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형성에서 문제를 드러냈던 ‘글’은 이후 다 른 소프트웨어들과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 다. ‘글’은 현재 ‘MS 워드’ 등 다른 워드프로세서, 인터넷 소프트웨어, 이미 지 편집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
글 2014’ 제품 중 프로그램 버전 ‘9.0.0.634’로 업데이트가 적용된 현재 시점에
의 차이로 인한 것이다. 이 데이터의 근거인 ‘한글과컴퓨터’의 공시 자료는 1999년부터 2004년까지는 누적 점유율로 시장 점유율을 산출했지만, 2005년도부터는 당해 연도 판 매량을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을 추산했다. 또, 이 시기부터는 워드프로세서가 단품보다 는 수식 계산 소프트웨어(엑셀 등), 프레젠테이션용 소프트웨어(파워포인트 등) 등 사무 용 소프트웨어 제품군에 포함돼 시장 점유율을 집계했다.
18) ‘한글과컴퓨터’의 ‘한컴 오피스 2014’ 출시 관련 보도자료 내용.
서 ‘글’과 연계된 소프트웨어들의 목록은 <표 14>와 같다. 이러한 소프트웨 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내적 혼종화와 외적 혼종화로 구분할 수 있다.
불러오기 저장하기 개체 그림 파일 웹 서비스 연결
한글문서 한글문서 Adobe Acrobat 문서 *.bmp, *.pcx, *.gif 블로그 한글서식 한글서식 MS Equation 3.0 *.tif, *.plt, *.hpg 트위터 HWPML 2.x 문서 HWPML 2.0 문서 MS 그래프 차트 *.wmf, *.wpg, *.pic 페이스북
글 표준문서 글 표준문서 MS 엑셀 워크시트 *.ai, *.cdr, *. eps 씽크프리 인터넷 문서 워드문서(2007 이상) MS 엑셀 차트 *.dxf, *.pp3, *pic 오피스 커뮤니케이터 텍스트 문서 워드문서(97~2003) MS 파워포인트 개체 *.drw, *.cgm, *.jpg
유니코드 문서 인터넷 문서 MS 파워포인트 문서 *.png, *pdf, *ps 2바이트 문서 XML 문서 MS 워드 문서
한글 2.1~97 서식 있는 문서 그림판 그림 ODF 문서 ODF 텍스트 문서 워드패드 문서 XML 문서 Flash 문서
HWPML 1.x 문서 인터넷 프레젠테이션 서식있는 문서 2바이트 문서 데이터베이스 문서 PDF, PDF/A 문서 훈민정음 문서 비트맵 이미지 MS워드(2007 이상) JPG 이미지 MS워드(6.0~2003) GIF 이미지
하나워드 PNG 이미지
아리랑 WMF 이미지
일태랑 EMF 이미지
WPS
<표 14> 최신 ‘글’ 제품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표 14>에서 불러오기, 저장하기, 개체, 그림 파일은 내적 혼종화를 위한 소 프트웨어 연계라고 할 수 있으며, 웹 서비스 연결은 문화 소프트웨어들과의 외 적 혼종화라고 할 수 있다. 먼저, 내적 혼종화의 경우 현재 ‘MS워드’, ‘훈민정 음’, ‘하나워드’ 등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많이 썼던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문 서들을 ‘글’에서 불러와 작업할 수 있으며, 인터넷 문서, XML, ODF 문서 등 국제 표준 양식으로 작성한 문서들도 불러올 수 있다. 저장하기는 ‘글’에서 작성한 문서를 다른 워드프로세서들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 으로, 불러오기와는 다르게 ‘훈민정음’과 ‘하나워드’ 등에서 작업이 가능한 형식 으로 저장이 되지 않는다. 현재 자주 쓰고 있는 워드프로세서와 국제 표준 양
식으로만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한글 파일을 PDF 형식과 각종 이미지 파일로 도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개체는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문서를 작성하면서 만들어낸 그래프, 차트 등을 별도의 저장 없이 복사 기능만으로 ‘글’에도 입 력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 소프트웨어를 넘나들며 문서 작성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 ‘글’은 대부분의 그림 파일을 문서 작업 중 입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불러오기, 저장하기, 개체, 그림 파일 등은 ‘글’이 다른 소프 트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다양한 미디어 요소들을 포괄하기 위한 수단이 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적 혼종화의 경우, 최종적으로 작성한 문서를 블로그, 트위터, 페 이스북 등으로 바로 게시할 수 있도록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이다.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내용을 ‘글’로 불러올 수는 없고 ‘
글’에서 작성하고 저장한 내용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만 할 수 있게 지 원하고 있다. 즉,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이라는 문화 소프트웨어들과 연계만 할 뿐 그 소프트웨어의 미디어적 요소를 포괄하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소프트웨어들이 다른 소 프트웨어를 번역해 형성하는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깔롱(Callon, 1986)이 제시한 번역의 4단계를 기준으로 이 과정을 설명해 보면, 먼저 똑같은 자판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고 저장했지만 소프트웨어가 다르기 때문에 내용을 확인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때 몇몇 소프트웨어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면서 관심을 끈다. 다른 소프트웨어들에게 서로 호환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표준을 지켜야한다는 역할을 부여하고 최종적으로 자신들의 소프트웨어 네트워 크에 동원한다. 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으면 같은 행위라도 다른 소프트웨어에서는 전혀 받아들여지지 못한다.
