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째,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갖는 의미다.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 워크에 새로운 행위자가 계속 등장하고 있음은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아 직 사회‧문화‧기술적으로 더욱 다중화될 여지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글쓰 기 도구로서 기능-기능 네트워크가 ‘블랙박스’화 된 것에 비해 글쓰기 공간으 로서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블랙박스’가 아니기 때문이 다.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통한 글쓰기 공간의 다중화는 다중화된 글쓰기 공간의 행위자들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글’을 사 용하지 않더라도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글 2.x’에서 새로운 행위자를 가장 많이 동원하고 있다. ‘글 3.x’부터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규모는 점차 축소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글’의 이용이 2.x에서 가장 활발 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한편, 기능-기능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소프트 웨어 네트워크는 4.x에서 가장 많은 행위자를 동원한 반면에, ‘글’의 인간 네 트워크는 4.x에서 가장 많은 행위자들이 네트워크에서 벗어났다. 이는 ‘글’의 기능적 완성도와 소프트웨어적 호환이 반드시 ‘글’의 이용과 같지 않다는 점 을 의미한다. 반대로, ‘글’의 이용자를 늘리기 위해 기능적으로 완성도를 높 이고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네트워크를 확장했다고도 볼 수 있다.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표 36>에서 보듯이 지속적으로 네트 워크에서 탈락하는 행위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글’이 형성하고 있는 전선을 넘어 ‘글’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글’이 형성하고 있는 전선의 범위도 버전에 따라 점점 왼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 규모가 축소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규모가 2.x 이후 버전 변천에 따라 축소되고 있는 것이다. 네트워크 규모의 축소는 ‘
글’이 네트워크로부터 부여받는 행위 능력의 약화로도 이어진다. 이는 <그림 23>에서 보듯이 ‘글’의 인간 네트워크가 블랙박스화 됐기 때문이다. ‘글’의 인간 네트워크에는 새로운 행위자가 동원되지 않는 가운데 기존 네트워크 속 행위자들의 수만 줄어들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0 0.2 0.4 0.6 0.8 1
1.x 2.x 3.x 4.x 5.x 6.x 7.x 8.x 9.x
<그림 23> 버전에 따른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교호 지수
<그림 23>과 같이 ‘글’의 프로그램 버전에 따른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의 교호지수는 버전 6.x부터 0을 유지하고 있다. <표 36>에서 제시된 행위자들 은 개개의 행위자가 아니다. 사람은 모두 다르기에 모두 나열해야 정확한 행위 자 기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도 약 2,000만 명으로 추산되는 ‘글’의 이용자를 각각 기록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대표적
인 속성을 통해 인간 행위자를 기록했다. 따라서, 6.x부터 ‘글’의 인간-소프 트웨어 교호지수가 0이라고 해서 ‘글’의 네트워크에 동원되는 새로운 행위자 가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누군가는 ‘글’을 새롭게 이용할 수 도 있다. 교호지수가 0이라는 점은 대표적인 속성으로 구분했을 때 새로운 행 위자 군이 동원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각 행위자 군을 이루고 있는 사람의 수가 줄어들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2)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의 해석과 함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여전히 새로운 행위자를 동원하고 있는 반면에,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축소되고 있다. ‘글’의 인간-소 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글 2.x’에서 새로운 행위자를 가장 많이 동원한 후 이 후 행위자들이 버전에 따라 탈락하고 있다. 기능-기능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가장 많은 새로운 행위자를 동원한 ‘글 4.x’에서도
‘글’의 인간 네트워크의 행위자들은 탈락한다. ‘글’의 인간 네트워크는 ‘
글 2.x’ 이후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글 2.x’까지는 도스 시절로 ‘글’이 강력한 영향력을 갖고 있던 시기다. ‘글 4.x’는 ‘글 3.x’에 서 윈도우와의 호환에 문제를 드러냈던 ‘글’이 문제를 수정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 수정에도 불구하고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규모가 축소되 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볼 수 있다.
첫째,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행위자는 고정되고 있다. 이는 기능-기능 네트워크의 안정화에 따라 기능적으로 익숙한 행위자들만이 ‘글’
과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글 6.x’부터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에 새로운 행위자가 동원되지 않는 이유다.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새로운 행위자가 동원되지는 않는 가운 데 지속적으로 행위자들이 탈락할 뿐으로 교호가 활발하지 않다.
둘째, ‘글’의 인간-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는 ‘블랙박스’가 됐다는 것은 워 드프로세서 ‘글’이 컴퓨터에서 ‘글’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고정된 행위자들이 ‘글’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글’을 쓰고 있다. 누군가가 고정적으로 쓰고 있기 때문에 그들과의 소통을 위해 ‘글’을 쓰게 되고, ‘글’은 기능적으로 사회‧문화적으로 산업적으로 등
이유에 상관없이 써야만 하는 글쓰기 도구 중 하나가 된 것이다. 이는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블랙박스이기 때문이다.
0 0.2 0.4 0.6 0.8 1
1.x 2.x 3.x 4.x 5.x 6.x 7.x 8.x 9.x
인간-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기능-기능
<그림 24> 버전에 따른 ‘글’의 기능, 소프트웨어, 인간 네트워크의 교호지수
셋째, <그림 24>의 교호지수로 봤을 때, ‘글 2.x’까지 교호가 가장 활발했 던 것은 ‘글’의 인간 네트워크다. 그 이후에는 기능-기능 네트워크의 교호가 가장 활발했고, 현재 가장 교호가 활발한 것은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 크라고 할 수 있다. 4.x에서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교호지수가 높 은 것은 윈도우로의 전환 때문으로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예외라고 볼 수 있 다. 이를 통해 해석하자면, ‘글’은 활발한 인간 네트워크를 통해 전체 ‘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었고, 그 뒤 기능-기능 네트워크가 전체 ‘글’ 네트워 크의 형성을 주도했다. 현재는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전 체 ‘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역사적 사건 순서와 결부시켜 설명할 수 있다. ‘글 1.0’의 등장은 기 능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 ‘기술적 신기함’으로 인해 급속도로 확산될 수 있었 다. 수많은 이용자들이 ‘글’과 활발한 교호를 보여준 것이다. 수많은 이용자 들과 교호과정을 겪게 되면서 ‘글’은 더 나은 기능에 대한 요구를 받게 됐고, 이에 따라 이후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에서 교호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후 ‘한글과컴퓨터’의 내부 사정과 다양한 외부 요인들이 결합되면서
‘글’의 내부 기능 네트워크는 안정화되고 부족한 기술적 요소의 보완을 위해
‘글’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확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는 STG를 활용해 확인한 결과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글’을 이용하기 때문에 ‘글’이 지금 과 같은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기존 시각과는 다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