뿐만 아니라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와 사회보험 역시 소득불평등 완 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사회적 조세지 출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소득불평등의 완화 혹은 증가에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공적 소득이전 정책에 의해 나타나는 전반적인 정책효과로 이는 다양한 정책대상에 대하여 나타나는 정책효과의 평균적인 값으로 볼 수 있다. 이에 공적 소득이전 정책의 세부적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 하에서는 정책대상별로 이를 나누어 살펴보고, 공적 소득이전의 측면에서 한국의 복지국가가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표 5-7] 공적 소득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노인ㆍ비노인가구
노인가구 비노인가구
요소 소득
시장 소득
경상 소득
가처분 소득
요소 소득
시장 소득
경상 소득
가처분 소득 상대적
빈곤선 230.0 421.4 578.8 556.4 1060.9 1122.5 1154 1067.7
FGT(0) 39.8 23.2 12.4 11.5 19.5 16.9 14.2 13.5 FGT(1) 31.9 10.7 2.5 2.6 9.5 7.0 3.9 3.8 FGT(2) 28.8 7.0 0.8 0.9 7.0 4.4 1.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