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표 5-7] 공적 소득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노인ㆍ비노인가구  

노인가구 비노인가구

요소 소득

시장 소득

경상 소득

가처분 소득

요소 소득

시장 소득

경상 소득

가처분 소득 상대적

빈곤선 230.0 421.4 578.8 556.4 1060.9 1122.5 1154 1067.7

FGT(0) 39.8 23.2 12.4 11.5 19.5 16.9 14.2 13.5 FGT(1) 31.9 10.7 2.5 2.6 9.5 7.0 3.9 3.8 FGT(2) 28.8 7.0 0.8 0.9 7.0 4.4 1.6 1.6

제2절 공적 소득이전의 노인가구에 대한 정책효과

[그림 5-2] 노인ㆍ비노인가구의 빈곤지표 변화 비교

(단위: FGT 지표) 구체적으로 노인가구의 빈곤규모는 공적 소득이전에 의해 23.2에서 12.4 로 약 10.8 단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비노인가구의 빈곤규 모는 16.9에서 14.2로 약 2.7단위 감소하여 노인가구에 비해 완화 효과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공적 소득이전에 따라 노인가구의 절대적 빈곤규모 (12.4)가 비노인가구(14.2)에 비해 더 작아져 노인가구에 대한 빈곤 감소 효 과가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빈곤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FGT(1)과 FGT(2) 역시 비노인가 구는 각각 3.1과 2.8의 변화를 나타내는 반면 노인가구는 8.2와 6.2의 변화 량을 나타내 절대적인 변화의 측면에서 노인가구에 대한 공적 소득이전의 효과가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효과의 절대적 수준 차이는 아래의 [그림 5-2]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시장소득과 경상소득간의 지표변화 수준 이 노인가구가 비노인가구에 비해 매우 큼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빈곤율 의 수준은 경상소득 기준 노인가구가 비노인가구에 비해 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표 변화의 효과 차이는 노인가구에 대한 이전이 비노인가구에

[표 5-8] 노인가구 대상 정책수단별 빈곤 감소 효과

  시장

소득

기초 생보

보조

조세 지출

공적 이전 사회

보험

공적 연금

실업 보험

산재 보험

FGT(0) 23.2 18.1 22.3 22.5 23.1 22.7 19.1 22.9 13.7

변화량 5.1 0.9 0.7 0.1 0.5 4.1 0.3 9.5

FGT(1) 10.7 6.1 9.3 9.4 10.7 10.4 7.1 10.5 2.7

변화량 4.6 1.4 1.3 0 0.3 3.6 0.2 8.0

FGT(2) 7.0 3.2 5.9 6.0 6.9 6.8 3.7 6.8 0.9

변화량 3.8 1.1 1.0 0.1 0.2 3.3 0.2 6.1

비해 소득의 수준이 낮고 빈곤선 이하에 많이 분포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빈곤지표의 변화를 하위 정책수단별로 더 자세하게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2) 정책수단별 빈곤 감소 효과

먼저 노인가구의 경우 빈곤율의 변화에 가장 큰 변화를 미치는 정책수단 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기타 보조금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인가구가 빈곤층에 많이 분포해 있기 때문이며, 보조금의 경우 기초노령연금과 노인에 대한 각종 보 조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직접적인 현금의 이전이 빈곤 완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비노인가구의 경우 빈곤율 완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보험인 반면, 빈곤의 질적 수준을 의미하는 FGT(1)과 FGT(2) 지 표의 경우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빈곤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의 완화에 영향을 미 치는 정책수단이 각각 다르며, 특히 공적 부조에 해당하는 국민기초생활보

[표 5-9] 비노인가구 대상 정책수단별 빈곤 감소 효과

  시장

소득

기초 생보

보조

조세 지출

공적 사회 이전

보험

공적 연금

실업 보험

산재 보험

FGT(0) 16.9 16.8 15.4 15.7 16.6 16.7 15.9 17.2 14.7

변화량 0.1 1.5 1.2 0.3 0.2 1 -0.3 2.2

FGT(1) 7.0 5.6 6.2 6.4 6.9 7.0 6.1 7.2 4.3

변화량 1.4 0.8 0.6 0.1 0 0.9 -0.2 2.7

FGT(2) 4.4 2.7 3.8 3.9 4.3 4.4 3.5 4.5 1.8

변화량 1.7 0.6 0.5 0.1 0 0.9 -0.1 2.6

장제도는 빈곤층에 대한 집중적인 이전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빈곤에 대한 비용부담과 고통의 수준을 완화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노인가구와 비노인가구에 대한 공적 소득이전 정책의 빈곤 감 소 효과에서 주목할 점은 사회적 조세지출에 의한 이전의 영향이다. 노인가 구의 경우 빈곤 감소에 대한 사회적 조세지출의 영향이 양(+)의 효과를 보 이는 반면, 비노인가구의 경우 음(-)의 효과를 보인다.

이는 노인가구의 경우 사회적 조세지출에 의한 이전 규모가 매우 작을 뿐 만 아니라 앞 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노인가구를 다시 소득계층별로 분류 하여 이전의 상대적 규모를 살펴보면 상위층 노인가구가 중산층이나 빈곤층 노인가구에 비해 가장 작은 이전을 받기 때문에 노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조 세지출의 역진적 효과가 일정 수준 상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비노인가구의 경우 사회적 조세지출에 의한 소득이전이 다른 공적 소득이전 수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크고, 앞 장에서 살펴본 [표 4-5]의 내용에서와 같이 상위층 비노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조세지출의 상 대적 규모가 중산층이나 하위층 비노인가구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비노 인가구 전체의 빈곤 감소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