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셋째, 공공부조에 있어서도 복지에 대한 가족책임을 강조하는 잔여주의 모형이 지배적임 을 알 수 있다. ‘제6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보건사회부문계획’에서는 “가정, 지역사회의 복 지기능을 최대한 조장시키고 이것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때 국가적 복지시책으로 보충하 는 선 가정보호, 후 사회보장 원칙을 견지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가정복지, 지역복지 및 재 가복지를 보다 강화해 간다”(김상균 1993, 136에서 재인용)고 함으로써 공공부조에 있어서 국가의 책임을 최소화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년도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합계(A) 국내총

생산(B) A/B

(%) 인구1인당연간 사회보장비(원) 1970 146 126 8 280 27,639 1.01 870 1971 169 152 12 333 34,199 0.97 1,014 1972 214 167 13 394 42,179 0.93 1,179 1973 307 162 16 485 54,536 0.89 1,422 1974 297 368 30 695 77,777 0.89 2,003 1975 358 581 50 989 103,861 0.95 2,804 1976 642 546 53 1,241 143,045 0.87 3,462 1977 960 590 142 1,692 183,564 0.92 4,647 1978 1,417 807 80 2,304 247,447 0.93 6,235 1979 2,370 1,615 181 4,166 317,319 1.31 11,099 1980 4,036 1,987 229 6,252 387,749 1.61 16,400 1981 5,060 2,248 513 7,821 486,727 1.61 20,197 1982 7,204 2,873 621 10,698 557,217 1.92 27,203 1983 9,164 3,413 980 13,557 655,590 2.07 33,967 1984 10,606 3,216 895 14,717 751,263 1.96 36,424 1985 12,804 3,464 936 17,204 840,610 2.05 42,163 1986 14,120 3,877 1,215 19,212 981,102 1.96 46,614 1987 16,352 5,197 1,306 22,855 1,151,643 1.98 54,910 1988 22,041 6,918 1,465 30,424 1,371,115 2.22 72,383 1989 28,370 8,514 2,216 39,100 1,547,534 2.53 92,111 1990 39,954 10,816 3,993 54,763 1,866,909 2.93 127,744 1991 46,786 13,829 9,491 70,106 2,260,076 3.10 162,028 1992 58,774 14,616 8,840 82,230 2,575,254 3.19 188,330 1993 69,642 15,231 10,279 95,152 2,906,756 3.27 215,980 1994 81,878 17,221 11,449 110,548 3,402,083 3.25 240,534

<표 4-5> 총 사회보장지출 추이, 1970-1994 단위: 억 원, %

출처: 노인철·김수봉(1996: 27) <표 3-4> 참조.

<표 4-6>는 중앙정부 사회보장지출의 증가 추이를 일반회계 총세출 규모 및 총사회보 장지출 규모와 비교한 것이다. 이 표는 중앙정부 사회보장지출도 그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해 왔지만, 상대적으로 총사회보장지출의 증가보다는 느리게 증가해 온 것을 보여준다.

총사회보장지출에서 중앙정부사회보장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970년 57.5%에서 1994년

년도 중앙정부 사회보험지출

공공부조/

서비스(B)사회복지

중앙정부사회지출 합계(A)

총세출(C)일반회계

보장지출총사회

(D) A/C B/C A/D 1970 47 114 161 4,413 280 3.6 2.6 57.5 1971 61 138 199 5,463 333 3.6 2.5 59.8 1972 70 152 222 7,011 394 3.2 2.2 56.3 1973 74 146 220 6,554 485 3.4 2.2 45.4 1974 83 316 399 10,139 695 3.9 3.1 57.4 1975 147 456 603 15,353 989 3.9 3.0 61.0 1976 238 442 680 21,422 1,241 3.2 2.1 54.8 1977 344 567 911 27,399 1,692 3.3 2.1 53.8 1978 404 673 1,077 35,387 2,304 3.0 1.9 46.7 1979 662 1,229 1,891 50,532 4,166 3.7 2.4 45.4 1980 1,067 1,587 2,654 64,861 6,252 4.1 2.4 42.5 1981 1,507 1,779 3,286 79,078 7,821 4.2 2.2 42.0 1982 1,908 2,338 4,246 91,789 10,698 4.6 2.5 39.7 1983 2,258 2,723 4,981 101,808 13,557 4.9 2.7 36.7 1984 2,525 2,858 5,383 110,721 14,717 4.9 2.6 36.6 1985 2,709 3,269 5,978 124,064 17,204 4.8 2.6 34.7 1986 3,380 3,586 6,966 137,965 19,212 5.0 2.6 36.3 1987 3,799 4,805 8,604 157,945 22,855 5.4 3.0 37.6 1988 6,421 6,004 12,425 180,250 30,424 6.9 3.3 40.8 1989 7,390 7,745 15,135 216,531 39,100 7.0 3.6 38.7 32.2%로 오히려 하락한다.

반면, 일반회계 총세출 중에서 사회보장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970년 3.6%에서 1994 년 8.3%로 증가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국가 재정을 통한 사회보장 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 해 왔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그런데 중앙정부 사회보장지출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사 회보험지출은 대부분이 공무원과 군인, 사립학교 교직원을 위한 연금과 의료보험 지출로서 일반국민을 위한 사회보험 지원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사회보험 항목을 제외하고, 공공 부조와 사회복지 서비스 항목만을 고려할 경우, 일반회계 총세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그 비중이 1970년 2.6%에서 1994년 3.7%로 매우 미미한 증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6> 중앙정부 사회보장지출 추이 단위: 억 원, %

1990 9,885 9,472 19,357 274,367 54,763 7.1 3.5 35.3 1991 13,359 11,699 25,058 312,835 70,106 8.0 3.7 35.7 1992 15,294 13,170 28,464 333,625 82,230 8.5 3.9 34.6 1993 17,537 14,200 31,737 372,680 95,152 8.5 3.8 33.4 1994 19,953 15,667 35,620 427,947 110,548 8.3 3.7 32.2

출처: 노인철·김수봉(1996: 29) <표 3-6>.

한국개발연구원 재정통계자료집(1983, 1991, 1994) 참조.

이것은 한국의 사회보장지출이 그 동안 주로 수익자 부담을 원칙으로 하는 사회보험을 통해 증가해 왔으며, 중앙정부 사회보장지출의 경우에도 이전적 지출의 성격이 강한 공공부 조나 사회복지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증가가 억제되어 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의 사회보 장제도는 수익자 부담에 기초한 지극히 시장순응적인 사회보험제도와 선별적 지원에 기초 한 지극히 잔여주의적인 공공부조제도를 주축으로 발전한다(정무권, 2002: 이혜경, 1995). 그 리고 이것은 어떠한 경우에든 복지재정의 국고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재정중립원칙이 강하게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80년대의 사회정책은 내용면에서 70년대의 사회정책과 유사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경제력 여력이 있는 중산층을 대상으로는 수익자 부담의 사회보험이 실행된 반면, 빈곤층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부조나 사회복지서비스는 국민들의 최저생계보장 이라는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한 수준에 머무르게 된다(이혜경, 1993:

78-80). 이것은 국가의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재정중립원칙의 관점에서 보자면 매 우 일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보장제도가 도입·확대되고 복지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더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기존의 권위주의적 지배엘리트 가 구축해 놓은 기본 골격을 유지·강화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평가할 수 있다.

4절 재산형성 촉진과 자산기반 생활보장체계의 제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