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연구방법

2.3 분석틀 개발

해양환경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을 폭 넓게 포함한 해양환경교육 세부 목표 분석틀을 구성하기 위해서 해양환경교육의 원리와 내용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표 Ⅲ-2). 우선, 해양 소양의 7가지 원칙과 44개의 개념은 대부분 지식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6번째 원칙은 인간과 해양의 상호 관계에 대한 것으로 해양의 혜택, 해양

학교급 교육과정 구분 교과 교과목

초등학교 공통 교육과정

사회 사회

도덕 도덕

과학 과학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

사회 사회

도덕 도덕

과학 과학

공통 교육과정

-선택 과목 선택 환경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 -공통 과목

사회 통합사회

과학 통합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 -일반 선택

사회 한국지리

사회 세계지리

사회 정치와 법

사회 사회·문화

도덕 생활과 윤리

도덕 윤리와 사상

과학 지구과학Ⅰ

생명과학Ⅰ

선택 중심 교육과정 -진로 선택

사회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도덕 고전과 윤리

과학

지구과학Ⅱ 생명과학Ⅱ 융합과학

교양 교과 교양 환경

<표 Ⅲ-1> 분석 대상

자원, 레저와 문화, 인간 활동과 개발, 인간 활동의 해수 영향, 인간의 해안 거주, 개인과 사회의 실천에 대한 개념을 포함하고 있어 인식, 태도, 행동 영역이 일부 반영하고 있었다(김찬국 등, 2016; Cava et al., 2005).

선행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연구에서는 해양 소양뿐만 아니라 흥 미, 태도(orientation), 해양 환경에 대한 감정을 프로그램의 목표와 결과 로 다루고 있어, 지식뿐만 아니라 해양환경에 대한 태도를 중요한 목표

구분 저자, 연도 해양환경교육 세부 목표

해양 소양 Guest et al.,

2015 해양 가치, 지식, 상호작용, 흥미

해양 소양 Greely, 2008 내용적 지식, 해양 환경에 대한 감정(환경적 태도, 도덕성)

해양 소양 Kim, 2014 해양 과학 지식, 성향(자연주의, 미학적, 휴양 적, 공리주의적, 부정적)

해양 시민성

McKinley &

Fletcher, 2012

해양 환경 문제 인식, 해양 환경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개인 행동 역할에 대한 이해, 해양 환경 친화적 행동 선택을 촉진하기 위한 가치 관의 변화

해양 시민성 Fletcher &

Potts, 2007

해양 환경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 일상 생 활과 해양 환경 사이의 관계 이해

해양환경교육 모델

양명희와 이두곤(2009)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에 기초한 해양환경교 육 내용의 다섯 가지 영역

해양 환경소양 장미정

등(2018) 해양 환경소양

<표 Ⅲ-2> 해양환경교육 세부 목표 관련 선행연구

로 포함하고 있었다(Guest et al., 2015; Greely, 2008; Kim, 2014).

해양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에 대한 연구들(Fletcher & Potts, 2007; McKinley & Fletcher, 2012)에서는 문제에 대한 인식과 효능감, 참여를 강조하면서 해양환경교육의 목표에 쟁점 해결을 위한 참여와 해 양 시민성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교육 목표영역(김삼곤과 차철표, 2009)을 환 경교육의 전통적인 목표 영역인 인식, 지식, 태도, 기능, 참여 영역으로 (김희경과 신지애, 2012; UNESCO, 1977) 수정·보완하여 다섯 가지 영 역으로 재구성 하였다<표 Ⅲ-3>. 그리고 앞서 언급 한 해양환경교육 관 련 연구들의 세부 목표들을 다섯 가지 영역에 따라 유목화 하여 분석틀 을 개발하였다<표 Ⅲ-4,5>. 그 후 분석틀로 교육 과정을 분석하는 과정 을 통해 수정ㆍ보완하여 최종적으로 해양환경교육 세부 목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해양환경교육의 목표영역 구분 (김삼곤과 차철표, 2010)

환경교육의 목표영역 (김희경과 신지애, 2012;

UNESCO, 1977)

정보 지식

해양생태 환경, 해양보전의 사실과 개념 및 법칙, 해양환경 및 해양환경 문제의 사실과 개념, 일반화, 법칙, 해양 자연 환경의 오염 실태, 자원, 인간과 해양 생태계의 상호관계, 해양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개발, 해양환 경, 정착, 친환경 형태, 해수욕장 전경, 바다 풍경

-> 지식

해양 생태 환경 지

인간과 해양 생태 계의 상호관계

기능

자연과 사회집단에 해양환경 문제를 해결하 는 기능, 해양관련 자료수집, 파악 및 해석, 해결방안, 해양환경 현상의 과학적 탐구 및 해결방안, 해양환경 쟁점해결을 위한 의사결 정, 해양환경 보전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방법과 방안, 생산기능 및 판매기능, 위성이 용 측량, 어촌 관광, 해양 토목, 부두접안

