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적 차원에서 행위자들의 교호 과정을 추적하고 그들이 형성한 네트워크 를 서술하기 위한 방법으로 라투르(Latour, 1991; Latour et al., 1992)는 사 회‧기술적 그래프(socio-technical graphs, 이하 STG) 접근을 통한 네트워크 기술 방법론을 제시한다. STG는 통합적 관점에서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 행위 자들의 교호과정을 추적해 네트워크의 형성과 발전, 쇠퇴 과정을 기록하는 방 법이다. 이는 네트워크의 형성 과정이 연구자 관점에서 자의적으로 서술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식이기도 하다(Latour et al., 1992). STG는 행위자 네트워크의 교호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먼저 사회‧기술적 경로 (socio-technical)를 서술한다(Latour, 1991). 사회‧기술적 경로는 하나의 어떤 관점에 따른 각 버전에서 기대되는 행위인 기획(program)과 그와 반대되는 행 위 또는 대안적 행위인 반기획(anti-program) 내용을 서술한 후, 각각에 따른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 독립적 혹은 집합적 행위자 등을 포함해 연속적으로 등 장하는 새로운 행위자와 행위 요소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표 9>13)는 코닥
(Kodak) 카메라가 등장해서 대중적으로 확산되기까지 과정의 사회-기술적 경 로를 기록한 것이다.
(1) (2) (3) (4) (5)
(6) (7) (8) (9) (10)
프로사진가-아마츄어 사진가(a)/ 은판사진법(b)
프로사진가-아마츄어 사진가(a)/ 습판사진(wet collodion)(c) 1850년/ 사진인쇄 종이 제작(d) -//- 모든 것을 즉시 혼자 할 수 있음
프로사진가-아마츄어 사진가(a)/ 사진인쇄 종이 제작(d)/ 초기 건판사진(dry collodion) 제작(e) 1860~1870년 -//-
프로사진가-아마츄어 사진가/ 사진인쇄 종이 제작/ 좀 더 세밀한 젤라틴 건판사진 1870~1880년/ 감광판을 제조한 초기 회사들 -//-
프로사진가-아마츄어 사진가/ 사진인쇄 종이 제작/ 젤라틴 건판사진/ 사진 원판(plates)을 제조한 초기 회사들/ 이스트만(Eastman)의 설립 -//- (5)/ 스트롱의 투자/ 이스트만 건판 회사 1881~1883년 -//- 낮은 진입 장벽/경쟁 치열
(6)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회사들의 연합 -//- 여전히 제한적인 시장/ 손상되기 쉬운 사진 원판
유연한 워커(Walker) 필름/ 워커의 휴대용 카메라(Pocket Camera) 1884년 -//- 원판 필름을 대신한 원통형(roll) 필름/ 카메라가 필름을 사용함 -//- 시장에는 원판 필름을 사용한 무거운 카메라만 존재함
카메라가 필름을 사용함/ 워너케(Warnerke)의 1870년대 원형이 영국에서 원통형 특허를 받지 못함/ 원통형 용기/ 콜로디온으로 칠해진 두 개의 종이 롤 -//- 너무 비쌈/ 떼어내기가 너무 어려움/ 불확실한 시장/ 두 종이 롤의 왜곡으로 인한 흐릿한 사진/ 신뢰하기 어려움/ 여전히 전문가 대상임
<표 9> 코닥 카메라의 사회 기술적 경로
※ 출처 : Latour, 1991, pp. 111~113.
<표 9>는 코닥 카메라와 대중 시장(mass market)이라는 네트워크가 함께 건설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왼쪽의 괄호 안 숫자들은 각 버전이다. 이 버전은 코닥 카메라의 코닥 카메라의 등장으로 창출된 대규모 아마츄어 사진 시장의 형성 과정을 산업적 측면에서 분석한 젠킨스(Jenkins, 1975)의 관점에서 구분 한 것이다. 해당 버전에서 ‘-//-’ 표시를 기준으로 왼쪽은 기획, 오른쪽은 반 기획으로 그에 따른 행위자들과 요소가 기술돼 있다. 기획과 반기획을 구분해 기획에 따른 행위자들의 교호와 반기획에 대한 대안(substitution)들을 보여준 다. <표 9>에는 젠킨스의 분석 틀인 기술과 경제, 하부구조와 상부구조와 같은 내용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행위자들의 교호와 그 행위자들에 대한 새로운 대안(substitution)들만 기록되고 있다. 초기에는 기획에 속했던 사진 원판은 이후 필름이라는 새로운 행위자에 의해 대체됐다. 초기에는 기획에 속했던 프
13) 원문(Latour, 1991)에서는 버전 35까지 제시하지만, 여기서는 버전 10까지로 줄여서 인 용했다.
로 사진과 아마추어 사진가라는 행위자는 이후 대규모 아마추어 소비자라는 새 로운 행위자로 대체됐다. 반기획에 속하던 행위자와 행위 요소가 버전의 변화 에 따라 기획에 속하던 행위자를 대체하는 한편, 교호의 대상을 넓혀가고 있다.
연속된 버전들 속에서 행위자가 대체되고 교호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표 9>에서 기획과 반기획을 구분하는 ‘-//-’ 표시를 따라 선을 그으면 교호 와 대체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역동성을 볼 수 있다. ‘-//-’ 표시를 따라 그은 선이 행위자들의 교호와 대안의 전선(front line)이다. <표 10>은 <표 9>의 기 획과 반기획 내용을 기호로 도식화해 전선을 표시한 것이다. <표 10>에서 기획 속 행위자들과 요소들은 교호하며, 반기획 속 행위자들과 요소는 그 대안이다.
