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존 소프트웨어 연구의 한계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8-71)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로서 워드프로세서는 자체적으로 기능을 구현하는 한편으로 다른 소프트웨들과의 연계를 통해 기능을 확장한다. 단일 미디어 저작 소프트웨어로 등장한 워드프로세서는 이러한 기능 확장을 통해 소 프트웨어의 위계적 분류의 가장 아래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윗 단계로 외연을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생존을 위해서는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 다. 소프트웨어는 특정 시점의 따라 자체적으로 기능을 구현할 수도 다른 소프 트웨어의 연계에 비중을 두고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고정돼 있 기 보다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추가되는 기능에 의해 새롭게 구성된다. <그 림 6>과 같은 진화의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 소프트웨어 연구들은 기능들의 변화 과정보다는 어떤 시점에서 그 변화로 인한 결과에 대한 의미를 주로 분석하고 있다. 소프트웨어가 변화한 다는 것은 다양한 사회, 문화, 기술, 정치, 경제적 요소 등과 상호작용하며 유 연한 전략을 취하며 진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존 소프트웨어 연구 들은 소프트웨어의 특정 버전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이것이 이용자에게 가져 온 결과를 주로 분석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이용자 입장에서 소프트웨어의 사 회문화적 함의를 분석할 뿐이다. 즉,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에게는 초점을 맞추지만, 소프트웨어가 그에 따라 사회화되는 과정은 보지 못하고 있 다고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왜 이렇게 변화해 왔는가가 아니라 특정 버전 의 소프트웨어가 미친 영향만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소프트웨어 연구가 보 이는 일반적인 한계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지적할 수 있다.

첫째, 소프트웨어를 고정된 실재로 분석한다. 소프트웨어의 역사를 분석 (Wardrip-fruin, 2011; Parikka, 2007)하더라도 그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진 배 경만을 분석할 뿐, 소프트웨어가 역사적으로 변화해 온 과정은 분석하지 않는 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등장과 소멸 과정을 연구(Kirschenbaum, 2003)하더라 도 전체적으로 같은 기능을 갖고 있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간주한다. 각 시점 및 버전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기능들이 어떻게 변화했고 그것이 갖는 의미는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즉, 하나의 소프트웨어가 등장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고 간주하면서 사회, 문화, 정치, 경제적 배 경만을 설명한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있었던 소프트웨어는 분석하지 않는다.

둘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소프트웨어 기능을 전체적으로 하나로 묶어 제시한 다. 이미 논의했듯이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자체적으로 구현한 기능의 경우 세 가지로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연계를 통해 구현한 기능은 두 가지로 구분이 가 능하다. 기존 소프트웨어 연구들은 소프트웨어를 분석하면서 다른 소프트웨어 들과의 기능에서 나타는 차이점을 강조하지만, 어떠한 측면에서 보이는 차이인 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다른 소프트웨어와 비교해서 기능의 유무와 우열만 비교할 뿐이다. 이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분석이기 때문이다. 플랫폼 연 구들이 대표적으로 분석 대상 소프트웨어의 기능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만 을 분석함으로 인해 소프트웨어를 둘러싼 전체적인 사회, 문화, 기술적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다. 소프트웨어가 중심이 돼 형성한 플랫폼이라는 이용 환경만을 분석하기 때문이다. 플랫폼을 통해 이용자가 실천 가능한 행위만 분석하면서, 이용자의 행위에 의해 변화하는 플랫폼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셋째, 소프트웨어의 자율적인 변화를 보지 못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구현된 알고리즘에 따라 작동하고 그 알고리즘을 사람이 만드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 나 사람들의 이용 행위는 예측 가능한 부분을 넘어서고 있기에 예측 불가능한 이용 행위에 따라 소프트웨어는 자율적으로 움직인다. 예측 불가능한 부분이 있더라도 대응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는 정의된 명령에 따라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호작용의 결과에 따라 자율적인 움직임을 갖는 다(Goffey, 2008).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문화적 요소들과 영향을 주고받는다고 보면서도 이용 행위상의 변화만을 분석할 뿐이다.

