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글’의 내부 기능 네트워크를 STG를 활용해 분석한다. ‘글’에는 수 많은 기능이 존재하지만, 명확한 기준을 세우기 위해 ‘글’의 인터페이스 메뉴 상에서 목록으로 제시하는 기능들만을 대상으로 했다. 또한, ‘글’의 기능은 너무 많기 때문에 좀 더 명료한 분석을 위해 기능을 세 가지로 구분했다.
첫째, 미디어 귀속적 기능이다. 미디어 귀속적 기능은 기존 글쓰기 기술을 소프트웨어화한 기능들로 글쓰기 도구로서 ‘글’의 기능을 의미한다. 이 기능 들은 주로 문서 편집 및 텍스트, 그림 등 문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내용들을 입력하는 기능들과 편의성을 개선한 기능들이다. 둘째, 미디어 독립적 기능이 다. 미디어 독립적 기능은 컴퓨팅 기술의 발달에 따라 등장한 기술로 기존 글 쓰기 기술을 소프트웨어화한 것이 아니라 ‘글’과 비슷한 저작 소프트웨어들에 서 일반적으로 갖추고 있는 기능들을 의미한다.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를 위한 기능들이 대표적이다. 셋째, 미디어 문화적 기능이다. 이는 소프트웨어로 서 ‘글’이 사회‧문화적 배경을 반영해 독특하게 구현한 기능을 의미한다. 즉, 기술적 요소보다는 이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등장한 기능들이다. 앞선 절들에 서 버전에 따라 기능별로 새롭게 등장한 행위자들의 구체적 정의와 수치를 제 시한 바 있다. 이는 일종의 STG라 할 수 있었고, <표 34>는 앞 절들에서 제시 한 새로운 기능 행위자들의 수를 다시 모아 구성한 것이다.
프로그램 버전
미디어 귀속적 기능 미디어 독립적 기능 미디어 문화적 기능 새 행위자수 총 행위자수 새 행위자 수 총 행위자수 새 행위자 수 총 행위자수
1.x 30 30 23 23 7 7
2.x 26 50 12 35 2 9
3.x 5 55 4 39 6 15
4.x 27 71 21 47 7 16
5.x 5 75 8 49 7 21
6.x 4 79 5 54 1 20
7.x 1 80 2 54 3 20
8.x 4 82 12 60 7 23
9.x 0 82 2 62 1 24
<표 34> ‘글’ 버전에 따른 기능별 행위자들의 수
‘글 1.x’는 첫 제품이기 때문에 모두가 새로운 기능임으로 논의에서 제외한 다. <표 34>에서 보듯이 세 기능 모두 ‘글 4.x’에서 가장 많은 새로운 행위 자가 등장하고 있다. <표 34>의 결과는 ‘글 4.x’에서 ‘글’의 기능-기능 네 트워크가 가장 크게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도스용 ‘글’의 광범위하게 확산된 후 윈도우용 ‘글 3.0’이 여러 문제를 드러냈지만, 이를 개선한 ‘글 4.x’에서 ‘글’의 기능은 어느 정도 안정성을 갖게 된 것이다. ‘글 4.x’부터 는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가 안정화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기능별로 살펴보면, 첫째 미디어 귀속적 기능의 경우는 ‘글 2.x’와 ‘글 4.x’에서 가장 많은 기능 행위자를 동원했다. ‘한글과컴퓨터’사가 창립된 이후와 윈도우용 ‘글’의 문제점을 해결한 제품들을 통해 ‘글’의 글 쓰기 도구로서 기능이 거의 완성됐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글 5.x’부 터 새롭게 등장하는 미디어 귀속적 기능의 수가 확연히 줄어드는 것에서도 확 인할 수 있다.
둘째, 미디어 독립적 기능의 경우는 ‘글 4.x’에서 가장 많은 기능이 새롭게 등장하지만, ‘글 8.x’에서도 새로운 기능이 상당수 동원되고 있다. 이는 소프 트웨어로서 ‘글’이 진화하면서 다른 저작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기능들을 반 영하는 동시에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연계 기능은 지속적으로 동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미디어 문화적 기능의 경우는 여러 버전에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능 을 꾸준히 동원하고 있다. 미디어 문화적 기능은 ‘글’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기능들로 이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이다. 다른 기능 들에 비해 새롭게 동원되는 미디어 문화적 기능의 수는 급격히 줄어들거나 늘어나지 않고 있다. 이는 ‘글’이 버전을 거듭하면서 이용자들의 요구 사 항을 반영한 기능을 꾸준히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종합해 보면, ‘글’은 ‘글 4.x’에서 워드프로세서로서의 기능의 완성 을 이룩한 후 이후 버전에서는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른 기능과 일반적인 기술 발달에 따른 기능의 반영 및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를 위한 기능 위주로 새 롭게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글 4.x’에서 워드프로세서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글쓰기 도구로서 일반적인 기능은 어느 정도 완성됐다.
