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행위자 네트워크에 대한 해석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12-118)

소프트웨어 연구와 관련한 방법론으로는 인류학이나 문화 사회학 등의 방법 론을 빌려오기도 하지만, 특정한 학제적 편견을 보여주고 있는 경우가 많고 다 른 종류의 기술에 대한 연구에서 용어를 빌려오기도 한다. 폴록과 윌리엄스 (Pollock & Williams, 2009)는 기업의 전사적 자원 관리 소프트웨어인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SAP가 어떻게 현재의 위치에 오게 됐는가를 ANT 관점에서 분석했다. “만약 지난 밤에 R/3(SAP가 만든 ERP 애플리케이션)가 작동을 멈췄다면, 서구 세계의 산업 경 제는 작동을 멈추게 될 것이고 네트워크된 경제 체계 내에서 그 틈을 메울 수 있는 대체재를 찾는데 몇 년이 걸릴 수도 있다”(Campbell-Kelly, 2003, p.

197)는 표현처럼 SAP 소프트웨어는 전 세계적으로 굉장히 큰 영향력을 발휘하 고 있다.

폴록과 윌리엄스는 기술의 사회적 형성론(social shaping of technology) 관점의 학자들이 제시한 ‘인공물의 연대기(biography of artefact)’ 기술 방법 론을 차용해 ‘인공물 시스템의 연대기(biography of artefacts framework)’

기술 방법론을 제시했다. 소프트웨어가 역사와 맥락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 를 분석한 것이다. 여기서 인공물 시스템은 ERP 소프트웨어로 사실상 ‘소프트 웨어 연대기 기술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기존 사회관계와 관련된 다양한 행위자의 지식과 기여, 가능한 상호보완적 기술, 이들 요소들이 함께 설

정되는 방식에 의해 어떻게 소프트웨어 혁신이 형성되는지 그 과정을 분석했 다. ANT가 간과할 수 있는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연대기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 연구도 ‘소프트웨어 연대기 기술 방법론’을 토대로 ANT 관점에서 기록하고 분석한 행위자 네트워 크를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에서 해석한다.

이를 위해, ‘글 1.0’부터 ‘글 2014’까지의 버전별 소프트웨어와 매뉴얼, 사용자 평가, ‘글’의 개발사인 ‘한글과컴퓨터’ 소장 자료, 주요 보도 내용,

‘MS 워드’ 등 경쟁 소프트웨어 등 수집 가능한 모든 흔적들을 연대기적으로 분석했다. ‘한글과컴퓨터’가 보관하고 있는 문서 중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각 버전의 개발 당시 작성했던 기획서, 기능 정의 등의 문서를 수집해 분석했 으며, 공시자료, 논문들, 정부 보관 자료 등도 수집해 분석했다. 라투르 (Latour, 2005)는 ANT가 연구를 위한 하나의 안내자이지 정립된 방법론은 아 니라고 인정하면서, ANT 관점에서 인류학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구하는 것이 이상적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행위자 네트워크 안에 들어가 참여관찰을 하거 나 인터뷰를 하는 방식을 통해 다양한 행위자 네트워크들이 생성되고 소멸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들을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서 자료만으로는 파악이 불가능한 ‘글’과 관련된 맥락을 분석하기 위해 ‘글’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물 12명의 심층 인터뷰도 병행 실시해 문 서 자료들의 미비함을 보완했다. ‘한글과컴퓨터’ 연구원 및 관계자 3명, ‘글’

이용자 모임 관련 3명,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관계자 2명, 국어정보학 전문가 1 명, ‘한글과컴퓨터’를 출입한 경험이 있는 IT 분야 취재 기자 3명이 인터뷰 대 상14)이었다. 심층 인터뷰 내용은 관점을 보여줘야 할 경우는 주로 처리하고, 일반적 사실 확인의 경우에는 별도 표기를 하지 않았다. 인터뷰 대상자 대부분 이 실명 공개를 꺼려해 본인이 허락하지 않은 사람의 실명은 기록하지 않았다.

