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사회‧기술적 그래프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93-196)

2.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트워크에 동원되고 있다. 이는 ‘글’이 ‘글’ 개발 포기 선언 당시 위기를 넘 긴 뒤 기능-기능 네트워크보다는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확장에 주력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 5.x’ 이후 ‘글’은 새로운 기술적 요소를 바탕으 로 기능을 확장하기 보다는 이용자의 요청에 따른 기능 개선에 주력해 왔음이 STG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새로운 기술적 요소를 더하지는 못하지만 기능적으 로 개선된 모습을 보여야 하는 ‘글’이 선택한 방식이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기능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서로 다른 기능을 갖고 있는 소프트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글’에서 쓰 지 못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교호 지수에서도 이러한 점은 확인된다.

0.00 0.10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1.00

1.x 2.x 3.x 4.x 5.x 6.x 7.x 8.x 9.x

<그림 22> 버전에 따른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교호 지수

<그림 22>에서 보듯이 ‘글’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교호 지수도 기능 네트 워크의 교호지수와 같이 프로그램 버전 4.x에서 가장 높다. 하지만, 각 버전마 다 기록하는 교호 지수는 기능-기능 네트워크들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아직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라는 점을 의미한다. 특히, 프로그램버전 8.x의 교호 지수는 0.3에 가까이 에 이를 정도로 기능-기능 네트워크에 비해 교호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글’은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에 새로운 행위자를 지금도 꾸준히 동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이렇듯 안정화되지 못한 것은 ‘글’이 아직 완전하게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주 쓰는 클 라우드 서비스 등에서 ‘글’ 파일을 읽을 수가 없어 별도로 저장한 후 ‘글’

뷰어 등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야만 하는 경우가 대표적 사례다. 3절의 소프 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분석에서도 언급했지만, 이는 ‘글’이 다른 소프 트웨어들이 자신을 잘 번역할 수 있도록 기입을 충분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불완전한 ‘글’ 문서 파일 형식 공개 등으로 인해 다른 소프트웨어들이 ‘글’

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싶어도 번역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2)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의 해석과 함의

기능-기능 네트워크와는 달리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지금도 새로운 행위자들을 계속 동원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 크의 경우도 ‘글 4.x’에서 가장 많은 행위자가 새로 등장하지만, 기능 네트워 크에서와는 달리 ‘글 5.x’ 이후에도 새로운 행위자들이 꾸준히 소프트웨어 네 트워크에 동원되고 있다.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글’의 세 층위 네트워크 중 현재 가장 교호가 활발한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이러 한 점은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볼 수 있다.

첫째, ‘글’은 워드프로세서로서 기능적 완성을 이룬 이후에는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능-기능 네트워크 에서 확인했듯이 ‘글’은 ‘글 4.X’ 이후 새로운 기술적 요소를 더해 자체적 인 기능을 구현하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글’ 전체 네트워크의 유지를 위 해서는 기능적으로도 개선된 모습을 보여야 한다. ‘글’이 선택한 방식은 소프 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미디어 문화적 기능들을 반영하면서 이용자와의 결속을 높이고 있지만, 자체적으로 기능을 만 들어내지 못한다면 서로 다른 기능을 갖고 있는 소프트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 성해 보완하는 것도 대안이기 때문이다.

둘째, ‘글’은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확장을 추구하는 동시에 ‘

글’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폐쇄적이었다. 이는 교호지수에서 확인할 수 있었 다.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교호지수는 ‘글 8.x’에서 0.3에 달한 다. ‘글 8.x’에 이르러서야 ‘글’은 ‘MS 워드’ 등 다른 워드프로세서들의 사 용하는 문서 형식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했기 때문에 지수가 높아진 것이 다. 이전까지는 ‘글’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면 8.x 이후부터는 ‘글’이 중심이 아니더라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셋째,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갖는 의미다.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 워크에 새로운 행위자가 계속 등장하고 있음은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아 직 사회‧문화‧기술적으로 더욱 다중화될 여지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글쓰 기 도구로서 기능-기능 네트워크가 ‘블랙박스’화 된 것에 비해 글쓰기 공간으 로서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블랙박스’가 아니기 때문이 다.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통한 글쓰기 공간의 다중화는 다중화된 글쓰기 공간의 행위자들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글’을 사 용하지 않더라도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글’의 인간-소프트웨어 네트워크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93-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