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도구로서 워드프로세서가 가져온 글쓰기 속성의 변화를 일반화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구체적으로 밝혀보려는 연구들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워드프로세서를 통한 글쓰기가 연령, 장소, 성별 등 다양한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이다. 주로 문 학자들을 중심으로 글쓰기 교육과의 연관성, 글쓰기 효율성, 글쓰기에 미치는 역기능 등을 주제로 워드프로세서가 글쓰기 행위와 내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워드프로세서가 글쓰기 행위와 내용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긍정적 관점과 부정적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긍정적 관점 의 경우 워드프로세서로 인해 글 작성 속도 및 양이 증가하고, 글쓰기 질이 향 상됐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부정적 관점의 경우 글의 통일성이 결여되고 오탈 자가 증가해 글쓰기의 질이 워드프로세서로 인해 하락했다고 주장한다.
먼저, 긍정적 관점의 연구들을 주로 워드프로세서의 기술적 특성이 글쓰기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워드프로세서가 일반적 글쓰기 도구 로 자리 잡은 뒤 학생들이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문서를 질적으로 평가한 연 구(Cochran-Smith, 1991)에 따르면,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글쓰기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글의 질도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한 글쓰기와 관련한 연구 28편을 메타 분석한 결과(Bangert-Drown, 1993)에 따르면, 조사 대상 연구의 66%가 글쓰기의 질 이 나아졌다고 결론을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밀러와 노우레스(Miller &
Knowles, 1997)는 워드프로세서를 통한 글쓰기는 컴퓨터의 기술적 기능을 쓰 기 과정에 도입해 글 내용을 다양하게 해주는 동시에 생각한 것을 바로 쓸 수 있게 해 글을 수정함에 있어서 도움을 준다고 주장했다. 베이커와 킨저(Baker
& Kinzer, 1998)는 손으로 글을 쓸 때에는 개요를 완벽하게 작성 후 거기에 따라 생각을 풀어나갔지만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면서부터는 개요를 작성하지 않고 생각나는 대로 우선 작성하는 습관이 생겨났다고 분석했다. 골드버그 등 (Goldberg & Russell& Cook, 2003)은 1992년부터 2002년까지 작성된 워드 프로세서와 관련된 65개의 연구들을 수집해 메타 분석을 실시했는데 그 결과 대체적으로 초등학생보다는 중학생, 고등학생의 경우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해 글을 쓸 때 글쓰기의 양이 늘어나고 글의 질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들은 긍정적 관점인 경우가 비교적 많다. 손영남(2002)은 워드프로 세서를 통해 글을 쓰는 경우 내용을 구성하고 작성하고 다듬는 과정에서 많은 편이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서정애(2007)는 일반적인 글쓰기와 워 드프로세서를 이용한 글쓰기의 작문 텍스트 구조를 분석한 결과 두 작문의 특 성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임천택(2007)은 워드프로세서를 통한 글쓰기가 학생들의 글쓰기 동기, 흥미, 자아 인식, 성취감, 자신감을 강화 할 수 있는 반면, 책임과 진지함이 결여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옥현진(2010)은 첨삭과 삭제의 자유로움으로 인해 글의 내용을 자주 수정 및 보완할 수 있어 더 나은 글쓰기 결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지만 글 전체의 통일성에서는 한계 를 갖는다고 지적했다.
반면, 부정적 관점의 연구들은 이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보이아르스키 (Boiarsky, 1991)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집단이 손으로 글을 쓴 집단에 비하여 교정을 더 많이 하고 글을 더 많이 쓴다는 직접적 증거는 없다고 반박 하였다. 마켈(Markel, 1994)은 워드프로세서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지만, 이것이 글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는 증거는 직접적으로 없고 찾기도 힘들다고 주장했다. 알케메이드(Alkemade, 1997)도 문서 작성의 속도와 양 같 은 부분을 제외한 문서 작성의 질이 향상됐다는 결론은 소수일 뿐이며 확인하 기도 어렵다고 강조했다.
