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프트웨어의 정의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52-55)

1) 소프트웨어의 정의

컴퓨터에서 문서를 작성할 때 우리는 어떤 소프트웨어를 실행해야 한다. 컴 퓨터를 켠다고 바로 글자를 입력하고 문서를 작성할 수 없다. 메모장과 같은 단순 텍스트 입력 소프트웨어든, ‘글’과 같은 워드프로세서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야만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고 저장되는 물리적 인 하드웨어와 반대되지만, 소프트웨어가 없으면 그 하드웨어는 고철이나 다름 없다. 컴퓨터라는 미디어를 이용한 행위들의 핵심은 소프트웨어의 이용이다. 겉 으로는 드러나 보이지 않지만, 소프트웨어가 중요한 이유다. 워드프로세서는 컴 퓨터를 통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다. 글쓰기, 문서 작성, 편집 등의 커뮤니케이 션 기능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것이 워드프로세서다. 워드프로세서는 글쓰 기를 위한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워드프로세서는 글쓰기 도구이고, 이때 물리적 도구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입력장치와 출력장치이지만, 이러한 장치 들과 컴퓨터를 통제하고 지시하는 것은 소프트웨어다.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는 “문화의 산물로서 데이터와 행동에 대한 명령문인 코드들로 구성된 컴퓨팅 시스템의 지시 층위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면서 각각의 상황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는 사회 문화적 실재”(Fuller, 2003; Mackenzie, 2006; Manovich, 2013a; Truscello, 2003) 로 정의한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 정의와는 조금 다르다. 처음 등장했을 때부 터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 대립되는 개념이었다.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 아는 소프트웨어를 “저장장치에 저장된 특정한 목적의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 터 프로그램으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고 저장되는 물리구조인 하드웨어와 반대 의미”7)라고 설명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정보통신용어사전은 소프트웨어 를 “컴퓨터를 동작시키고 컴퓨터에 어떤 일을 처리할 순서와 방법을 지시하는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수행에 필요한 절차, 규칙, 관련 문서 등의 총칭으로 보통 프로그램과 같은 의미로 쓰이며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형체를 갖고 있는 하드웨어를 제외한 보이지 않는 무형의 부분”8) 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일반적 정의에서 보듯이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 대 립되지만, 둘 중 하나가 없으면 둘 모두 작동할 수 없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 어와 같은 장치들이 없으면 작동이 어렵지만,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 발전에 따른 부산물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발전해 왔다. 오히려 현재는 소프트웨어의 발전이 하드웨어의 발전을 이끌고 있기도 하다.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소프트웨어의 발전과 같다. 현대 사회의 모든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체계들을 소프트웨어를 바탕으 로 운영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이 모든 것을 하나로 묶는 보이지 않는 ‘접 착제’(glue)다(Manovich, 2013a). 현금인출기, 교통신호 처리기, TV, 스마트

7) http://ko.wikipedia.org/wiki/%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 8) http://word.tta.or.kr/terms/terms.jsp에서 소프트웨어를 검색

폰, 운행정보 등 일상적으로 만나고 사용하는 모든 것들에서 소프트웨어는 보 이지 않지만, 일상생활에 깊숙이 침투해 은밀하게 우리의 생각 속에 자리 잡고 있다(Chun, 2011). 디지털화된 모든 것들은 소프트웨어가 지시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의 매개를 벗어난다면, 대부 분의 의료, 교통, 여행 등은 불가능할 정도로 소프트웨어는 모든 사회적 과정에 개입하고 있다(Kitchin & Dodge, 2011; MacKenzie, 2006; Manovich, 2013a). 교통량에 따라 신호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도로교통 통제 시스템이 대 표적 사례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다양한 인간들의 행위가 소프트웨어를 정의한다 (Cramer, 2005, p. 122).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행위가 소프트웨어와 결합 되면서 소프트웨어는 고정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미리 정해진 양식으로만 움직이지 않는다. 웹 브라우징, 이메일, 비디 오 게임, 워드프로세서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때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미 리 정의된 양식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컴퓨팅에 따른 역동적인 상황 에 참여한다. 워드프로세서의 경우 문서를 작성하며 썼다 지우는 행위들이 오 탈자 검증을 위한 데이터로 수집된 후 알고리즘에 따라 빠른 교정 등의 기능 개선으로 이어진다. 자주 사용하는 문서 여백 수치 등이 이후 기본 수치로 제 공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를 조직하는 기준인 코드를 작성한 후 구체적인 실천 행위들을 계량화해 데이터로 수집 후 알고리즘의 논리에 따라 통제하는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면서 각각의 상 황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는 사회 문화적 실재”라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소프트웨어는 우리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우리 문화의 영향을 받 는다. 수많은 이용이 결합되며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마노 비치(Manovich, 2013a)가 ‘문화(cultural) 소프트웨어’로 개념화한 이유다.

같은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워드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자판 같은 입력장치를 활용해 글자를 입 력하고 별개의 과정을 거쳐 입력 결과물을 종이로 출력할 수 있게 하며 출력하 기 전까지는 얼마든지 내용 수정이 가능한 동시에 결과물을 언제든지 파일 형 태로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글쓰기 도구”로, “디지털화된 문서 커뮤니케이션 과정 곳곳에 내재되어 다양한 사람들의 이용행위를 통해 각각의 상황에서 새로 운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는 사회‧문화적 실재”라고 할 수 있다. 즉, 워드프로세 서는 디지털화된 환경에서 글 또는 문서를 쓰고 읽는 새로운 도구로서 우리 사 회 곳곳에 내재되어 실재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5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