않으면 응용 소프트웨어는 작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구글의 ‘안 드로이드’와 애플의 ‘iO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서 ‘글’의 이용이 가능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서 ‘
글’의 이용이 불가능하다.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글’이 연계를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워드프로세서는 우선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연계를 하면서 컴퓨터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편집하는 용도로 만들어진 응용 소프트웨어다. 응용 소프트웨 어로서 워드프로세서는 글쓰기(writing)라는 사회‧문화적 기술을 소프트웨어화 한 문화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만들고 편집할 수 있는 미디어 소프트웨어다. 미디어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는 최초 텍스트만을 처리할 수 있었지만, 이후 텍스트 외에도 동영상, 이미지 등 다양한 미디어 요소들을 만들고 편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저작 소프트웨어로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 다. 다양한 미디어 요소를 포괄하고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연계를 하면서 워드 프로세서는 지속적으로 기능을 확장해 나간다.
이러한 기능 확장은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가 자체적으로 기능을 구현하는 것과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를 통해 확장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소프트웨어 자체적으로 기능 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소프트웨어가 자체적으로 구현하는 기능은 세 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다. 첫째, ‘미디어 귀속적(media specific)’ 기능이다(Manovich, 2011). 미디어 귀속적 기능은 디지털 기술 등장 이전에 있었던 기술들을 소프 트웨어화한 것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의 경우, 문서에 각주 등 주 석을 다는 기능들은 이전에도 있었던 문서 작성 기능들로 소프트웨어화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가 가능해진 것이다. 자를 대고 손으로 그어 작성했던 표 를 줄과 칸의 수만 입력하도록 소프트웨어화한 것도 마찬가지다.
둘째, ‘미디어 독립적(independent)’ 기능이다(Manovich, 2011). 미디어 독 립적 기능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 이전에는 없었던 기능들로 잘라내기, 붙이기, 복사와 같은 인터페이스 명령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의 경 우, 사용자가 정의한 기능을 반복해 수행할 수 있는 매크로 기능, 표 안의 숫 자들을 자동의 합산해 주는 기능 등이 대표적이다. 미디어 독립적 기술은 특정 유형의 소프트웨어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미디어 소프트웨어 전반에 적용 되기도 한다. 표 안의 숫자 합산 기능은 워드프로세서뿐만 아니라 스프레드시 트 등에서도 제공하고 있다. 철자법에 어긋나는 글자를 자동으로 수정해 주는 기능도 마찬가지다.
셋째, ‘미디어 문화적(cultural)’ 기능이다. 글쓰기와 문서작성이라는 이전 미 디어 기술을 소프트웨어화한 워드프로세서들이 모두 같은 기능을 갖고 있는 것 은 아니다. 한글과 한국이라는 문화적 배경에서 만들어진 ‘글’과 영어와 미국 이라는 문화적 배경에서 만들어진 ‘MS 워드’는 문서를 다루는 방식이 서로 다 르기 때문에 구현된 기능도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글’의 옛한글 입력 기 능은 다른 워드프로세서가 제공하지 않는 독특한 기능이다. ‘글’이라는 소프 트웨어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옛한글을 스크린과 인쇄 상에서 표현이 가능하다. 다른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기능이 불가능하다. ‘글’
은 옛한글이라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 양식을 소프트웨어화한 기능을 제공 한 것이다. 똑같은 문서라도 어떤 소프트웨어를 통해 보고 편집하고 공유하고 분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Manovich, 2013b).
다음으로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를 통해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가 기능을 확장하는 방식이다. 마노비치(Manovich, 2013a)는 다양한 미디어 요소 들을 포괄하며 소프트웨어가 진화하는 방식을 생물체의 진화에 빗대 ‘혼종화 (hybridyzation)’라고 표현한다. 생물체가 진화하는 배경에는 ‘적자생존’의 법 칙이 있듯이 소프트웨어의 진화도 마찬가지다. 소프트웨어는 등장 이후 생존을 위해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상호작용하고 그 기능들을 모방하면서 자신만의 새 로운 기능을 추가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하지만, 사람이 다른 동물들의 행위를 모방할 수는 있지만 동물 그 자체가 될 수는 없듯이 소프트웨어도 마찬가지다.