이러한 한계들은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바라보는 관점의 문제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풀러(Fuller, 2003)는 소프트웨어 연구가 기존 학문의 이론, 연구 방법을 계승하는 것으로 이전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들의 연장선에 있다고 강 조한다. 소프트웨어 연구는 기존 이론이나 방법론을 전복하려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미디어 대신 현대 문화의 새로운 동력으로서 소프트웨어를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려는 관점의 전환이다. 문제는 문화의 새로운 동력인 소프트웨어가 기존 미디어와는 다른 기술적 대상이라는 점이다. 대표적인 전통적 미디어인 텔레비전을 예로 들어보자. 전통적인 텔레비전의 경우 모두가 같은 시간에 모 두가 똑같은 방송 프로그램을 봤지만, 지금은 같은 텔레비전을 갖고 있더라도 소프트웨어에 따라 서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본다. 프로야구 생중계를 예로

들자면, 전통적인 TV를 통해 보는 것과 IPTV의 편파 중계를 통해 보는 것과 포털 등에서 중계를 보는 것은 서로 다른 경험을 부여한다. 텔레비전과 같은 미디어가 물리적으로 같더라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미디어가 된 다. 소프트웨어 연구가 기존의 이론, 방법론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지만, 소프트 웨어의 특성을 감안한 새로운 이론적, 방법론적 전환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텔레비전은 구입 후 여러 해 동안 같은 미디어로 기능하지만, 소프트 웨어는 보이지 않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기능들이 추가되고 삭제되면서 텔레비 전을 새롭게 구성한다.

기존 연구들은 소프트웨어를 사회‧문화적 실재로 인정하지만, 주체로 인정하 지는 않고 있다. 소프트웨어가 변화하는 과정,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보여주는 복합적 기능, 이용자 관점이 아닌 자율적인 움직임을 갖는 소프트웨어를 분석 하기 위해 이 연구는 대안적 관점으로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 이하 ANT)을 제시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연구의 관점을 유지하면서 버전에 따라 변화하는 소프트웨어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한 새로운 인식론 적, 방법론적 틀로서 ANT 관점을 채택하려는 것이다. ANT는 소프트웨어와 같 은 ‘비인간(non human)’을 행위자로서 인간과 대칭적인 존재로 바라본다. 비 인간이 인간과 같이 살아 있는 생물로서 행위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다른 비인간 행위자들과 형성한 네트워크를 통해 행위능력을 부여받은 것으로 간주하고 관찰자의 입장에서 새롭게 분석하는 것이다.

ANT가 비인간의 행위 능력을 인정하는 것은 관찰자의 시점이기 때문이다.

비인간이 실제로 행동했다는 것이 아니라 관찰자의 시점에서 비인간이 행동한 것으로 간주한다. ANT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비인간 행위자가 다양한 행위자들 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기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동안 형성해 온 네트워크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러 한 측면에서 ANT는 잘 보이지 않지만 소프트웨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변화과정을 추적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물론, 변화과정을 추적 하는 연구자도 인간이라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지만, 그동안 인간 중심적으 로 이루어져 온 소프트웨어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관찰자의 관점에서 소프트웨 어를 중심으로 분석해보기 위한 대안적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미디어 대신 소프트웨어로 관점을 전환한 후 새로운 기술적 대상인 소프트웨어를 분석 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적, 방법론적 관점의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다. 2절에서 는 ANT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소프트웨어를 분석하는 새로운 관점으로서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논의한다.

제 2 절 행위자 네트워크로서의 소프트웨어

ANT는 ‘사회’를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들의 집합체’로 본다. 소프트 웨어와 같은 비인간 행위자들은 인간 행위자와의 관계를 통해 의미 있는 방식 으로 사회화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연구들에서 보지 못한 소프트웨어의 사회화 과정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ANT에 따르면, 우리 사회는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로 이루어진 복잡한 네트워크 안에서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 간 의 상호작용에 의한 순환과 운동에 의해 형성된다. 사회와 인간의 다양한 경험 과 지식은 이러한 이질적인 요소들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되고 이루어진 다. 어떤 한 시점의 인간과 비인간의 집합체는 서서히 다른 형태로 진화한다.

ANT에 의하면, 이 진화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기존의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는 ‘번역’(translation)’ 과정을 통해 서로 만나게 된다.

이렇듯 새롭게 만난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들은 서로의 특성을 교환하고 비인간 행위자들과 인간 행위자들 간에 네트워크가 형성되면서 새로운 ‘혼종 (hybrid)’이 생겨난다. 새롭게 만들어진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의 집합체 는 각각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전에 지향했던 방향과는 다른 새로운 방향을 지 향하는 ‘치환(displacement)’ 단계를 거친다.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는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서 이전과는 다른 방향성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ANT의 관점은 소프트웨어가 변화하는 과정, 소프트웨어의 진화를 설명 하는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 2절은 행위자 네트워크로서 소프트웨어에 대 해 논의한다. 소프트웨어 연구에서 ANT 관점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ANT의 이 론적, 방법론적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