‘글’은 워드프로세서의 정체성을 ‘글 4.x’에서 갖추게 된 것이며, 이후에는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와 이용자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기능 위주로 진화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기능-기능 네트워크의 STG에 나타난 새로 운 행위자 수를 기반으로 산출하는 교호지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교호지수
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버전 별로 새롭게 등장한 행위자 수를 해당 버전의 총 행위자 수로 나눠 산출한다. 교호지수가 ‘0’에 가까울수록 해당 네트워크가 블 랙박스화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0.00 0.10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1.00
1.x 2.x 3.x 4.x 5.x 6.x 7.x 8.x 9.x
미디어 귀속적 기능 미디어 독립적 기능 미디어 문화적 기능
<그림 21> ‘글’의 버전에 따른 기능별 교호 지수
<그림 21>과 같이 미디어 귀속적 기능의 교호지수는 ‘글 4.x’를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한다. ‘8.x’에서 잠시 올라가지만, 교호지수는 0.1에 미치지 못 하며 ‘9.x’에서는 0이다. 이는 ‘글’의 글쓰기 도구로서 기능이 점차 추가되지 않으면서 ‘블랙박스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글’의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글 쓰기 도구 기능은 안정화되면서 ‘블랙박스화’되고 있다. 즉, ‘글 4.x’ 이후로 글쓰기 도구로서 ‘글’의 기능 네트워크는 안정화 단계에 접어드는 것으로 현 재 글쓰기 도구로서 ‘글’의 기능은 ‘글 4.x’에서 거의 완성돼 지금과 같은 기능 네트워크를 형성했음을 교호지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문서 편집 및 텍스트, 그림 등 문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내용들을 입력하는 기능들과 편 의성을 개선한 기능들은 ‘글 4.x’ 이후 크게 변한 바가 없는 것이다.
반면, 미디어 귀속적 기능과 미디어 문화적 기능은 미디어 귀속적 기능에 비 해 교호지수가 높게 형성되고 있다. 이는 이용자의 요청에 따른 기능개선은 아 직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를 위한 기능과 다른 저작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기능의 개선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 을 보여준다. 소프트웨어로서 ‘글’은 워드프로세서 본연의 기능은 갖춘 상태 에서 아직은 우리 사회‧문화와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기능적 개선을 이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의 해석과 함의
버전 변천에 따른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를 STG의 교호지수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글 4.x’ 이후 새로운 행위자를 동원하는 수가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문서 편집, 텍스트 및 그림 입력 등 문서 작성을 위한 글쓰기 도구적 기능들은 ‘글 4.x’에서 현재와 같은 형식을 갖추고 있다. 글쓰 기 도구로서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는 ‘글 4.x’부터 안정화, 즉 ‘블랙박 스화’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워드프로세서 ‘글’이 기능 적으로 ‘글 4.x’ 크게 변화가 없었다는 것은 ‘글’을 이용함에 있어서 기능 적 익숙함이 그때부터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인간 행 위자들의 요구에 따른 기능들만 새로운 행위자로 동원될 뿐이었다. 이러한 점 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볼 수 있다.
첫째, ‘글’은 기능적 관점에서만 바라볼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워드프로 세서로서 ‘글’이 20여 년 동안 유지돼 올 수 있었던 것은 기능적 우수함이 아니다. 워드프로세서 본연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글쓰기 도구로서 ‘글’의 기능은 이미 10여 년 전 그 형태를 갖추고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글쓰기 도구로서 ‘글’의 기능적 우수함보다는 ‘글’의 기능적 ‘익숙함’이 ‘글’의 네 트워크가 지금까지 유지되는 더 큰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소프트웨어로서 ‘글’은 기술적 상품이라기보다는 문화적 상품이다.
‘글 4.x’ 이후 추가되는 기능들은 대부분 이용자들의 요구에 따르고 한국이라 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감안한 것들이었다. 웹 표준에 어긋나 논란이 되고 있는 공인인증서를 문서 암호화 기능으로 채택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는 워드프 로세서 중 ‘글’이 유일하다. 미디어 귀속적 기능으로 분류했지만, ‘글 4.x’
에서 새롭게 추가된 표 기능 15개도 이러한 배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우리나 라는 워드프로세서 기능 중 표 기능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셋째, ‘글’의 버전은 기술적으로 새로운 ‘혁신’을 의미하지 않는다. ‘글’의 내부 기능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행위자가 활발하게 동원된 경우는 ‘글 2.x’와
‘글 4.x’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글 4.x’ 이후는 내부 기능 네트워크의 안정화와 재정비 등에 따라 버전이 구분된다고 할 수 있다. 버전에 따라 새로 운 ‘혁신’적 기술이 추가되는 것은 아니다. 소프트웨어의 버전은 소프트웨어의 기능 흔적을 담고 있지만,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화 되고 있는 과정이 기록돼 있다고도 볼 수 있다.
2.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