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방식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를 잘 기술해 설명할 수 있으면 되는 것 이다(홍성욱, 2010, 28~29쪽).

ANT는 지금까지 제시된 주요 개념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행위자들이 교호하 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설명한다. ANT는 자연과 사회 또는 인간이라는 이원적 존재론을 거부하면서 인간과 비인간의 행위능력을 구분하지 않는 새로운 존재론을 주장한다(Latour, 2005). 과학과 기술, 사회가 함께 행 위하며 지금 우리의 세계를 구성한다는 관점이다. 새로운 기술적 대상으로서 소프트웨어를 분석하는 대안으로서 ANT는 유용하지만, ANT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ANT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크게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라는 새로운 기술적 대상을 연구하기 위해 ANT 관점에서 교호 과정을 기록하지만, 그 기록은 다시 해석할 필요가 있다. 관찰자가 부여한 행위이지 실제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ANT는 사회가 형성되는 과정을 이해 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지, 그 개념과 같은 실제 행위가 벌어졌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변화하고 있는 과정을 추적할 수 있 는 실마리로서 ANT 관점을 대안으로 채택하지만, 그 내용의 해석은 다시 소프 트웨어 연구 관점으로 돌아올 필요가 있다. ANT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를 분석 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는 ANT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는 것에서 발생한다. 이 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이론적 틀의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앞서 다 음 항에서는 행위자 네트워크 관점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 하고 그 한계점을 지적한다.

2. 행위자 네트워크 관점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선행 연구

유용성은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새로운 문화 동력으로서 소프트웨어의 역할은 비인간 행위자로서 소프트웨어의 행위능력과 같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랑글로이스(Langlois, 2008)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을 ANT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녀는 웹을 둘러싼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뒤 웹이 단순히 기술 및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산물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웹은 누군가가 주도적으로 발전시킨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호작용에 따라 처음 만든 사람의 의도를 넘어 서 발전해 나갔다는 것이다.

인터넷 탐색 소프트웨어 중 하나인 ‘파이어폭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공동체 문화를 분석한 연구(Pedersen, 2011)도 소프트웨어가 개발자들이 독단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들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산물임을 강조한다. 소프트 웨어가 비인간 행위자로서 인간 행위자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해오고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 탐색 소프트웨어의 진화 과정을 ANT 관점 에서 추적한 연구(Faraj, Kwon & Watts, 2004)도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이 용자들의 기술적 요구에 따라 소프트웨어가 발전해 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소프트웨어 연구에 있어서 ANT 관점의 적용 가능성을 언급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Bucher, 2012;

MacKenzie, 2009). 구체적으로 특정 소프트웨어의 행위자 네트워크를 분석하기 보다는 보이지 않는 비인간 행위자로서 소프트웨어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연구에서 주된 연구 대상인 소프트웨어들 의 경우 광범위한 이용이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소프트웨어가 형성한 네트워크 를 분석하기가 싶지 않기 때문이다.

ANT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연구는 소프트웨어 연구와 같이 사회문 화적 함의를 다루는 연구보다는 한정된 조직, 집단 내에서 특정 소프트웨어를 채택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새로운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다양 한 인간 행위자들의 네트워크가 소프트웨어 채택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하 고 있다. 주로 소프트웨어와 같은 비인간 행위자가 인간 행위자들의 네트워크 에 미치는 영향이 주된 관심사다. 기업 내부 인트라넷(intranet) 소프트웨어 도 입 과정을 ANT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Hall, 2001), 전기 절약 시스템 도입 과 정을 분석한 연구(Bartis & Mitev, 2008), 지리 정보 소프트웨어 도입 과정을 분석한 연구(Martin, 2000), 건강 정보 관리 소프트웨어 도입 과정을 분석한 연구(Wilson & Howcroft, 2002), 전사적 자원 관린 소프트웨어 도입 과정을

분석한 연구(Elbanna, 2010; Scott & Wagner, 2003)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 한 연구들은 소프트웨어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기 보다는 인간 행위자들의 네트 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비인간 행위자로서 소프트웨어의 역할을 주로 다루고 있 다. 소프트웨어 자체를 ANT 관점에서 비인간 행위자로 보기 보다는 소프트웨 어를 만드는 조직, 이용하는 조직에 대한 연구를 위해 ANT 관점을 활용하면서 조직 내의 핵심 인간 행위자가 누구인지를 밝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새로운 소프 트웨어가 이용되는 과정에는 다른 행위자들을 동원할 수 있는 강력한 행위자가 존재하고 있으며, 주로 영향력 있는 인간 행위자가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Linde et al., 2003). 강력한 행위자가 다른 행위자들을 동원 하더라도 경쟁 네트워크 혹은 강력한 반대 행위자의 등장은 특정 소프트웨어가 이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Wilson & Howcroft, 2002). 새로운 버전의 소 프트웨어라도 낮은 성능을 갖고 있거나 기대했던 바에 못 미치는 경우에는 기 존 행위자들이 배신감을 느끼고 네트워크에서 탈락하기도 했다(Hanseth &

Braa, 1998; Wilson & Howcroft, 2002). 또한, 같은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다양한 집단들의 생각이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뛰어나더라도 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었으며(Bartis & Mitev, 2008), 따라서 소 프트웨어는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행위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 된다(Munir & Jones, 2004). 어떤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용 여부는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번역 과정을 통해 결정되고 있었다(Hanseth & Braa, 1998).

이러한 결과들에서 볼 수 있듯이 ANT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를 연구한 선행 연구들은 소프트웨어 자체보다는 분석의 대상이 되는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조 직, 인간 등을 주로 분석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를 행위 능력을 갖고 있는 비인 간 행위자로 규정하고 있지만, 인간과 대칭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인간 중심 적인 행위자 네트워크 분석에 치우치고 있는 것이다.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 속에서 다양한 관계 맺음을 통해 변화하며 진화하는 과정은 기록하지 않고 있 다. 또한, ANT 관점에서 ANT 개념을 통한 분석에 치우치면서 다른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등을 고려한 해석이 배제되고 있다. 이는 아직은 미완성인 ANT의 이론적 한계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관계 맺음을 통해 지속적으로 변화 하며 진화해 나가는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ANT만으로 분석하려 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8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