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의 해석과 함의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20-125)

현재 시점에서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해석이 가 능하다. 첫째, 컴퓨터에서 글쓰기 도구로서 ‘글’은 편집, 입력, 서식, 쪽 등 문서 작성 및 편집을 위한 기능들을 강조하고 있다.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 크는 편집의 다양한 기능들을 별도의 기능들로 네트워크로 형성하면서 편집 메 뉴 아래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 그림, 표, 메모, 주석 등 텍스트 외 입력 가능 한 다양한 내용들을 하나로 모아 제시하고, 문단과 문장을 편집하는 서식 기능 과 문서 전체를 통합해 편집할 수 있는 쪽 기능을 별도 메뉴로 분류한 기능 네 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반면, ‘글’의 경쟁 워드프로세서라고 할 수 있는 ‘MS 워드’는 입력과 비슷 한 삽입 기능 네트워크는 갖추고 있지만, 그 외의 편집, 서식, 쪽 등과 같은 기 능들은 네트워크가 아닌 아이콘 형식으로 별도의 하나의 기능으로만 보여주고 있다. ‘MS 워드’는 문서에 삽입하는 내용들을 위주로 기능-기능 네트워크가 형 성되어 있는 반면,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는 입력하는 내용들뿐만 아니 라, 문서 전반을 편집하는 기능 네트워크들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 이다. ‘글’은 단순히 글쓰기 도구로서보다는 다양한 문서를 만들어내는 도구 로서 비중을 더 두고 있다는 점을 현재 시점의 기능-기능 네트워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기능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유의어/반의어 사전, 점자로 바꾸기, 공인 인증서 암호화 등의 기능들은 다른 워드프로세서에는 없는 ‘글’만의 독특한 기능이다. 이러한 독특한 기능은 ‘글’만의 기술력이 아니라 ‘글’이 한국이라 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구현된 것이다. 1989년 ‘글 1.0’이 출시된 이후 ‘글 1.52’판까지 “개발자의 순수 판단으로만 개발이 진 행”15)됐다. 이용자의 요구 사항보다는 개발 행위자들이 본인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 위주로 소프트웨어를 만든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글’의 기능은 개발자의 판단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점자로 바꾸기 기능은 시각 장애우 단체의 요청을 받고 구현한 기능이다. 공인 인증서로 암호화 기능은 ‘글’을 이용하는 공공기관과의 협의 과정에서 나온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추가됐다. 유의어/반의어 사전 ‘글’ 이용자 모임의 요청 사항이 반영된 기능이다16). 점자로 바꾸기는 파일에, 공인 인증서로 암호화는 보안에, 유의어/반의어 사전은 검토 메뉴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다양한 행위 자들과의 교호 과정에서 산출된 기술적 요소들이 ‘글’의 기능의 구현되고 각 각의 기능 네트워크에 동원된 것이다. ‘MS 워드’도 이러한 기술적 요소를 산출 했고 자체적으로 구현이 가능했지만, 기능-기능 네트워크에 포함하고는 있지 않다. 소프트웨어로서 ‘글’과 ‘MS 워드’가 배경으로 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요소가 다르기 때문이다. ‘글’은 글쓰기 기술을 소프트웨어화는 하는 방식은 단순히 새롭다고 여겨지는 기능만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다. 미디어 귀속적 기 능과 미디어 독립적 기능들 모두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산출한 기술적 요소에 따라 추가하고 개선해 나간 것이다.

셋째, ‘글’은 다른 워드프로세서들과 일반적인 기능 특성을 공유하면서도

‘글’만의 독특한 양식을 고수하고 있다. ‘글’을 비롯한 워드프로세서와 미디 어 저작 소프트웨어들은 첫째, 작업 시작을 위한 삽입점(insertion point), 둘 째, 화면 이동(scrolling), 셋째, 메뉴 막대(menu bar)와 풀다운(pull-down) 기능을 갖춘 메뉴, 넷째, 버튼으로 이루어진 도구막대(tool bar) 등의 기능을 일반적으로 공유하고 있다(Stair & Reynolds, 2010).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 특성을 공유하면서도 ‘글’만의 고유 양식이 존재한다. ‘글’만의 단축키 배열

15) ‘한글과컴퓨터’ 수석연구원과의 심층 인터뷰 내용.