부정적 관점의 국내 연구들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강민경(1999)은 글을 쓸 때 ‘계획하기’ 단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생각나는 대 로 풀어놓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을 정리하는 ‘재고하기’와 ‘고쳐 쓰기’ 단 계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또, 글을 쓰면서 원하는 페이지의 내용을 자유롭게 확인하기 어려워 글을 읽으면서 쓰는 것이 어려워 문법적인 부분에서
실수가 많다고 분석했다. 신미영(2006)은 글의 구상에 시간이 적게 걸려 생각 을 빠르게 옮길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말을 하는 것처럼 느껴 맞춤법이나 격 식에 맞지 않는 단어 사용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문장 부호를 쓰지 않거 나 반복해서 쓰는 경우도 많이 발견됐다. 김혜옥(2009)은 학생들이 워드프로세 서를 이용해 글을 쓸 때 좀 더 편안하게 느끼고 있지만, 문단을 한 번도 나누 지 않는 등 내용의 일관성 및 통일성에 문제가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이렇듯 워드프로세서를 통한 글쓰기가 글쓰기 행위와 내용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된 결론이 도출되고 있지는 않다. 선행 연구들에서 밝히고 있듯이 조사 대상과 개인적 성향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 다. 글쓰기 속성에 미친 영향을 일반화시킬 수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다. 또한, 어떤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도 그 영향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워드프로세서를 컴퓨터를 통한 글쓰기와 동일시하고 있지 만, 워드프로세서는 아무 서식 없는 메모장과는 다르다. 워드프로세서에서는 온 갖 메뉴들, 기호, 눈금 등이 글의 현재 위치를 끊임없이 알려주며 검토를 요청 한다. 알고리즘에 따라 구현된 자동 교정 기능 등은 잘못된 맞춤법과 오타 등 을 자동으로 고쳐준다. 자동 교정 기능이 뛰어난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해 연구 를 실시했다면, 부정적 관점의 연구 결과들 중 몇몇은 결과가 변할 수도 있다.
워드프로세서가 갖고 있는 문서 작성과 편집 등의 기능은 사회‧문화적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 단순한 텍스트 입력기와 구분되는 이유다. 모든 워드프로세서가 같은 것은 아니다. 기본적인 문서의 작성과 편집 등을 위한 워드프로세서로서 일반적인 기능은 공유하고 있지만, 각자 반영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요소에 따 라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글’이 단순히 훌륭한 한글의 입력 수단이었기 때문에 한국에서 단기간에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글’은 컴퓨터에서 효율적인 한글 입력 수단 인 동시에 문서 작성 등을 위한 한글의 글쓰기 도구로서 선택받았다. 앞서 언 급했듯이 ‘글’은 다양한 장치들과의 호환성, 한글 입력의 용이성, 문서 작성 기능의 우수함 등 기술적인 부분에서 다른 워드프로세서들보다 뛰어났다. 하지 만, 이러한 기술적 우위가 훌륭한 글쓰기를 보장하지 않는다. 글쓰기 행위와 내 용에 미치는 워드프로세서의 영향에 대한 결과가 엇갈렸던 선행연구들처럼 각 각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글’이 확산되고 지금까지 널리 이용될 수 있었던 이유에는 기능적 부분 외에도 다른 워드프로세서들과 차별화되는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개입했다고 볼 수 있다.
제 2 절 워드프로세서 ‘글’
‘글’에 대한 선행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글’에 대 한 기능에 대한 연구들이다. ‘글’의 한글코드부터 어떤 기능을 갖고 있기에 다른 워드프로세서들에 비해 우위를 보였는지를 주로 연구한다. 또, 기능적 우 위를 바탕으로 산업적 관점에서 ‘글’이 거둔 성공에 대해 분석한 연구들도 이 에 포함된다. 둘째, ‘글’의 바탕이 되고 있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요시하는 연구들이다. 기능적 부분 외에 ‘글’과 ‘한글’을 동일시하는 것부터 ‘글’은 단지 ‘한글’을 마케팅적으로 이용했다는 것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글’을 바라 본다. 2절에서는 ‘글’에 대한 선행연구를 이와 같이 두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 한다.
1. ‘글’의 기능에 대한 연구
‘글’에 대한 선행연구 중 ‘글’의 기능에 대해 분석한 연구들이 가장 부분 을 차지하고 있다. ‘글’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 다. 첫째, 컴퓨터에 ‘한글’의 구현과 관련해 ‘글’을 다룬 연구들이다. 한글 코 드 표준화의 역사에 대한 연구(박동오, 2008), 한글 코드의 기술적 측면을 다룬 연구(이준희‧정내권, 1991; 전상훈, 1998), 한글 언어생활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서 ‘글’을 다룬 연구(홍윤표, 2012) 등이 대표적이다. 둘째, 산업적, 기능적 측면의 연구들이다. 주로 상품으로서 ‘글’을 강조해 기능적 특성(김기권, 1998; 박찬열, 1991; 심상천, 1996; 이규범‧윤성일, 1999), 그 상품을 팔기 위 한 마케팅 전략(신병석, 2008; 오창호‧주영혁, 2000),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 업에 미친 영향(노규성, 2012; 배성훈‧이승현, 2010) 등을 분석하고 있다.
먼저 컴퓨터에 ‘한글’을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글’을 다룬 연구들은 주로 한글 코드와 관련한 문제를 다루면서 주로 초기 ‘글’이 갖는 기능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한글 코드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를 컴퓨터 내부 에서 2진수로 표현하기 위한 대응 규칙을 말한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 었던 영문자 코드체계인 표준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에서는 로마자 대소문자 52개, 숫자 10개, 특수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