대안이 기획으로 속하게 되면서 교호의 범위가 넓어지고 네트워크는 확대된다.
전선은 버전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한다. 행위자들의 역동적인 교호 과정을 보 여주는 것이다.
기획 → ← 반기획
(1) ⓐ ⓑ
(2) ⓐ ⓒ ⓓ ⓵
(3) ⓐ ⓓ ⓔ
(4) ⓐ ⓓ ⓕ ⓖ
(5) ⓐ ⓓ ⓕ ⓖ ⓗ
(6) (5) ⓗ ⓘ ⓶ ⓷
(7) (6) ⓸ ⓹
… 전선
<표 10> 코닥 카메라의 사회-기술적 경로에 나타난 전선
라투르 등(Latour et al., 1992)은 기획과 반기획을 통합체(syntagm)와 계열 체(paradigm)로 구분한다. STG 작성을 위해 수직축과 수평축으로 사용될 두 차원을 명확히 정의내리기 위해서다. 통합체(and, 수평축) 차원은 의미 있는 조 합으로 얼마나 다른 요소들이 함께 묶여 질 수 있는지, 즉 교호하고 있는지를 말하며, 계열체(or, 수직축) 차원은 통합체들을 따라 각각의 지점에서 의미 있 는 대안들과 통합체와 반대되는 요소로 통합체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을 말한 다. STG는 이후 각 버전에서의 내러티브를 서술한다. <표 10>에서 버전(1)의 내러티브는 “프로 사진가와 아마추어 사진가 모두 은판 사진법을 사용하고 있 다”이며, 이 때 행위자는 프로 사진가와 아마추어 사진가로 둘은 모두 기획에 속하는 통합체 차원의 행위자다. 버전(2)의 내러티브는 “프로 사진가와 아마추 어 사진가 모두 습판사진을 이용하며, 사진 인쇄를 위한 종이 제작이 초기단계
에서 이루어지고 있다”이다. 이때, 행위자는 프로사진가-아마추어 사진가, 습판 사진, 사진 인쇄를 위한 종이 제작술이며 이들은 모두 기획에 속한다. 반면, 반 기획에 속하는 행위요소는 “혼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어야 함”이다. 버전(2)의 반기획 행위 요소는 버전(3)에 건판 사진이라는 대안이 행위자로 나타나 기획 속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버전별로 내러티브를 기록하고 그 내러티브 속 행위자를 규명할 수 있다. 수평축은 교호가 확대되고 있는 통합체를 보여주며, 수직축은 계열체로 버전에 따라 새롭게 대안으로 등장하는 행위자를 보여준다. 이 과정 에서 한 행위자가 각 버전별로 계속 유지될 수 있으며, 그 행위자에 대한 정의 는 버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으로 통합체와 계열체의 행위자를 하나씩 구분해 <그림 10>처럼 버전에 따라 유지되는 행위자와 새롭게 등장하 는 행위자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림 10>의 행위자들은 처음 등장했을 때와 이 후 다른 버전에서 등장했을 때 그 정의가 달라질 수가 있다. 따라서 버전에 따 라 행위자들의 변화하는 정의를 다시 내려줄 필요가 있다.
<그림 10> 버전에 따른 행위자 기록
<그림 11> 행위자들의 교호 지수
<그림 10>과 같이 버전에 따라 행위자들을 기록하면 <그림 11>과 같이 행위 자들의 교호 지수를 산출해 낼 수 있다. 한 버전에서 다음 버전으로 가면서 유 지된 행위자들을 동맹(Allies)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 버전에서 다음 버전으로 가면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행위자들은 새로운 행위자들(New actors)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버전이 변화하는 가운데 유지되는 행위자들의 수(A)와 새롭게 등장하는 행위자 수(N)를 합하면 각 버전에서의 전체 행위자 크기(Size)가 된 다. “S=A+N”이다. 라투르 등(Latour et al., 1992)은 이 숫자들을 활용하여 어 떤 네트워크에서 행위자들의 교호지수(Index of Negotiation)를 산출한다. 교
호지수는 새로운 행위자 수(N)를 해당 버전의 전체 행위자 수(S)로 나누어 산 출한다. 즉, STG에서 교호지수는 “IN=N/S”으로 산출된다. <그림 11>은 <그림 10>의 교호지수다. 지수가 높을수록 어떤 네트워크에서 교호가 광범위하게 벌 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지수가 낮아질수록 즉, 0에 수렴할수록 그 네트워크 가 블랙박스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라투르 등(Latour et al., 1992)은 하이퍼카드 장치를 활용해 기계적으로 STG를 활용한다. 이 연구에서는 하이퍼카드와 같은 장치를 활용해 기계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그 틀만 빌려온다. ‘글’의 네트워크가 지금까지 형성 되어온 과정을 세밀하게 보여주기 위한 방법론적 틀로 STG를 활용하면서 약간 의 수정을 가한다. 라투르는 STG 분석에서 버전 설정의 어려움을 지적한다.
관점에 따라 버전이 임의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고 명확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 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연구의 대상인 ‘글’과 같은 소프트웨어는 버 전이 명확하게 존재한다. 소프트웨어에서 버전은 하나의 식별번호로 소프트웨 어의 개발 순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글’과 같은 소프트웨어는 버전이 명확하기 때문에 버전별 내러티브를 따로 서술할 필요가 없다. 버전은 소프트웨어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남긴 명확한 흔적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