이 과정에서 소프트웨어들은 각자 자신을 대변인으로 내세운다. ‘글’은
‘MS 워드’에게 자신을 번역하라고 역할을 부여하지만, 반대로 ‘MS 워드’는 ‘
글’이 자신을 번역하라고 역할을 부여한다.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네트워 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행위자로서 소프트웨어들의 경쟁이 벌어지는 것이다.
모두 자신을 핵심 행위자이자 대변인으로 내세우면서 다른 소프트웨어들을 동 원하려고 한다. 초기 강력했던 ‘글’의 네트워크는 ‘윈도우’라는 경쟁 소프트웨 어 네트워크에 의해 분열을 빚게 된 것이고, 현재의 상황은 ‘글’이 소프트웨 어 네트워크를 안정화시키면서 기존에 자신들이 형성했던 네트워크를 복원하려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내적 혼종화는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중 번역의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외적 혼종화는 네트워크 외연의 확장이
라고 할 수 있다. <표 14>에서 보듯이 현재 시점에서 ‘글’이 외적 혼종화를 위해 연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수는 내적 혼종화에 비해 극히 적다. 이는 현재 ‘글’이 외적 혼종화를 통한 외연의 확장보다는 내적 혼종화를 통해 멀티 미디어 저작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로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소프트웨어 연구 관점의 해석과 함의
이러한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해석 이 가능하다. 첫째, 글쓰기 도구로서 ‘글’은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를 통해 ‘글쓰기 공간(writing space)’(Bolter, 2001)을 확장시키고 있다. 글쓰 기 공간은 글쓰기 테크놀로지에 의해 ‘발생되는(generated)’ 곳으로 ‘글’은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통해 ‘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을 다른 소 프트웨어들로까지 확장시키고 다중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글’에서 작성 한 문서가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에 게시될 때, 하나의 글쓰기 공간에서 쓴 글 이 여러 글쓰기 공간에서 다중적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이는 ‘미디어 이동 성’(Manovich, 2013a)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어떤 하나의 콘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소프트웨어를 넘나들고 있는 것이다. 이는 소프트웨어들 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소프트웨어로서 ‘글’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디지털 콘텐츠의 ‘심 층적 재조합성’(Manovich, 2013a)을 보여준다. ‘MS 워드’로 작성한 문서를
‘글’에서 불러와 다시 작업을 한 후 ‘글’ 형식으로 저장을 하면 그 문서가 원래 ‘MS 워드’에서 작성됐다는 사실을 모르게 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다. 또한,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그림 파일, 개체 등을 복사해 작업 중인 ‘
글’ 문서에 넣을 경우 그림, 개체 등이 모두 ‘글’ 문서로 재조합된다. ‘글’
문서에서 생성한 개체들을 복사해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작업 중인 문서에 넣을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들이 네트워크 되면서 어떤 콘텐츠가 특정한 소프트웨어 에서만 만들어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각각의 소프트웨어들이 만들어낸 콘텐츠 는 여러 개로 쪼개져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을 넘나들며 재조합되고 있다. ‘글’
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글’ 문서가 ‘심층적 재조합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현재 시점에서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글’이
멀티미디어 저작 소프트웨어로서 가능한 많은 미디어 요소를 포괄하기 위한 전 략을 보여주고 있다. ‘글’이 연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경쟁 워드프 로세서나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 저작 소프트웨어들이다. ‘글’에서 작성한 내 용 외에서 다른 소프트웨어들에서 작성한 내용을 불러오거나 복사해 올 수 있 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장 주된 목적이다. 이 때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작성한 내용은 그 속성을 유지하면서 ‘글’ 문서 속에 포함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셀’과 같은 수식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작성한 차트를 복사해 ‘글’에 서 붙여 넣을 경우 그 차트는 이미지처럼 처리되면서 수정이 불가능하다. 단,
‘엑셀’ 삽입 개체라는 속성이 붙은 채로 ‘글’ 문서로 저장은 가능하다.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작성한 미디어 내용을 ‘글’이 포괄할 수는 있지만, ‘글’이 그 속성을 변경시킬 수는 없다.
이는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경 쟁 워드프로세서인 ‘MS 워드’의 경우는 속성 변경까지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글’은 대부분 그 내용 그대로 저장만 가능할 뿐이다. 경쟁 워드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를 통해 확장한 기능을 자체적인 기능으로 구현하고 있 는 반면에 ‘글’은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를 통해서만 제공하고 있는 것이 다. 물론, 대부분의 저작 소프트웨어가 ‘MS’에서 만든 것이기에 당연한 현상이 라고 할 수 있지만, 현재 ‘글’의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가 다른 경 쟁 워드프로세서들에 비해 보이고 있는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글’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는 전체 네트워크에서 봤을 때 개체 수준 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시몽동(Simondon, 1958/1989/2011)에 따르면 개 체는 새로운 기술적 대상으로 생성된 것이다. 서로 불일치하고 소통하지 않는 것들 사이에 안정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구축된 구조나 형태가 개체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통해 소프트웨어들과 형성함으로서 개체성을 획득한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들 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는 홀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하나의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연계를 맺어야만 작동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기능-기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다른 소프트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서 비로소 개체 수준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글’이 다른 소프트웨 어와 전혀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 있다면, ‘글’의 기능은 남아 있겠지만 실제로 쓰이지는 않을 것이다. ‘글’은 소프트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 서 기술적 대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