-> 기능

해양환경 문제 해 결 기능

자료 수집, 파악, 해석, 해결 방안 의 사결정

가치 태도

자연과 인간의 생명문제, 친 해양과 보전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 및 인식과 탐구의욕, 친 해양 환경적 가치와 인류 차원의 해양환경 공동체 의식, 해양 환경문제 해결과정에 자 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 해양환경윤리(인류, 자연 생태 등의 존중),해양보전을 위한 가치 지향 및 행동 동기 유발

->

->

인식

해양 가치와 보전 에 대한 인식 해양 환경문제 인

태도

해양 보전에 대한 관심

해양 환경문제 해 결 참여 의식

행동 참여

개인과 사회집단의 해양환경 문제해결을 위 한 활동, 해양지역의 연안 및 해양문제 인식 을 위한 문제 사태에 참여, 해양환경을 개선 하고 보전하기 위한 자발적 참여, 인간의 해 양환경에 대한 책임소재와 역할, 해양보전과 해양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 참여

해양 환경문제 해 결을 위한 활동 해양 환경 개선을 위한 참여

<표 Ⅲ-3> 해양환경교육의 목표영역

구분 Ocean literacy M a r i n e

citizenship O c e a n

citizenship 해양환경교육모델 해양 환경소양

종합 저자 Cava et al., 2005 G u e s t

et al.,

2015 Greely, 2008 K i m ,

2014 McKinley &

Fletcher, 2012 Fletcher &

Potts, 2007

이두곤(2009) 장미정 등(2018)

인식 7.미개척된 해양 6.인간과의 관계

가치

해양 과학관련 이슈(OSSI)6)

해양 환경이슈

인식 해 양 환 경 이 슈

인식

건강한 해양 환경의 가치, 환경 문제 자체 인간이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바다를 위협하는

인간 활동 1.해양 가치 2.문제 인식

지식

1.해양의 규모 2.해양, 해양 생물과 지구의 특징

3.기후와 기온 4.거주가능성 5.생물다양성

지식, 상 호 작

내용 지식 해양 과학 관 련 이슈(OSSI)

지식

건강한 해양환경의 모습, 해양환경과 인간의 관계와 상호간의 의미 탐구

바다를 위협하는 인간 활동

1.해양생태계 2.해양기술 3.상호작용

태도 6.인간과의 관계

7.미개척된 해양 흥미 환 경 태 도

도덕성

지향 일상 생활과

해양환경의 관계 바다를 보호하는

일의 중요성

1.관심과 공감

2.사회적 의식(도덕, 책임감)3. 효능감

기능 6.인간과의 관계 과학 기술 관 련 이슈(SSI)

과학적 탐구 통찰적 탐구를 통한 해양 환경문제의 해결방안

1비판적 정보습등.

2 . 탐 구 , 분 석 , 통 합 , 의사결정, 문제해결 능력, 표현

실천적 추론, 해결 방안의 실행 및 평가

행동 6.인간과의 관계 해양 과학관련

이슈(OSSI)

해양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의 행동 역할에 대한 이해

일상 생활과 해양환경의 관계

지속가능성을 지닌 해양 환경 보전 방안 인간의 역할

바다를 보호하는 일의 중요성

1. 해양 환경을 위한 실

2. 해양 환경 문제 대응 3. 해양 문화, 해양 환경 체험

<표 Ⅲ-4> 선행연구를 통한 해양환경교육 세부 목표 분석

목표 영역 하위 영역 세부목표

인식

(Awareness)

1. 해양 가치 해양의 가치에 대한 인식

2. 문제 인식 해양 오염, 해양 문제에 대한 인식

지식

(Knowledge)

1. 해양 생태계 해양 생물, 해양 생태계의 구성요소, 기후

2. 해양 기술 해양 관련 기술, 해양 에너지, 자원, 직업

3. 상호작용 인간과 해양이 주고받는 영향, 지속가능발전

태도 (Attitude)

1. 관심과 공감 해양 환경 감수성, 감정 이입

2. 사회적 의식 해양 환경 윤리, 책임감, 정의

3. 효능감 해양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의 행동 역할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

기능 (Skill)

1. 비판적 정보 습

정보 습득력, 비판적 사고 기능 2. 쟁점에 대한 분

석과 해결 능력

쟁점의 분석, 종합, 문제 해결 능력, 의사결정능 력, 표현 능력

참여

(Participation)

1. 해양 환경을 위

한 실천 해양 환경을 위한 실천, 윤리적 소비 2. 해양 환경 문제

대응 정치적, 법적 대응, 해양 보전 방안, 참여 활동 3. 해양 문화, 해양

환경 체험

해양 환경 문화, 해양 전통 문화, 체험 활동 경 험, 해양 스포츠

<표 Ⅲ-5> 해양환경교육 세부 목표 분석틀