16) 기능이 구현된 과정은 ‘한글과컴퓨터’ 수석연구원과의 심층 인터뷰 내용 및 개발 기획 문서를 참고하였다.

이 대표적 사례다. ‘글’의 단축키 배열은 ‘alt’ 키를 중심으로 배열되고 있지 만, 대부분의 워드프로세서와 저작 소프트웨어들은 ‘ctrl’ 키를 중심으로 배열 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기능 메뉴들을 단축키를 통해서 불러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단축키를 통해 지원하는 기능의 수는 ‘글’이 경쟁 워드프로세 서인 ‘MS 워드’보다 약 4배 가량 많다.

만약, ‘글’이 현재 등장한 소프트웨어였다면 단축키 배열을 다른 워드프로 세서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구성했을 것이다. 또한, 단축키를 통한 기능 지원의 수도 지금보다는 상당히 줄어들었을 것이다. 단축키의 경우 인터페이스 상에서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별도의 학습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는 ‘글’이 지난 20여 년 동안 다양한 상호작용과 관계 맺음을 통해 진화해 왔음을 의미한 다. 다른 소프트웨어들과는 다른 단축키 배열이 현재 시점에서 유지될 수 있는 이유는 그동안 ‘글’이 형성해 온 네트워크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고 볼 수 있다. 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기능-기능 네트워크에서도 단축키가 별도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단축키는 ‘도구 상자’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 던 도스 운영체제 시절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 만든 기능이다. 윈도우 운영체제 로 완전히 전환됐음에도 사용의 편리함을 이유로 고유의 단축키 배열이 유지되 고 있는 것이다.

한편,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는 전체 ‘글’의 네트워크를 구성함에 있 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글’은 기능-기능 네트워크를 바탕 으로 다양한 인간 행위자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또, 다른 소프트웨어들은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를 통해 ‘글’을 파악하고 이를 자신들에게 반영 하기도 하며, ‘글’이 다른 소프트웨어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를 ‘글’에 반영 하기도 한다.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으면 이후 ‘글’은 다른 층위의 네트워크도 형성할 수 없다. ‘글’이라는 전체 네트워크에서 ‘

글’의 기능-기능 네트워크는 시몽동(Simondon, 1958/1989/2011)의 기술적 대상의 존재 양식 중 요소 수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요수 수준의 기능- 기능 네트워크가 형성된 후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다양한 인간 행위자들과 또 다른 층위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 해 산출되는 기술적 요소들을 가장 먼저 반영하는 것도 기능-기능 네트워크다.

제 2 절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

1. ‘글’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문제점

컴퓨터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존재하고 있다. 어떤 특 정한 소프트웨어가 인기를 끌 수는 있지만,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같은 소프 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프트웨어만을 사 용하는 사람은 전혀 없다고 할 수 있다. 컴퓨터를 켜는 순간 운영체제 소프트 웨어가 작동하며,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는 순간 또 다른 소프 트웨어가 작동한다. 어떤 하나의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연 계를 맺어야만 작동이 가능하다.

‘글’은 1989년 처음 등장할 당시 국가 표준과는 다른 조합형 한글 코드를 채택했다. 한글 코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문자를 컴퓨터 내부에서 2진수 로 표현하기 위한 대응 규칙을 말한다. 현재의 한글은 초성 19자, 중성 21자, 종성 27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합이 가능한 글자는 모두 11,172자 (19×21×28)이다. 완성형 코드는 자주 쓰는 글자 2,350자를 코드화해 저장한 후 이를 불러오는 방식으로 글자를 입력한다. 조합형 코드는 초성, 중성, 종성 의 조합으로 글자를 입력하도록 해 11,172자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조합형 방식은 운영체제를 지배하고 있던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는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글’은 한글 표현의 완전함을 위해 개발 초기부터 조합형 코드를 사용했다.