이렇듯 수집한 ‘글’ 자료를 바탕으로 6장에서는 먼저 현재 시점에서의 ‘

글’의 행위자 네트워크를 분석한다. ‘글’의 현재 행위자 네트워크를 소프트웨 어 연대기 기술 방법론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현재 시점에서 ‘글’의 네트 워크는 지나온 과정과 떨어져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현재 시점의 네트워크 는 지나온 과정을 볼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7장의 분 석을 위한 예비 분석이라고도 할 수 있다.

14) ‘글’과 관련한 핵심 행위자라고 할 수 있는 이찬진 전 ‘한글과컴퓨터’ 사장은 “자신이 무엇을 말하든 올바르게 해석되지 않을 것”이라며 여러 차례 요청한 인터뷰를 거절했 다.

제 6 장 소프트웨어 ‘글’의 행위자 네트워크

1989년 등장 이후 한때 우리나라 워드프로세서 시장에서 90% 가량의 점유 율을 기록할 정도로 ‘글’은 굉장한 호응을 얻었다. 하지만, ‘글’의 개발사인

‘한글과컴퓨터’의 공시 자료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으로 시장점유율은 18%

에 불과하다. 20여 년 사이에 ‘글’의 위세는 상당히 줄어들었다. 그러나 여전 히 ‘글’ 사용자는 2,0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한 글과컴퓨터’의 전체 매출 비중에서 공공기관이 차지하는 비율은 63%인 반면에 일반 개인대상 매출 비중은 9%로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글’은 소프트 웨어이면서 판매를 위한 상품이다. ‘글’을 사지는 않는데 사용하는 사람은 많 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시장 점유율이 보여주듯이 현재 상품으로서 ‘글’의 매력은 상당히 떨어졌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글’을 이용하고 있는 모순 적 상황이다.

6장은 이러한 모순적 상황에서 ‘글’이 형성하고 있는 행위자 네트워크를 세 층위에서 분석한다. 현재 시점에서 ‘글’의 행위자 네트워크로 이는 ‘글’

의 시기별 행위자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7장을 예비한 종합적인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글’의 최신 제품인 ‘글 2014’를 기준으로 ‘글’의 다층적 네트워크를 통사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소프트웨어 연대기 기술 방법론을 적용 한다. 기능-기능 네트워크의 경우는 먼저 ‘글’ 기능의 식별 기준인 ‘버전’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버전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순서를 나타낸 일종의 식별 번호다.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컴퓨터에서 한글을 구현하는 문제 와 관련된 한글 코드부터 현재까지 ‘글’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형성해 오 는 과정에서 드러났던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조망한다. 마지막으로 인간-소프트 웨어 네트워크는 불법복제와 국어정보화라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요소들이

‘글’의 네트워크 형성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서술한다.

제 1 절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

1. ‘글’ 기능의 식별 기준 ‘버전’

소프트웨어 이름 뒤에는 버전(version)이라는 식별 번호가 붙는다. 같은 소 프트웨어라도 개발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게 되는 소프트웨어의 특 성을 감안해 이를 구별하기 위한 방안이다. 버전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순서를 구분할 수 있다. 버전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내용과 기능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버전번호는 보통 점으로 구분된 두 개의 숫자 부분으로 구성 되는데, 점 앞의 숫자를 주번호라고 하고 뒤의 숫자를 부번호라고 한다. 개발된 상품의 기능과 내용이 크게 변화된 경우에는 2.0 또는 3.0 등 주번호를 변경시 키며, 이전의 제품에 있던 오류를 수정하는 정도로 기능 변화가 크지 않을 때 는 1.1 또는 1.2처럼 부번호를 변경한다.