워드프로세서가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포토샵’과 같이 전문적인 이 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마찬가지로 포토샵에서 텍스트 편집 기 능을 제공하더라도 워드프로세서와 같이 전문적인 문서 편집 기능을 제공하지 는 못한다. 둘은 서로 연계하며 공동의 생존을 도모하는 방향을 지향한다. 소프 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와 연계를 통해 기능을 확장하는 이유다.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가 다른 소프트웨어와 연계하는 방식은 내적 혼 종화와 외적 혼종화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내적 혼종화는 워드프로 세서가 다른 소프트웨어의 미디어 요소를 워드프로세서 내부적으로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글’에서 ‘MS 워드’의 파일을 불러올 수 있게 지원하 는 것이 대표적이다.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생성한 내용을 복사해 붙여 넣을 수 있게 하는 것도 내적 혼종화에 포함된다. ‘포토샵’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글’
에 복사해 넣을 수 있지만, 재편집은 불가능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워드프로세 서는 내적 혼종화를 통해 다른 소프트웨어의 미디어 요소들을 포함해 새로운 내용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외적 혼종화는 다른 소프트웨어와 연계를 하지만 워드프로세서 내부로 불러오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결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외적 혼종화를 통한 소프트웨어 연계는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운영체제 등 시스 템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로 워드프로세서가 컴퓨터 내에서 작동하기 위한 필수 적인 연계다. 다른 하나는 다른 문화 소프트웨어들과의 연계로 워드프로세서로 서 문서 작성 이외의 용도로 소프트웨어들과 연계를 맺는 것이다. 워드프로세 서와 간단한 게임, 보안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문화 소프트웨어와의 연계가 대 표적 사례로 이는 워드프로세서가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연계를 통해 생존을 위 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림 6>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의 진화 흐름
<그림 6>처럼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는 미디어 독립적, 귀속적, 문화 적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현하면서 멀티미디어 저작 소프트웨어로 기능을 확장 해 나가는 한편,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연계를 통해 내적, 외적 혼종화를 이루어 나가면서 기능을 확장해 가고 있다. 버전에 따라 자체적인 기능 구현이 강화되 기도 하고,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를 강화하기도 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자체 적인 기능 구현 정도와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 정도를 끊임없이 높여가고 있다. 자체적인 기능 구현과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 정도가 항상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자체적으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워드프로세서로서 기능을 완전 히 구축하기 위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으며, 다른 소프트웨어와 연계를 통해 기 능을 확장하는 것은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가 다른 소프트웨어들과의 경 쟁과 협력을 통해 생존하기 위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워 드프로세서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기능을 구현하는 한편, 소
프트웨어로서 생존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연계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욕망은 모두 워드프로세서가 더 많은 사람들의 이용을 유도 하기 위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워드프로세서는 사람들의 이용 이 전제되어야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도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로 <그림 6>과 같이 버전에 따라 진화 의 궤적을 남기고 있다.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글쓰기와 문서 작성이라는 단일 미디어 저작 소프트웨어로 처음 등장한 ‘글’은 이후 다양한 미디어 요소들의 생성, 편집 등의 기능을 추가하면서 멀티미디어 저작 소프트웨어로 변화해 왔 다. 또한, ‘글’은 워드프로세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면서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내적, 외적 혼종화를 이루며 기능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지금까지 유지되어 왔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버전만을 분석한다면 소프트웨어의 일면만을 보는 것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20여 년 동안 대표적인 워드프로세서로 위 치를 지켜 온 ‘글’의 경우 현재의 버전만을 분석해서는 ‘글’이 지금까지 유 지될 수 있었던 이유를 밝힐 수가 없다. ‘글’이 지금과 같은 기능을 갖추기까 지 어떠한 궤적을 통해 진화해 왔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글’의 기능은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다. 다음 항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분 석하는 기존 소프트웨어 연구들을 검토해 ‘글’의 진화 궤적을 분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색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