조합형 코드를 사용하면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에 문제가 생긴다는 점을 알 고 있었고, 당시 국가 표준 코드와도 부합하지 않았지만 조합형 코드를 고집했 다. 이러한 배경에는 조합형 한글 코드를 사용하고 있던 컴퓨터 업계, 인쇄출판 업계, 국어학계 등과 일반 사용자들의 지지뿐만 아니라 다른 워드프로세서들과 차별화되는 요소로 “한번 튀어보겠다”(이찬진, 1995, 40쪽)는 심리도 있었다.

‘글’이 국가 표준 한글 코드를 채택한 것은 2000년에 이르러서다.

현대 한글 11,172자는 1992년 제정된 ‘유니코드 2.0’에서도 이미 표현이 가 능했다. 1995년에는 유니코드도 국가 표준으로 채택됐지만, 2000년에 이르러서 야 ‘글’의 한글 코드로 사용됐다. 유니코드는 보편적(Universal)이면서 단일 한 형식(Uniform)의 유일한(Unique) 문자 코드를 만들겠다는 목적으로 만들어

진 국제 문자 코드 규격이다. 세계 각국의 문자를 하나의 단일 문자코드체계로 통일해 데이터를 상호교환 및 처리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완성 형 코드와 유니코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에 어려움 을 가져왔다. 1차적으로 조합형 방식으로 입력한 문자를 다른 소프트웨어들이 인식을 하지 못했고, 2차적으로 문자 데이터의 충돌로 인해 편집한 문서 자체 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글’로 작성한 문서를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불 러오는 것도 어려웠고, 다른 소프트웨어서 작성한 문서를 ‘글’에서 불러오기 도 어려웠다. 초기 ‘글’에서 이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기능적으로 다른 워드 프로세서들에 비해 우수하다고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0 20 40 60 80 100

1 9 9 1 년

1 9 9 3 년

1 9 9 5 년

1 9 9 7 년

1 9 9 9 년

2 0 0 1 년

2 0 0 3 년

2 0 0 5 년

2 0 0 7 년

2 0 0 9 년

2 0 1 1 년

90 90 80 80 80

40 78

60 75 76 71 71 70 70

17.417.5 18 17 18 19 18 18

점유율(%)

<그림 12> ‘글’의 국내 시장 점유율 변화

하지만, ‘윈도우 95’라는 운영체제가 등장하면서 ‘글’의 소프트웨어 네트워 크가 문제가 되기 시작했다. ‘윈도우 95’는 개인 홀로 사용하던 PC 환경을 인 터넷에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으로 바뀌는 큰 계기가 됐다. ‘윈도우 95’를 바탕 으로 수많은 소프트웨어들이 네트워크된 것이다. ‘윈도우 95’는 조합형 코드를 배제하고 완성형 한글 코드만을 지원했다(박동오, 2008, 42쪽). 다른 소프트웨 어들과의 안정적 호환이 이유였다. ‘글’의 한글 코드가 ‘윈도우 95’와 호환되 지 않으면서 ‘글’의 안정적 위치도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림 12>17)에서 보 17) <그림 12>에 사용된 ‘글’의 국내 시장 점유율 데이터는 ‘한글과컴퓨터’의 공시 자료와

소프트웨어산업진흥협회 및 언론보도 내용을 근거로 수집했다. 전자공시가 시작된 1999 년부터 2012년까지 점유율은 ‘한글과컴퓨터’의 공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그 이 전 데이터는 전자신문, 조선일보 등 언론 보도 내용과 소프트웨어산업진흥협회 등의 조 사 내용을 근거로 했다. 2005년에 ‘글’의 점유율이 갑자기 줄어드는 것은 집계 방식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