‘글’의 기능을 나타내는 버전에는 두 가지가 있다. 문서 버전과 프로그램 버전이다. 문서 버전은 ‘글’을 만드는 ‘한글과컴퓨터’사 내부적으로 메이저 버 전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글’의 이전 버전과 문서 호환을 위한 파일 형식 (format)의 버전을 규정하고 있다. 가장 최근의 제품인 ‘글 2014’의 현재 문 서버전은 ‘5.0.4.0.1’이다. 가장 최근 문서버전이 ‘5.0.4.0.1’라는 것은 ‘글’이 내부 기능적으로는 5번의 큰 변화를 겪었음을 보여준다. 문서버전의 가장 앞자 리 수에 따라 ‘글’의 내부 기능 네트워크가 형성된 것이며, 앞자리 수가 다른 것은 내부 기능 네트워크가 변화는 ‘글’의 내부 기능 네트워크가 한 단계 진 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번호가 같은 제품들은 기능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에 속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표 11>과 같이 워드프로세서 ‘글’은 문서버전에 따라 크게 5가지로 구분 이 가능하다. 문서버전의 주번호를 같이 하는 제품들은 뼈대를 공유하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이중 4.x 버전은 개발 단계에서만 존재해 ‘한글과컴퓨터’ 내부 적으로만 알고 있다. 상위 버전에만 있는 기능은 하위 버전에서 편집이 불가능 하며, 하위 버전에서 작성한 문서를 상위 버전에서 불러올 경우 기능적인 제한 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의 문서 버전인 5.x는 3.x 문서는 불러오기와 저 장 등 모든 기능을 지원하지만, 1.x와 2.x ‘글’ 문서는 불러들여와 읽을 수만 있고 해당 버전으로 저장은 불가능하다.

버전 개발년도 주요 특징 1.x 1989년 · 제품군 : ‘글’ 1.0 ~ 1.5x

· HNC10 코드(조합형 한글, 한자 KS 4888 자)

2.x 1992년

· 제품군 : ‘글’ 2.0, 2.1, 2.5

· HNC20 코드(옛한글, 확장한자 10,880자, KS 도형문자)

· WYSIWYG 및 포인트 단위 프리 폰트 사이즈 지원

· DOS 운영체제 기반

3.x 1995년

· 제품군 : ‘글’ 3.0, ‘글’ 96~97

· HNC21 코드(조합형 한글, HNC20 코드에 일부 추가)

· 윈도우 3.x 운영체제 기반

4.x 1998년

· 제품군 : 실제 외부 제품으로 출시된 적 없음

· 당시 정내권 이사 주도로 한글을 윈도우에 맞게 다시 고치 는 작업을 진행했으나, 내부 사정으로 인해 추진하지 못하 고 묻힘

· ‘한글과컴퓨터’ 회사 내부적으로만 존재함

5.x 2000년

· 제품군 워디안, ‘글’ 2002 ~ ‘글’ 2014

· 유니코드 시스템(ISO/IEC 10646)

· Surrogate : 2005 / 옛한글 KS1026-1 : 2010

· 멀티섹션, WYSIWYG 및 포인트 단위 프리 폰트 사이즈

· 윈도우 9x/XP 이후 운영체제 기반

<표 11> ‘글’의 문서버전과 버전별 특징

각 문서 버전의 HNC10 코드, HNC20 코드, HNC21 코드, 유니코드 등은 자 판에서 한글이 입력될 때 한글이 구현되고 문서로 저장되는 방식을 규정한 것 이다. 일반적인 이용 행위자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이러한 코드는 강한 행 위능력을 발휘한다. 이용 행위자들의 글쓰기 행위를 번역해 소프트웨어화시키 고 있기 때문이다. 각 코드는 소프트웨어 이용자의 글쓰기를 번역해 문서 버전 별로 내부 기능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문서 파일에 저 장되는 내용은 실제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의 내용과 문자, 정보뿐만 아니라 문 서를 편집할 당시의 글꼴에 대한 정보, 조판에 영향을 주는 설정 사항(용지 종 류, 여백 정보 등)도 포함된다.

‘글’의 프로그램 버전은 각종 업그레이드 및 패치를 기록한 버전이다. 예를 들어, 2013년 11월 1일 업데이트된 ‘글’ 프로그램 버전 ‘8.5.8.1382’은 ‘윈도 우 8’을 지원하며, ‘글’에서 작업한 문서를 트위터(twitter)로 올리는 기능이 개선된 ‘글 2010’ 제품을 의미한다. 이 버전보다 낮을 경우 같은 ‘글 2010’ 제품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윈도우 8’에서 사용할 경우 오류를 겪을 수 있다. 악성 코드와 같은 보안 관련 문제의 발생의 경우에도 다른 행위자들은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1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