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사회‧기술적 그래프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96-200)

셋째,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갖는 의미다.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 워크에 새로운 행위자가 계속 등장하고 있음은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아 직 사회‧문화‧기술적으로 더욱 다중화될 여지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글쓰 기 도구로서 기능-기능 네트워크가 ‘블랙박스’화 된 것에 비해 글쓰기 공간으 로서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블랙박스’가 아니기 때문이 다.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통한 글쓰기 공간의 다중화는 다중화된 글쓰기 공간의 행위자들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글’을 사 용하지 않더라도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글 2.x’에서 새로운 행위자를 가장 많이 동원하고 있다. ‘글 3.x’부터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규모는 점차 축소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글’의 이용이 2.x에서 가장 활발 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한편, 기능-기능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소프트 웨어 네트워크는 4.x에서 가장 많은 행위자를 동원한 반면에, ‘글’의 인간 네 트워크는 4.x에서 가장 많은 행위자들이 네트워크에서 벗어났다. 이는 ‘글’의 기능적 완성도와 소프트웨어적 호환이 반드시 ‘글’의 이용과 같지 않다는 점 을 의미한다. 반대로, ‘글’의 이용자를 늘리기 위해 기능적으로 완성도를 높 이고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네트워크를 확장했다고도 볼 수 있다.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표 36>에서 보듯이 지속적으로 네트 워크에서 탈락하는 행위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글’이 형성하고 있는 전선을 넘어 ‘글’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글’이 형성하고 있는 전선의 범위도 버전에 따라 점점 왼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 규모가 축소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규모가 2.x 이후 버전 변천에 따라 축소되고 있는 것이다. 네트워크 규모의 축소는 ‘

글’이 네트워크로부터 부여받는 행위 능력의 약화로도 이어진다. 이는 <그림 23>에서 보듯이 ‘글’의 인간 네트워크가 블랙박스화 됐기 때문이다. ‘글’의 인간 네트워크에는 새로운 행위자가 동원되지 않는 가운데 기존 네트워크 속 행위자들의 수만 줄어들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0 0.2 0.4 0.6 0.8 1

1.x 2.x 3.x 4.x 5.x 6.x 7.x 8.x 9.x

<그림 23> 버전에 따른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교호 지수

<그림 23>과 같이 ‘글’의 프로그램 버전에 따른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의 교호지수는 버전 6.x부터 0을 유지하고 있다. <표 36>에서 제시된 행위자들 은 개개의 행위자가 아니다. 사람은 모두 다르기에 모두 나열해야 정확한 행위 자 기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도 약 2,000만 명으로 추산되는 ‘글’의 이용자를 각각 기록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대표적

인 속성을 통해 인간 행위자를 기록했다. 따라서, 6.x부터 ‘글’의 인간-소프 트웨어 교호지수가 0이라고 해서 ‘글’의 네트워크에 동원되는 새로운 행위자 가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누군가는 ‘글’을 새롭게 이용할 수 도 있다. 교호지수가 0이라는 점은 대표적인 속성으로 구분했을 때 새로운 행 위자 군이 동원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각 행위자 군을 이루고 있는 사람의 수가 줄어들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2)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의 해석과 함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여전히 새로운 행위자를 동원하고 있는 반면에,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축소되고 있다. ‘글’의 인간-소 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글 2.x’에서 새로운 행위자를 가장 많이 동원한 후 이 후 행위자들이 버전에 따라 탈락하고 있다. 기능-기능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가장 많은 새로운 행위자를 동원한 ‘글 4.x’에서도

‘글’의 인간 네트워크의 행위자들은 탈락한다. ‘글’의 인간 네트워크는 ‘

글 2.x’ 이후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글 2.x’까지는 도스 시절로 ‘글’이 강력한 영향력을 갖고 있던 시기다. ‘글 4.x’는 ‘글 3.x’에 서 윈도우와의 호환에 문제를 드러냈던 ‘글’이 문제를 수정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 수정에도 불구하고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규모가 축소되 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볼 수 있다.

첫째,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행위자는 고정되고 있다. 이는 기능-기능 네트워크의 안정화에 따라 기능적으로 익숙한 행위자들만이 ‘글’

과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글 6.x’부터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에 새로운 행위자가 동원되지 않는 이유다.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새로운 행위자가 동원되지는 않는 가운 데 지속적으로 행위자들이 탈락할 뿐으로 교호가 활발하지 않다.

둘째, ‘글’의 인간-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는 ‘블랙박스’가 됐다는 것은 워 드프로세서 ‘글’이 컴퓨터에서 ‘글’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고정된 행위자들이 ‘글’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글’을 쓰고 있다. 누군가가 고정적으로 쓰고 있기 때문에 그들과의 소통을 위해 ‘글’을 쓰게 되고, ‘글’은 기능적으로 사회‧문화적으로 산업적으로 등

이유에 상관없이 써야만 하는 글쓰기 도구 중 하나가 된 것이다. 이는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블랙박스이기 때문이다.

0 0.2 0.4 0.6 0.8 1

1.x 2.x 3.x 4.x 5.x 6.x 7.x 8.x 9.x

인간-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기능-기능

<그림 24> 버전에 따른 ‘글’의 기능, 소프트웨어, 인간 네트워크의 교호지수

셋째, <그림 24>의 교호지수로 봤을 때, ‘글 2.x’까지 교호가 가장 활발했 던 것은 ‘글’의 인간 네트워크다. 그 이후에는 기능-기능 네트워크의 교호가 가장 활발했고, 현재 가장 교호가 활발한 것은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 크라고 할 수 있다. 4.x에서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교호지수가 높 은 것은 윈도우로의 전환 때문으로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예외라고 볼 수 있 다. 이를 통해 해석하자면, ‘글’은 활발한 인간 네트워크를 통해 전체 ‘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었고, 그 뒤 기능-기능 네트워크가 전체 ‘글’ 네트워 크의 형성을 주도했다. 현재는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전 체 ‘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역사적 사건 순서와 결부시켜 설명할 수 있다. ‘글 1.0’의 등장은 기 능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 ‘기술적 신기함’으로 인해 급속도로 확산될 수 있었 다. 수많은 이용자들이 ‘글’과 활발한 교호를 보여준 것이다. 수많은 이용자 들과 교호과정을 겪게 되면서 ‘글’은 더 나은 기능에 대한 요구를 받게 됐고, 이에 따라 이후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에서 교호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후 ‘한글과컴퓨터’의 내부 사정과 다양한 외부 요인들이 결합되면서

‘글’의 내부 기능 네트워크는 안정화되고 부족한 기술적 요소의 보완을 위해

‘글’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확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는 STG를 활용해 확인한 결과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글’을 이용하기 때문에 ‘글’이 지금 과 같은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기존 시각과는 다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9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